top of page

서울 종로구 명륜동4가, 1912년의 땅 이야기 – 문화재 조사로 되살아난 풍경

목차



  1. 들어가며 – 1912년 명륜동4가로 시간 여행

  2. 명륜동4가의 전체 면적과 토지 분포

  3. 집터와 생활 공간, 사람들의 삶의 흔적

  4. 임야와 자연환경, 산이 가진 의미

  5. 밭과 논, 먹거리의 터전

  6. 연못과 지소, 마을의 물길

  7. 국유지와 관리 체계

  8. 성씨별 토지 소유, 마을의 주인들

  9. 일본인의 토지 소유와 그 시대의 그림자

  10. 문화재 지표 조사로 만나는 옛 땅 이야기

  11. 서울 지역 발굴 조사와 성공 사례

  12. 지금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 문화유산의 가치

  13. 맺으며 – 명륜동4가에서 배우는 삶과 시간



ree


1. 들어가며 – 1912년 명륜동4가로 시간 여행



한 장의 옛 지도 속으로 발을 들이는 순간, 1912년 서울 종로구 명륜동4가의 풍경이 눈앞에 펼쳐진다.


우리가 지금 서 있는 곳은 빼곡한 건물과 도로로 가득하지만, 100여 년 전 이곳은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토지는 필지 단위로 나뉘어 관리되었고, 집터와 밭, 산과 연못까지 그 자리를 지키며 사람들의 삶을 품고 있었다. 오늘은 문화재 지표 조사 기록을 바탕으로 1912년 명륜동4가의 땅 이야기를 따라가 보려 한다.





2. 명륜동4가의 전체 면적과 토지 분포



1912년 당시 종로구 명륜동4가는 총 210필지, 65,408㎡라는 넓은 땅을 품고 있었다. 지금의 눈으로 보면 단순한 숫자일 수 있지만, 당시에는 이 면적이 마을의 크기를 말해주는 중요한 단서였다.





3. 집터와 생활 공간, 사람들의 삶의 흔적



이곳에는 127필지, 17,871㎡의 대지가 있었다. 이는 단순히 집을 짓는 땅이 아니라 사람들이 모여 살며 가정을 꾸리고, 이웃과 이야기를 나누던 생활의 무대였다. 골목길마다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울려 퍼지고, 저녁이 되면 장작불 연기가 피어올랐을 모습이 생생하게 떠오른다.





4. 임야와 자연환경, 산이 가진 의미



명륜동4가에는 2필지, 6,981㎡의 임야가 있었다. 비록 작은 규모였지만, 마을 사람들에게는 땔감을 제공하고 산책과 휴식의 공간이 되었다. 오늘날 도심 속 공원 같은 역할을 했을 것이다.





5. 밭과 논, 먹거리의 터전



무려 80필지, 38,254㎡의 밭이 기록되어 있다. 이 땅은 주민들의 밥상을 책임지던 공간이었다. 봄이면 씨앗을 뿌리고 여름이면 푸른 작물들이 자라나며, 가을에는 황금빛 결실이 가득했을 것이다.





6. 연못과 지소, 마을의 물길



1912년 이곳에는 1필지, 2,300㎡의 지소(연못)가 있었다. 물은 단순한 생활 자원이 아니라 마을의 생명줄이었다. 연못은 농업용수로 쓰였을 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놀이터이자 여름철 시원한 쉼터이기도 했다.





7. 국유지와 관리 체계



기록에 따르면 2필지의 국유지가 존재했다. 이는 국가가 직접 관리하던 땅으로, 행정적·사회적 질서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8. 성씨별 토지 소유, 마을의 주인들



1912년 명륜동4가는 여러 성씨들이 함께 모여 살던 마을이었다.


  • 이씨: 43필지

  • 김씨: 38필지

  • 홍씨: 18필지

  • 박씨: 12필지



이처럼 특정 성씨가 큰 비중을 차지하며 마을의 질서를 형성했다. 각 가문은 집안 대대로 이어지는 전통과 함께 토지를 지켜왔다.





9. 일본인의 토지 소유와 그 시대의 그림자



그러나 이 시기, 식민지 시대의 어두운 그림자도 드리워졌다. 일본인들이 5필지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는 기록이 그것이다. 이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당시 우리 땅을 잠식해 들어오던 역사적 현실을 보여준다.





10. 문화재 지표 조사로 만나는 옛 땅 이야기



오늘날 우리가 이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는 것은 문화재 지표 조사 덕분이다. 지표 조사는 발굴 이전 단계에서 토지와 유적 분포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명륜동4가의 사례처럼 과거 토지 이용 현황을 기록으로 복원함으로써, 도시 개발 과정에서 사라진 옛 풍경을 다시 만날 수 있다.





11. 서울 지역 발굴 조사와 성공 사례



서울에서는 이미 다양한 발굴 조사 사례가 있다. 예를 들어, 종로 일대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주거지 발굴은 당대 사람들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또, 지표 조사 단계에서 유적의 가치를 미리 파악해 개발과 보존이 함께 이루어진 경우도 있다. 이런 사례들은 문화유산 보존과 도시 발전이 상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12. 지금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 문화유산의 가치



1912년 명륜동4가의 기록은 단순한 통계가 아니다. 이는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고, 무엇을 먹고, 어떤 환경에서 하루하루를 이어갔는지 보여주는 살아 있는 증거다. 오늘날 우리가 문화재 발굴과 지표 조사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13. 맺으며 – 명륜동4가에서 배우는 삶과 시간



과거의 땅은 단순히 흙덩이가 아니다. 그 속에는 수많은 이야기와 숨결이 묻어 있다. 명륜동4가의 210필지, 65,408㎡는 그 시대 사람들의 삶을 보여주는 거울이다. 지금 우리가 이 기록을 다시 꺼내 보는 것은, 과거를 통해 현재를 더 깊이 이해하고 미래를 준비하기 위함이다.




출처: 서울 문화유산 발굴 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 해시태그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