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종로구 서대문1가, 일제강점기 서울의 심장부에 숨은 땅의 기억

목차


  1. 처음 만나는 서대문1가 – 땅이 기억하는 도심의 역사

  2. 1912년의 기록 – 필지와 면적 속에 숨은 서울의 시작

  3. 성씨로 읽는 서울 사람들의 삶과 관계

  4. 일본인과 미국인, 그리고 변화의 그림자

  5. 문화재발굴과 유적발굴의 현장 – 서대문이 다시 깨어나다

  6. 지표조사에서 발굴조사까지, 땅 아래의 진실을 밝히다

  7.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성공 사례

  8.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이유

  9. 감동의 마무리 – 오늘의 서울을 걷는다는 것





1. 처음 만나는 서대문1가 – 땅이 기억하는 도심의 역사


“눈앞의 거리, 그 아래에 천 년의 시간이 잠들어 있다.”


서울 종로의 중심부, 오늘날에는 빌딩과 도로가 빽빽이 들어찬 곳이지만, 1912년 서대문1가는 전혀 다른 풍경을 품고 있었다.


그 시절, 서대문1가는 단순한 주소가 아니었다. 조선의 문이 열리던 자리이자, 근대화의 첫 바람이 스친 곳. 그리고 외세의 그림자가 드리운 서울의 심장부였다.


이곳의 땅은 그저 ‘땅’이 아니었다. 사람들의 삶과 역사, 그리고 시대의 숨결이 켜켜이 쌓인 기록의 책장이었다.


ree


2. 1912년의 기록 – 필지와 면적 속에 숨은 서울의 시작


1912년, 서대문1가는 237필지, 총면적 51,081㎡의 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지금으로 치면 약 15,400평에 달하는 규모다.


놀랍게도, 이 모든 필지가 ‘대지’였다. 논이나 밭 같은 농경지는 단 한 평도 없었다. 이미 이 지역은 서울의 핵심 상업지와 주거지로 변화하고 있었다는 뜻이다.


서울의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던 시기, 서대문1가는 근대적 도로망과 건축이 동시에 들어서며 조선의 전통 도시 구조가 무너지고 새로운 질서가 자리 잡던 공간이었다.


땅의 모양 하나하나가, 그 시대의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였다.


ree

3. 성씨로 읽는 서울 사람들의 삶과 관계


당시 토지를 소유한 주요 성씨를 보면, 김씨가 51필지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이씨 40필지, 최씨 20필지.


이 수치는 단순한 통계가 아니다. 서울의 중심지였던 이곳에서 생활하며 상업, 행정, 교육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던 조선인들의 삶의 흔적이다.


김씨와 이씨는 조선 후기 서울을 대표하던 유력 가문들이었다. 그들의 대지는 가옥뿐 아니라 서당, 상점, 한약방, 종교시설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그 땅 위에는 조선의 전통이 이어지고 있었고, 골목 사이사이에는 사람 냄새와 장인의 손길이 남아 있었다.



ree

4. 일본인과 미국인, 그리고 변화의 그림자


그러나 서대문1가의 풍경에는 서서히 다른 색이 스며들고 있었다.


당시 일본인은 7필지, 미국인은 2필지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작은 숫자 같지만, 그 의미는 결코 작지 않다.


일제강점기의 시작과 함께, 일본인들은 서울의 요지에 토지를 매입하며 상권과 정치권력을 동시에 장악해갔다. 그들이 세운 서양식 건물, 상점, 은행은 조선인들의 공간을 밀어내며 새로운 ‘도시 질서’를 만들어냈다.


한편 미국인 소유의 토지는 대부분 선교사나 교육 기관 관련이었다. 그들은 병원과 학교를 세워 근대적 제도를 도입했지만, 그 과정 또한 서울의 문화재발굴 현장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된다.



ree



5. 문화재발굴과 유적발굴의 현장 – 서대문이 다시 깨어나다


오늘날, 이 땅 아래에서는 문화재발굴, 유적발굴, 유물발굴이 이어지고 있다.


건축공사가 시작되기 전 진행되는 문화재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는 이 지역이 품고 있는 시간의 층위를 다시 열어주는 열쇠다.


발굴조사원들은 콘크리트 아래에서 조선시대 기와 조각, 고려시대 도기 파편, 때로는 일제강점기의 화폐와 서류 조각을 발견한다.


이 작은 유물 하나하나가 당시 사람들의 삶, 그들의 언어, 문화, 그리고 시대의 감정을 전한다.


이런 유물발굴작업은 단순한 고고학적 행위가 아니라, 도시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과정이다.




ree



6. 지표조사에서 발굴조사까지, 땅 아래의 진실을 밝히다


문화재발굴의 첫걸음은 지표조사다.


지표조사는 표면의 토양, 잔존 구조물, 인공 유구를 확인해 실제 발굴의 필요성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발굴조사 범위를 정하고, 문화재의 보존 상태를 예측한다.


이후 시굴조사(표본조사)로 들어가면, 일정 구역을 시범적으로 파내 유적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실제로 서대문1가 일대에서는 20세기 초의 주거지 흔적과 조선시대 배수로 구조가 발견되었다.


이런 발굴조사는 도시개발 이전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절차로, 현대 서울의 역사적 층위를 보존하는 마지막 방어선이다.




7.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성공 사례


서울문화유산 조사에서는 수많은 성과가 있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광화문 인근에서 발굴된 조선시대 도성의 성벽 잔존부와 하수로. 서대문 인근에서는 한양도성의 일부와 조선 후기 관아 건축의 기단석이 발견되었다.


또한 일제강점기 건축물의 기초 구조와 근대식 배수관, 수로망이 함께 드러나면서 도시 인프라의 변화를 입증하는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


이 모든 발견은 서대문1가가 단순히 행정구역이 아닌, 서울 근현대사의 ‘생생한 증언자’임을 보여준다.


ree


8.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이유


도시 개발은 빠르지만, 역사는 느리게 남는다.


우리가 발로 딛고 서 있는 이 도심의 땅속에는 수백 년 동안 이어진 서울 사람들의 삶이 켜켜이 묻혀 있다.


만약 문화재발굴과 지표조사가 없었다면, 우리는 그들의 흔적을 다시는 볼 수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발굴작업은 단순히 과거를 캐내는 일이 아니라, 미래 세대에게 ‘우리가 누구였는가’를 전하는 대화다.




9. 감동의 마무리 – 오늘의 서울을 걷는다는 것


오늘 당신이 걷는 서대문역 인근의 인도, 혹은 종로의 바쁜 골목도 사실은 수백 년 전 누군가의 집이었고, 삶의 터전이었다.


그 땅 아래, 조선의 아침이 다시 깨어나고 있다.


문화재발굴조사 현장에서 흙을 털어내는 손끝은, 결국 우리 기억을 닦아내는 손길이다.


서울의 시간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그 중심에는,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서대문1가의 이야기가 있다.




해시태그




출처 : 서울 문화유산 발굴 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