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서울 종로구 삼청동, 그 땅 아래에 잠든 1912년의 시간 – 문화재 발굴조사를 통해 되살아난 기억

목차


  1. 오래된 골목의 속삭임, 삼청동에서 들려온 첫 이야기

  2. 1912년, 삼청동의 땅이 말해주는 진짜 역사

  3. 문화재 발굴조사란 무엇일까 – 과거를 꺼내는 과학의 손길

  4. 삼청동의 문화재 지표조사 과정과 유적발굴단의 하루

  5. 땅속에서 발견된 사람들의 흔적 – 김씨, 이씨, 박씨, 그리고 일본인 토지

  6. 문화재발굴조사 장비와 발굴조사원의 땀방울

  7.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의 성공사례 – 과거에서 미래로

  8. 우리의 기억을 지켜내는 힘, 문화재 발굴의 의미

  9. 마무리 – 삼청동, 그 땅에 새겨진 사람들의 이야기





1. 오래된 골목의 속삭임, 삼청동에서 들려온 첫 이야기


“이 길을 걸을 때마다, 발밑에서 오래된 숨소리가 들리는 것 같아요.”

누군가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서울 종로구 삼청동. 오늘날엔 감성 가득한 카페와 갤러리가 줄지어 있지만, 불과 100여 년 전 이곳은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한양의 북쪽 언덕 아래 자리한 이 동네는 조선시대 양반가와 관청이 뒤섞여 있던 ‘생활의 중심지’였다.

그리고 1912년, 일제에 의해 토지조사가 진행되던 그때—

삼청동의 흙은, 우리 조상들의 삶과 그들의 이름을 고스란히 품고 있었다.


이 글은 바로 그 시절의 삼청동으로 우리를 데려간다.

문화재발굴, 유적발굴, 그리고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가 어떻게 잊힌 기억을 다시 빛으로 끌어올렸는지를 따라가 보자.


ree



2. 1912년, 삼청동의 땅이 말해주는 진짜 역사


1912년의 기록에 따르면, 삼청동은 총 157필지, 114,800㎡의 면적을 가진 마을이었다.

그중 156필지, 114,268㎡가 대지, 단 한 필지 532㎡만이 밭, 그리고 3필지의 국유지로 구성되어 있었다.

즉, 거의 대부분이 주거지였다는 뜻이다.


이곳은 이미 100년 전에도 ‘사람이 사는 동네’였던 셈이다.

삼청동의 흙은 단순한 흙이 아니라, 누군가의 삶, 누군가의 숨결, 누군가의 집터였다.


김씨가 33필지, 이씨가 28필지, 박씨가 14필지.

그 외에도 수많은 성씨가 이 마을을 이루고 있었고, 7필지는 일본인의 손에 넘어가 있었다.

당시 조선의 사회 구조와 일제강점기의 변화가 고스란히 이 땅의 분포에 새겨져 있는 셈이다.


ree



3. 문화재 발굴조사란 무엇일까 – 과거를 꺼내는 과학의 손길


많은 이들이 ‘문화재 발굴조사’ 하면 삽을 들고 땅을 파는 모습을 떠올린다.

하지만 실제로는 훨씬 더 정교한 과학과 기록의 세계다.


문화재발굴은 땅속에 남겨진 유물을 단순히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의 삶과 사회, 기술과 문화를 복원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진행되는 것이 문화재 지표조사다.


지표조사는 특정 지역이 문화재적 가치를 지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첫 단계다.

이 과정에서 발굴조사원들은 지형, 토양, 주변 유적, 문헌 기록 등을 면밀히 분석한다.

그리고 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본격적인 유적발굴 단계가 시작된다.


ree



4. 삼청동의 문화재 지표조사 과정과 유적발굴단의 하루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팀이 삼청동 일대를 조사할 때,

그들은 단순히 흙을 파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해독했다.


조사원들은 지표조사를 통해 토양의 층위를 기록하고, 시굴조사(표본조사)를 병행해 실제 유적의 존재를 확인했다.

벽돌 한 장, 도기 파편 하나에도 100년의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


유적발굴단은 GPS 측량기, 토양 시료 채취기, 드론 카메라 등 첨단 문화재발굴조사 장비를 사용했다.

그들의 손끝에서 과거는 다시 살아났다.

‘이곳이 한양의 옛 주거지였음을 입증할 증거’가 차례로 드러나기 시작한 것이다.


ree



5. 땅속에서 발견된 사람들의 흔적 – 김씨, 이씨, 박씨, 그리고 일본인 토지


문화재발굴의 가장 감동적인 순간은, 이름 없는 사람들의 흔적이 세상 밖으로 나오는 때다.


삼청동의 발굴에서는 주로 김씨, 이씨, 박씨 집터가 집중적으로 드러났다.

기와 조각, 초석, 생활용 도기 등은 조선 후기에서 일제강점기로 이어지는 ‘생활의 연속성’을 증명했다.


또한 일본인 소유의 7필지는 도시 구조와 토지 소유권의 급격한 변화를 보여준다.

이는 단순한 땅의 이동이 아니라, 역사적 권력의 이동이었다.

삼청동의 문화재발굴조사는 바로 이 ‘이름 없는 변화의 증거’를 되살려주는 작업이었다.



ree



6. 문화재발굴조사 장비와 발굴조사원의 땀방울


땅속 유물은 저절로 드러나지 않는다.

유적발굴단의 하루는 이른 새벽부터 시작된다.

토양의 경도, 수분, 주변 지형까지 모두 기록하며 세밀하게 흙을 걷어낸다.


GPS 측량기로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좌표를 잡고,

드론으로 상공에서 전체 지형을 스캔하며,

작은 붓 하나로도 소중한 유물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조심스레 다룬다.


이 모든 과정은 ‘역사와 과학의 협업’이다.

문화재발굴은 단순한 작업이 아니라, 시간과 인간, 과학의 교차점이다.




7.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의 성공사례 – 과거에서 미래로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는 이미 수많은 성과를 내왔다.

경복궁 주변 도심 복원 프로젝트, 종로 일대의 조선시대 골목 재현, 한양도성 발굴 등은 모두 이 체계적인 조사에서 비롯됐다.


삼청동 역시 그 중심에 있다.

지표조사 후 발굴된 도기편과 생활유구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주거 형태가 복원되었고,

도심 재개발 과정에서 문화재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보존 가치가 인정받았다.


이처럼 문화재발굴은 단순히 ‘유물을 찾는 일’이 아니라,

도시의 역사적 정체성을 지켜내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ree



8. 우리의 기억을 지켜내는 힘, 문화재 발굴의 의미


문화재 발굴은 과거를 위한 일이 아니다.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설계하기 위한 기초다.


땅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삼청동의 흙은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삶, 그리고 그들이 남긴 흔적을 증언하고 있다.


유물발굴, 유적발굴, 문화재발굴과정은 결국 우리 자신을 찾는 여정이다.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팀은 오늘도 그 여정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9. 마무리 – 삼청동, 그 땅에 새겨진 사람들의 이야기


지금 당신이 걷고 있는 삼청동의 길 아래,

1912년의 사람들이 살았다.

그들은 웃었고, 사랑했고, 또 하루를 살았다.

그리고 그들의 흔적은 문화재발굴조사를 통해 다시 세상 위로 돌아왔다.


우리가 이 이야기를 기억하는 이유는 단 하나다.

잊지 않기 위해서.


그것이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의 존재 이유다.

그리고 우리가 삼청동을 다시 바라봐야 하는 이유다.





출처: 서울 문화유산 발굴 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