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중구 방산동, 땅 위에 새겨진 역사와 문화유산 발굴 이야기

목차

1. 방산동, 1912년 그 땅의 시작

2. 집과 밭이 말해주는 삶의 흔적

3. 성씨별 토지 소유와 마을 사람들

4. 국유지와 일본인의 토지 소유, 시대의 그림자

5. 방산동을 바라보는 문화유산 발굴의 시선

6. 지표조사와 발굴조사가 중요한 이유

7. 성공 사례로 보는 문화재 조사 현장 이야기

8. 오늘날 방산동, 그리고 우리가 지켜야 할 문화유산

9. 마무리와 남겨진 질문



본문


1912년, 중구 방산동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지금은 빌딩과 상가가 빽빽하게 들어선 서울의 중심부이지만, 불과 100여 년 전만 해도 방산동은 훨씬 다른 풍경을 지니고 있었다. 당시 기록에 따르면 방산동은 총 151필지, 약 38,122㎡의 면적을 가진 작은 동네였다.


그 땅 위에는 집터도 있었고, 밭도 있었으며, 누군가는 생활을 이어가기 위해 땀을 흘렸고, 또 누군가는 권력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토지를 소유했다. 오늘날 우리가 문화재 발굴과 지표조사를 통해 과거를 들여다보듯, 1912년의 방산동은 바로 그 흔적을 고스란히 품고 있는 장소였다.

ree


1. 방산동, 1912년 그 땅의 시작


방산동이라는 이름은 본래 ‘방앗간이 모여 있던 마을’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곡식을 찧고, 음식을 마련하며, 생활이 이어지던 곳이었다.


1912년 조선총독부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방산동의 토지 현황이 세밀하게 기록되었는데, 이는 단순한 땅의 면적을 넘어서 그곳에 살던 사람들의 생활상, 사회적 구조, 나아가 일제강점기의 사회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그때 방산동의 총 면적은 38,122㎡, 그 안에 집터와 밭이 나뉘어 존재했다. 당시 서울의 중심이라는 지리적 위치를 고려하면, 이 작은 땅 안에 얼마나 많은 이야기가 켜켜이 쌓여 있었을지 짐작할 수 있다.



2. 집과 밭이 말해주는 삶의 흔적


1912년 기록에 따르면 방산동에는 90필지, 15,097㎡의 집터가 있었다. 이는 곧 당시 사람들의 주거 공간이자 생활의 중심이었다. 작은 초가집부터 기와집까지, 다양한 형태의 가옥이 이 땅 위에 흩어져 있었을 것이다.


또한 밭은 61필지, 23,024㎡에 달했다. 오늘날의 눈으로 보면 방산동 한복판에 이렇게 넓은 밭이 존재했다는 것이 놀랍게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당시에는 농업이 여전히 생활의 근간이었고, 밭은 단순한 농경지를 넘어 가족의 생계와 직결된 삶의 터전이었다.


집과 밭이 공존했던 방산동은 단순한 주거지라기보다는, 도시와 농촌의 경계가 맞닿아 있던 공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3. 성씨별 토지 소유와 마을 사람들


방산동의 토지 소유 구조를 살펴보면 당시 마을 사람들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엿볼 수 있다.


김씨가 25필지, 박씨와 이씨가 각각 21필지를 소유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곧 특정 성씨 중심으로 마을 공동체가 형성되었음을 보여준다. 한 마을에 같은 성씨가 모여 산다는 것은 단순히 땅을 공유하는 것을 넘어, 혼인 관계나 친족 관계, 경제적 협력을 통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다는 의미다.


우리가 문화재 발굴을 통해 토기 조각이나 기와를 발견하듯, 성씨별 토지 분포 역시 당시 사람들의 관계망을 보여주는 하나의 유물이라 할 수 있다.



4. 국유지와 일본인의 토지 소유, 시대의 그림자


하지만 이 평온한 마을에도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졌다.


1912년 당시 방산동에는 7필지의 국유지가 존재했다. 국유지는 곧 국가, 즉 조선총독부가 직접 소유한 땅이었다. 이와 함께 일본인 소유의 토지도 눈에 띈다. 일본인들은 9필지를 소유하고 있었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일본인들이 점차 조선의 토지를 빼앗아 나가던 과정과 맞닿아 있다.


겉으로 보면 단순한 숫자에 불과할 수 있지만, 이는 당시 마을 사람들에게 큰 위협이었다. 오늘날 우리가 도시 개발 속에서 터전을 잃는 것처럼, 그 시대에도 일본인의 토지 소유는 곧 삶의 기반이 흔들리는 것을 의미했다.



5. 방산동을 바라보는 문화유산 발굴의 시선


문화재 발굴과 지표조사는 단순히 땅속에 묻힌 유물을 찾는 일이 아니다. 그것은 과거 사람들의 삶, 사회의 구조, 시대의 흐름을 밝히는 작업이다.


방산동의 1912년 기록은 오늘날 우리가 발굴조사를 통해 얻는 성과와 다르지 않다. 당시의 필지 수, 면적, 소유자 현황은 모두 그 시대 사람들의 생활을 증언하는 유물과도 같다.


만약 방산동 일대에서 발굴조사가 진행된다면, 옛 가옥의 기단석이나 생활 도구, 혹은 밭에서 사용된 농기구 등이 나올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것들은 곧 1912년이라는 시간과 연결되어,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숫자들을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게 해줄 것이다.



6. 지표조사와 발굴조사가 중요한 이유


서울 같은 대도시에서는 개발사업이 끊임없이 이어진다. 그런데 새로운 건물을 세우거나 도로를 확장하기 전에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 있다. 바로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다.


지표조사는 말 그대로 땅 위의 흔적을 조사하는 것이다. 발굴조사에 앞서 문화재의 존재 가능성을 확인하는 단계로, 과거의 생활 흔적을 미리 발견할 수 있다. 방산동 같은 지역에서는 지표조사만으로도 옛 마을 구조나 생활상을 짐작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이후 발굴조사를 통해 땅속 깊은 곳을 파헤치면, 단순한 기록에 머물렀던 숫자들이 실제 유물과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7. 성공 사례로 보는 문화재 조사 현장 이야기


서울에서는 이미 여러 차례 발굴조사를 통해 놀라운 성과가 있었다. 예를 들어 종로 일대에서는 조선시대의 가옥터와 도로가 그대로 드러나, 당시 도시 구조를 복원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비슷한 맥락에서 방산동 역시 개발 과정에서 문화재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일제강점기의 토지 구조뿐 아니라 그 이전 조선시대, 더 거슬러 고려나 삼국시대의 흔적까지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발굴 성과는 단순히 학문적 가치에 그치지 않는다.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기도 하고, 지역 정체성을 살리는 문화적 자산이 되기도 한다. 방산동 주민들에게도 이는 곧 자부심이 될 수 있다.



8. 오늘날 방산동, 그리고 우리가 지켜야 할 문화유산


오늘날 방산동은 서울의 한복판, 인쇄소와 상가로 가득한 상업 지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그 땅 위에는 여전히 100년 전 사람들의 삶이 겹겹이 쌓여 있다.


우리가 문화재 발굴과 지표조사를 통해 과거를 밝혀내는 이유는 단순히 옛날을 아는 것이 아니라, 지금을 더 깊이 이해하고 미래를 준비하기 위함이다.


방산동의 1912년 기록은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서울의 역사다. 그리고 그 기록을 바탕으로 한 문화재 조사는 앞으로 더 많은 이야기들을 우리에게 들려줄 것이다.



9. 마무리와 남겨진 질문


1912년, 151필지의 땅 위에 살던 방산동 사람들은 오늘의 서울을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우리가 발 딛고 서 있는 이 도시의 토양은 단순한 흙이 아니라, 수많은 세대의 땀과 눈물, 그리고 역사가 스며든 땅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서울 곳곳에서 문화재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방산동 역시 언젠가 그 깊은 땅속의 이야기를 세상에 드러낼 날이 올 것이다.


그때 우리는 어떤 새로운 사실을 마주하게 될까? 그리고 그것은 오늘의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될까?



해시태그




출처: 서울 문화유산 발굴 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