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역촌동에는 무슨 일이 있었을까?

목차


  1. 프롤로그: 1912년, 역촌동의 숨겨진 이야기

  2. 논이 역촌동을 뒤덮던 시절

  3. 역촌동에 자리 잡은 사람들의 이야기

  4. 산과 무덤, 역촌동의 숨은 얼굴

  5. 김씨와 이씨, 역촌동의 오랜 터줏대감

  6. 식민의 흔적, 동양척식주식회사

  7. 역촌동의 오늘을 만든 국유지 이야기

  8. 마무리: 역촌동의 역사, 다시 보는 오늘



1912년, 역촌동에는 무슨 일이 있었을까?


우리가 지금 걸어 다니는 서울 은평구의 역촌동 거리가 한때 끝없는 논과 밭이었던 걸 상상이나 했을까? 지금은 화려한 도시풍경에 가려져 있지만, 불과 100여 년 전 이 땅 위엔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다양한 삶과 역사가 펼쳐지고 있었다.


1912년, 이 역촌동은 지금의 모습과는 전혀 다른 땅이었다. 당시 이 땅의 이야기를 오늘 처음 꺼내 본다.


서울 구석구석을 사랑하는 너라면, 이 이야기에서 결코 빠져나올 수 없을 걸?


그럼, 1912년의 역촌동으로 함께 떠나 보자.

ree

역촌동을 뒤덮었던 논 이야기


1912년 역촌동에는 무려 55필지, 436,702㎡의 논이 펼쳐져 있었다. 오늘날 아파트 단지와 상점가가 들어선 자리에 과거엔 황금빛 벼가 바람에 흔들리던 풍경이 펼쳐졌다. 상상만 해도 가슴이 설레지 않아?


논농사는 당시 역촌동 사람들의 생계를 책임지는 중요한 삶의 터전이었고, 계절마다 달라지는 풍경은 사람들의 마음까지 풍요롭게 만들었다. 논이 지닌 여유로운 풍경을 바라보며 우리는 100년 전 사람들의 삶을 상상할 수 있다.


역촌동에 자리 잡은 사람들의 이야기


당시 역촌동에는 30필지, 23,124㎡의 대지가 있었다. 이 땅 위에선 누군가의 가정이 꾸려졌고, 동네 사람들은 서로의 안부를 묻고 이웃과 어울려 살아갔다. 집집마다 피어오르는 밥 짓는 연기와 아이들이 뛰노는 모습은 정겨운 마을의 풍경이었다.


역촌동 사람들은 농사를 지으며 서로 의지했고, 마을에는 따뜻한 인정과 정감이 넘쳤을 것이다. 지금의 바쁜 일상에 지친 우리에게, 역촌동의 이 소소한 이야기는 잔잔한 위로가 된다.


산과 무덤, 역촌동의 숨은 얼굴


역촌동의 풍경은 논밭만이 아니었다. 이곳에는 8필지, 무려 413,305㎡나 되는 임야가 있었다. 이 산은 마을을 감싸며 주민들에게 휴식과 위안을 주는 공간이었다. 그리고 또 하나 눈여겨볼 것은 바로 2필지, 1,639㎡의 작은 무덤들이었다. 마을 사람들의 기억과 역사가 고스란히 잠든 곳이었다.


무덤은 조용히 마을을 지켜보며 역사와 삶의 흔적을 기록하고 있었던 셈이다.


김씨와 이씨, 역촌동의 터줏대감들


당시 역촌동엔 유독 김씨가 많았다. 무려 81필지나 되는 땅을 김씨들이 소유하고 있었다니, 사실상 이곳의 주인공이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씨도 12필지를 소유하며 역촌동의 역사에 자신들의 이름을 남겼다.


김씨와 이씨의 가족들은 마을의 중심에서 삶의 역사를 써 내려갔고, 지금의 역촌동을 이루는 밑거름이 되었다. 그들의 이야기를 떠올리며 오늘 우리가 걷는 길도 더 특별해진다.


식민의 흔적, 동양척식주식회사 이야기


역촌동은 아름다운 이야기만 가득했던 건 아니었다. 1912년은 일제 강점기의 시작 무렵으로, 동양척식주식회사가 역촌동에 무려 44필지의 땅을 차지하며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이들은 역촌동 사람들의 삶을 흔들었고, 많은 이들이 어려움을 겪었다.


오늘 우리가 지나치는 골목에도 이런 가슴 아픈 역사가 있었음을 잊지 말자. 우리는 이런 역사를 기억하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가야 한다.


국유지, 역촌동을 바꾼 또 다른 주인공


1912년 역촌동에는 국가 소유의 땅이 37필지나 있었다. 이 땅은 이후 역촌동의 발전 과정에서 공공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었고, 현대적인 도시로 변화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국유지는 때론 역촌동 사람들의 생활에 활기를 더해주었고, 새로운 시설들이 들어설 수 있는 기반이 되어 주었다. 오늘날의 공원이나 공공시설 역시 당시 국유지의 흔적이다.


마무리: 역촌동의 역사, 다시 보는 오늘


역촌동의 1912년 이야기를 듣고 나니, 평범하게만 보이던 길과 골목들이 새삼 특별하게 느껴지지 않아? 논과 밭이 있던 자리, 집과 무덤이 있던 자리, 그리고 식민의 흔적까지 역촌동의 모든 풍경은 과거의 기억을 담고 오늘의 우리에게 말을 건다.


이제 역촌동을 걸을 때마다 이 이야기들이 떠올라, 더욱 의미 있는 발걸음이 될 것이다.


역사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1912년 역촌동 이야기가 너의 하루를 조금 더 특별하게 만들었길 바래.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