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서울 한복판의 타임캡슐, 1912년 관철동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목차


  1. 프롤로그 - 1912년 관철동, 그때 그 골목의 숨결

  2. 모든 땅 위에 집이 서다

  3. 관철동 터줏대감, 이씨와 김씨 이야기

  4. 관철동의 또 다른 성씨들 - 박씨, 최씨, 신씨의 삶

  5. 경성 속 작은 일본, 관철동 일본인 이야기

  6. 과거를 걷다, 지금의 관철동 풍경

  7. 에필로그 - 오래된 동네에서 미래를 찾다



그날의 골목을 따라가다 보면, 백 년 전 이곳에서 살아가던 이들의 웃음소리와 발걸음이 들리는 듯하다.


지금부터 우리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오래된 지도를 펼쳐 1912년 종로구 관철동의 숨겨진 이야기를 만나보자.

ree



프롤로그 - 1912년 관철동, 그때 그 골목의 숨결


종로는 예나 지금이나 서울의 심장이다.


하지만 1912년의 종로구 관철동 풍경은 지금 우리가 아는 현대적인 번화가와는 꽤 다른 모습이었을 것이다.


백 년 전의 관철동 골목길은 어떤 집들이 빽빽하게 들어서 있었을까?


그 집들 속에서는 어떤 성씨들이, 어떤 사람들의 삶이 얽혀 있었을까?


모든 땅 위에 집이 서다


1912년의 종로구 관철동을 이야기할 때 가장 먼저 주목할 점은 전체 면적이 모두 주거지로 사용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관철동의 286필지, 총 면적 66,697㎡의 땅은 예외 없이 전부 집터였다.


당시의 서울 중심부가 지금처럼 상점과 빌딩으로 가득하기보다는 작은 기와집과 초가집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정겨운 주택가의 모습을 하고 있었을 것이다.


지금 우리가 카페를 찾고 맛집을 탐방하며 걷는 그 골목길 위에는 과거 수백 명의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골목마다 가정의 냄새와 밥 짓는 연기가 스며 있었던 이 동네를 상상하면, 잠시 마음이 따뜻해지는 듯하다.


관철동 터줏대감, 이씨와 김씨 이야기


그렇다면 이 수많은 집들은 누가 살고 있었을까?


1912년 당시, 관철동의 가장 많은 땅을 차지하고 있던 사람들은 바로 이씨와 김씨였다.


이씨 가문은 관철동에서 가장 많은 61필지의 땅을 차지하며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김씨 역시 38필지의 땅을 소유하며 동네의 주요 구성원으로 자리 잡았다.


이 두 가문의 집안 풍경을 상상해 보자.


대청마루 위에서 삼삼오오 모여앉아 담소를 나누고, 골목의 아이들은 나무 막대기를 들고 놀고 있을 테고, 동네 어른들은 길목에 앉아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나누며 웃음꽃을 피웠을 것이다.


관철동의 또 다른 성씨들 - 박씨, 최씨, 신씨의 삶


이씨와 김씨 외에도 관철동에는 박씨, 최씨, 신씨 등이 집성촌을 이루고 있었다.


박씨는 19필지를 소유했고, 최씨는 18필지를 가지고 있었다.


신씨 또한 12필지를 차지하며 관철동에서 자신들의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이들 각 가문은 크고 작은 필지 위에 집을 짓고, 세월을 견디며 살아왔다.


집의 크기나 소유한 필지 수가 다를 뿐, 그들이 살아온 삶의 결은 모두 다채롭고 깊었다.


그곳엔 서로를 이웃으로 여기며 희로애락을 함께 나눈 진한 삶의 향기가 있었을 것이다.


경성 속 작은 일본, 관철동 일본인 이야기


하지만 그때 관철동에는 한국인들만 살고 있지는 않았다.


1912년, 일제 강점기 초기였던 이 시절, 관철동에는 일본인들도 거주하고 있었다.


그들은 총 13필지를 소유하며 자신들만의 작은 일본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일본인들의 필지에는 주로 일본식 가옥이 지어졌고, 이 작은 영역 안에서 그들은 자신들의 생활양식을 유지하며 살았다.


지금으로부터 백여 년 전, 복잡했던 그 역사의 한복판에서, 관철동은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던 동네였다.


과거를 걷다, 지금의 관철동 풍경


백 년이 훌쩍 넘은 오늘날의 관철동은 젊은이들이 사랑하는 핫플레이스가 되었다.


카페와 맛집, 패션샵과 클럽들이 즐비한 현대적인 골목이지만, 잘 들여다보면 과거의 흔적도 여전히 남아 있다.


골목마다 오래된 담벼락과 낡은 벽돌, 몇몇 오래된 건축물은 그때 그 시절의 이야기를 여전히 품고 있는 것이다.


오늘의 우리가 걷는 이 거리는, 그렇게 과거와 현재가 조화롭게 어우러진 매력적인 공간이다.


그런 관철동의 숨겨진 매력을 찾아 천천히 골목길을 걸어보는 것은 어떨까?


에필로그 - 오래된 동네에서 미래를 찾다


1912년의 관철동은 역사 속의 작은 점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사실 그것은 오늘 우리가 살아가는 서울의 뿌리가 되어준 소중한 흔적이다.


오래된 집터와 수많은 성씨의 이름, 그리고 시대의 굴곡을 견디며 지금의 서울을 만들어온 이 동네는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문화유산이다.


그렇게 과거의 관철동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미래의 이야기를 건네고 있다.


과거와 현재가 만나 새로운 이야기가 탄생하는 관철동.


오늘도 이곳의 골목길을 걸으며, 시간을 넘어 이어져 오는 그 소중한 이야기를 기억해보자.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