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서울 한복판, 우리가 몰랐던 종로구 권농동의 이야기”

목차


  1. 우리가 몰랐던 권농동의 숨겨진 역사

  2. 1912년, 권농동의 규모와 모습

  3. 성씨별 토지 소유 현황 – 누가 이곳을 지배했나

  4. 당시의 국유지 현황과 그 의미

  5. 서울 도심 속 시간여행 – 권농동의 과거가 말해주는 것

  6. 오늘날의 문화재지표조사와 발굴의 중요성

  7. 성공사례로 보는 문화유산 보존의 힘

  8. 왜 지금, 문화재 조사를 의뢰해야 하는가

ree

“서울 한복판, 우리가 몰랐던 종로구 권농동의 이야기”


서울의 도심을 걷다 보면 눈앞에 펼쳐지는 현대적인 풍경 속에 과거가 숨어 있다는 걸 잊기 쉽습니다. 하지만 그 땅 아래는, 오래된 기억들이 층층이 쌓여 있다는 걸 아시나요?


1912년, 지금으로부터 110년이 훌쩍 넘은 시간 전. 서울 종로구 권농동이라는 마을에는 누가 살고 있었을까요? 그들은 어떤 이름을 가지고 있었고, 얼마나 많은 땅을 차지하고 있었을까요? 이 조용하고 낯선 동네 이름 속엔 서울이라는 도시가 성장해온 숨겨진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1. 우리가 몰랐던 권농동의 숨겨진 역사


권농동(勸農洞)은 이름부터 독특합니다. ‘농사를 권장한다’는 뜻을 가진 이 동네는, 한때 농업이 국가의 근본이던 시절 그 중요성을 새기기 위해 붙여졌을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1912년의 권농동은 더 이상 논밭이 주를 이루는 마을은 아니었습니다.


그해, 권농동은 총 191필지, 면적 29,395㎡의 대지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지금처럼 복잡한 빌딩 숲이 아닌, 집집마다 나뉘어 있는 토지가 줄지어 있는 모습이었겠지요. 그 모습은 단순한 통계 너머로, 사람들의 삶과 움직임을 상상하게 만듭니다.


2. 1912년, 권농동의 규모와 모습


191필지. 숫자로 보면 작아 보일 수도 있지만, 그 안에는 수많은 사람들의 발자국과 웃음, 눈물이 담겨 있었을 겁니다.


29,395㎡라는 면적은 현재의 축구장 약 4개 크기. 당시에는 지금보다 인구 밀도가 훨씬 낮았기 때문에, 각 집마다의 마당과 공간도 꽤 넓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공간 속에 어떤 사람들이 살았을까요? 단지 ‘서울 중심에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이 마을이 특별한 건 아닙니다. 실제로 어떤 사람들이 이 권농동을 구성했는지가 훨씬 더 중요하니까요.


3. 성씨별 토지 소유 현황 – 누가 이곳을 지배했나


흥미롭게도 1912년 권농동에는 성씨별 토지 소유 분포가 아주 뚜렷했습니다.


정씨가 무려 112필지를 소유해 전체의 절반을 넘겼고, 그 뒤를 이씨(38필지), 김씨(31필지), 박씨와 최씨(각 11필지)가 이었습니다.


이 숫자는 단순히 땅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 당시의 사회적 위계와 영향력, 그리고 그들이 이 동네에 남긴 흔적을 말해주는 지표입니다.


정씨 집안은 아마도 권농동의 대표적인 세력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처럼 문화재지표조사에서는 단순히 땅의 크기나 위치가 아닌, 소유자와 그 사회적 배경을 통해 당시의 생활상과 지역 특성을 복원해낼 수 있습니다.


4. 당시의 국유지 현황과 그 의미


그 시절, 권농동에도 국유지가 있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12필지.


정부나 관청이 소유한 이 땅은 당시의 행정기능, 공공시설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이 국유지들이 학교나 창고, 관청으로 사용되었을 수도 있고, 때론 단순한 공터로 남겨졌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문화재 발굴조사에서는 이러한 ‘국유지’가 당시의 도시계획을 이해하는 중요한 실마리가 된다는 점입니다.


5. 서울 도심 속 시간여행 – 권농동의 과거가 말해주는 것


서울이라는 도시는 마치 거대한 지층처럼 켜켜이 쌓인 역사로 이뤄져 있습니다.


현대의 고층빌딩 아래, 누군가는 수백 년 전에도 그곳에서 밥을 짓고, 아이를 키우고, 인생을 살았습니다.


권농동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은 도심 속에 잊힌 이름일지 몰라도, 문화재 지표조사와 발굴을 통해 그 흔적은 다시금 세상 위로 올라올 수 있습니다.


6. 오늘날의 문화재지표조사와 발굴의 중요성


문화재지표조사는 단순한 ‘옛날 조사’가 아닙니다.


건축이나 도시개발을 하기 전, 해당 지역에 어떤 유물이 묻혀 있는지 조사하는 필수 과정입니다.


지표조사를 통해 잠들어 있는 역사적 유물이나 유적을 찾아내고, 필요한 경우 시굴조사나 발굴조사로 이어지게 됩니다.


서울처럼 역사가 깊은 지역은 개발 전에 반드시 이런 조사를 통해 문화재가 훼손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7. 성공사례로 보는 문화유산 보존의 힘


서울 종로구의 모 아파트 재개발 지역에서는 지표조사 결과 조선 후기의 민가 유구와 기와 조각, 도자기 조각 등이 다수 발견된 사례가 있습니다.


당초 건축 예정이었던 구역은 보존구역으로 전환되었고, 그 유물들은 서울 역사박물관의 전시물로 재탄생했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우리가 ‘지금’을 위해 ‘과거’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8. 왜 지금, 문화재 조사를 의뢰해야 하는가


서울 도심에서 새로운 건물을 지으려 한다면, 반드시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법적으로도 요구되는 과정이지만, 더 중요한 것은 ‘기록되지 않은 역사’를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존중입니다.


종로구 권농동 같은 지역은 말 그대로 ‘땅이 곧 역사’인 곳이니까요.


문화재지표조사와 시굴조사, 표본조사를 통해 우리가 놓치고 있는 진짜 서울의 모습을 만날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에서 문화유산 관련 조사를 계획 중이시라면, 지금이 바로 그 첫걸음을 내딛어야 할 때입니다.


해시태그


글 출처는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