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서울 중구 수하동 1912년의 비밀: 지표조사로 밝혀낸 잊혀진 풍경

목차


  1. 서울의 과거를 여는 열쇠, 수하동

  2. 1912년, 수하동의 땅과 사람들

  3. 김씨, 일본인, 중국인…누가 얼마나 소유했을까?

  4. 단 하나뿐이던 국유지의 의미

  5. 문화재 지표조사가 밝혀낸 수하동의 진짜 얼굴

  6. 잊혀진 서울, 지금 우리가 알아야 할 이유

  7. 오늘날 문화유산 조사와 발굴의 중요성

  8. 서울에서 문화재 조사를 의뢰해야 할 때

  9. 수하동 이야기에서 배운 것들

  10. 성공사례로 보는 문화유산 지표조사의 가치


ree


“100년 전 서울 한복판엔 누가 살고 있었을까?”


이 질문 하나가 던져졌을 때, 당신은 지금 그저 낡은 흑백사진 한 장을 떠올릴지 모른다.


하지만 문화재 지표조사는 그런 과거를 다시 살아 숨 쉬게 만든다.


서울의 중심 중 하나였던 중구 수하동, 지금은 빌딩과 도로로 빽빽이 채워진 이곳이, 1912년엔 단 65필지, 약 1만 8천 평방미터 규모의 조용한 동네였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더 놀라운 건, 그 땅을 누가 소유하고 있었는지다.




서울의 과거를 여는 열쇠, 수하동


서울시 중구, 대한민국의 행정과 경제 중심지이자 역사의 무게가 켜켜이 쌓인 지역.


그중에서도 수하동은 조선 시대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지금까지도 서울 중심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100년 전 이곳이 어떤 모습이었는지는 문화재 지표조사 없이는 결코 알 수 없다.


지표조사란, 특정 지역의 지형, 유물 분포, 옛 문헌 등을 바탕으로 과거의 생활상을 유추해내는 작업이다.


수하동이 바로 그 대표적인 사례다.




1912년, 수하동의 땅과 사람들


1912년, 조선이 일본에 병합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기.


그 무렵의 수하동은 지금처럼 북적이지 않았다.


공식적인 기록에 따르면 65필지의 대지와 총 18,095㎡(약 5,474평)의 면적이 있었다.


하나의 필지가 단독주택 한 채라 가정하면, 당시엔 대략 60여 가구 정도가 조밀하게 혹은 널찍하게 살아가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도시화가 덜 된 시절이니, 정원과 마당이 넓은 집들도 있었을 것이다.




김씨, 일본인, 중국인…누가 얼마나 소유했을까?


그 당시 수하동은 누구의 소유였을까?


이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다.


그 시절의 사회 구조, 민족 구성, 경제력 분포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다.


우선, 가장 많은 토지를 소유한 성씨는 김씨, 무려 14필지를 차지했다.


이는 한 가족 혹은 여러 김씨 가문이 이 지역에 거주했음을 보여주는 기록이다.


당시의 ‘김씨’는 지금처럼 흔한 성씨이긴 하지만, 14필지를 보유했다는 것은 이 지역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을 가능성을 말해준다.


그리고 눈여겨봐야 할 점은 일본인의 소유다.


일제강점기가 본격화되던 이 시기, 수하동에는 이미 일본인들이 5필지의 토지를 점유하고 있었다.


이것은 단순한 거주 목적이라기보다, 경제적·행정적 목적으로 이 지역을 전략적으로 확보하고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더불어 중국인도 1필지를 소유하고 있었는데, 이는 국제무역이나 중개업을 했던 화교의 흔적일 수 있다.




단 하나뿐이던 국유지의 의미


1912년 수하동에 단 한 필지의 국유지가 있었다는 사실은 매우 상징적이다.


당시 대부분의 땅은 개인이나 외국인 소유였다는 뜻이며, 공공의 공간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도시 행정의 한계를 보여준다.


이 유일한 국유지는 지금의 행정기관 부지였을 수도 있고, 혹은 우체국, 경찰서 같은 시설의 전신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문화재 지표조사가 밝혀낸 수하동의 진짜 얼굴


이 모든 사실을 우리는 어떻게 알게 되었을까?


바로 ‘문화재 지표조사’ 덕분이다.


지표조사는 단순한 발굴이 아니라, 옛 지도를 복원하고, 주민 명부를 추적하며, 토지대장까지 샅샅이 조사하는 문화유산의 CSI 같은 작업이다.


단순히 땅을 파는 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이야기와 역사, 사람들의 삶까지 파헤치는 작업이다.


수하동은 바로 이 지표조사를 통해 과거의 기억을 되살릴 수 있었던 대표적인 사례다.




잊혀진 서울, 지금 우리가 알아야 할 이유


지금의 서울은 초고층 빌딩과 지하철 노선으로 가득하지만, 그 아래에는 여전히 수백 년 전의 이야기가 묻혀 있다.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는 땅 속에는, 과거의 흔적과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가 잠들어 있다.


그래서 지표조사는 단순히 발굴을 위한 사전 조사에 그치지 않는다.


도시 개발과 함께 살아 숨 쉬는 역사 보존의 핵심 열쇠다.




오늘날 문화유산 조사와 발굴의 중요성


지금도 서울의 곳곳에서 재개발, 도시재생, 신축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문화재 지표조사 없이 삽질을 시작한다면, 중요한 역사 유물이 파괴되거나, 서울의 정체성을 잃어버릴 위험이 있다.


지표조사와 시굴조사, 표본조사, 발굴조사는 각각의 목적에 맞게 철저히 진행되어야 하며, 이는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니라 책임 있는 도시 설계의 시작점이다.




서울에서 문화재 조사를 의뢰해야 할 때


혹시라도 중구나 종로, 용산 등에서 부동산 개발을 계획 중이라면,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이 바로 문화재 조사다.


서울은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인 만큼, 토지에 따라 사전 조사가 의무일 수 있다.


이때 신속하고 정확한 지표조사 기관을 선정하는 것이 핵심이다.


서울 문화유산 발굴 조사는 오랜 경험과 전문 인력을 바탕으로 서울시 문화재 행정과 긴밀히 협조하며 작업을 진행한다.




수하동 이야기에서 배운 것들


이제 수하동은 단순한 행정 구역이 아니다.


100년 전의 삶과 갈등, 국유지와 사유지, 일본과 중국의 영향력, 김씨 가문의 흔적들이 얽힌 서울의 살아있는 역사 박물관이다.


이런 이야기를 더 많이 발굴하고, 기록하며, 사람들에게 알려야 한다.




성공사례로 보는 문화유산 지표조사의 가치


2021년, 서울시 용산구의 한 재개발 현장에서는 지표조사 과정에서 조선 후기의 가옥 구조와 유물들이 발견되어, 문화재 등록으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개발 방향이 조정되었지만, 그 결과는 놀라웠다.


새로운 도시개발과 전통의 공존 모델로 평가받으며, 오히려 지역의 가치가 상승했고, 주민들의 자긍심도 높아졌다.


수하동 역시 그런 가능성을 품고 있다.




마무리하며


지표조사는 단지 땅을 파기 위한 준비가 아니다.


그 땅에 얽힌 수백 년의 이야기를 되살리는 작업이며, 서울이라는 도시를 진짜 ‘살아 있는 역사 공간’으로 만드는 일이다.


100년 전 수하동의 65필지는 오늘날 우리에게 잊지 말아야 할 메세지를 전하고 있다.


당신이 지금 밟고 있는 그 땅이, 역사일 수 있다.




출처: 서울 문화유산 발굴 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인기 해시태그


조사 의뢰자용 해시태그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