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서울 종로구 부암동의 땅이 들려주는 1912년의 이야기

목차


  1. 시간을 거슬러, 1912년 부암동으로

  2. 396필지의 땅이 들려주는 마을의 풍경

  3. 부암동에 지어진 집과 그 흔적들

  4. 성씨별로 본 땅의 주인들

  5. 밭이 지배하던 풍경, 그리고 임야의 존재감

  6. 사사지와 잡종지의 의미

  7. 마을 소유와 일본인 소유, 기억해야 할 흔적

  8. 오늘의 부암동, 과거를 마주하다

  9. 문화재 지표조사가 밝혀낸 사실들

  10. 왜 지금, 발굴이 필요한가?



ree

“1912년, 서울 부암동에는 얼마나 많은 이야기가 묻혀 있었을까?”


누군가는 ‘그저 오래된 지도 하나일 뿐’이라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지도를 펼쳐보는 순간, 우리는 잊혀진 이름들을 만나게 된다. 집을 짓고 밭을 일구며, 임야를 소유했던 이들의 흔적, 그리고 침묵 속에 놓여 있던 일본인의 토지까지.


서울 종로구 부암동, 지금은 감성 카페와 고즈넉한 한옥이 어우러진 인기 명소지만, 1912년 이곳은 전혀 다른 풍경이었다. 무려 396필지에 달하는 넓은 면적, 1,016,437㎡의 땅 위에는 서울의 근현대를 설명할 수 있는 무수한 스토리가 펼쳐지고 있었다.




시간을 거슬러, 1912년 부암동으로


그해, 부암동은 대도시 서울의 일부였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마을의 형상을 간직한 채 존재했다. 정확히 396필지의 땅이 기록되어 있었고, 그 총 면적은 1,016,437㎡. 지금 기준으로 보자면 서울 도심 속 숨겨진 보물 같은 공간이었다.


무엇보다 흥미로운 점은, 이 넓은 지역 대부분이 ‘밭’이었다는 사실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도시적 풍경과는 정반대의 모습이다.




396필지의 땅이 들려주는 마을의 풍경


1912년의 부암동에는 다양한 유형의 토지가 존재했다. 집이 지어진 대지, 종교 시설이 들어섰을 사사지, 관리되지 않던 잡종지까지. 이 각각의 땅이 하나의 퍼즐 조각이 되어 당시 사람들의 삶을 상상하게 만든다.


  • 대지(집터)는 141필지, 면적으로는 47,544㎡

  • 사사지(사찰 부지)는 1필지, 198㎡

  • 임야(산)은 26필지, 69,765㎡

  • 잡종지(기타 용도 미상)는 1필지, 1,044㎡

  • 그리고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밭은 무려 227필지, 897,885㎡



이 중에서도 밭의 비중이 전체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이 지역이 농경 중심의 생활 방식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부암동에 지어진 집과 그 흔적들


도심 속 전원, 그 중심에는 사람들이 살았던 집이 있었다. 141필지의 대지에는 누가 살았고, 어떤 방식으로 살아갔을까?


당시 집들은 대부분 목조 단층 주택이었고, 전통적인 한옥 구조를 따랐을 가능성이 크다. 물길이 좋은 위치나 산을 등진 풍수적 명당자리에 집들이 들어섰고, 그 집들은 오늘날까지도 일부 흔적을 남기며 도심 풍경에 스며들어 있다.




성씨별로 본 땅의 주인들


누가 이 땅을 소유하고 있었을까? 부암동에는 다양한 성씨들이 자리 잡고 있었다. 특히 김씨가 71필지, 이씨가 68필지, 윤씨가 39필지, 박씨와 유씨가 각 27필지를 소유하며 가장 활발한 지주 계층을 형성했다.


최씨(24필지), 정씨(23필지), 민씨(19필지), 한씨(16필지) 역시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는데, 이는 마을 내에서 다양한 성씨 간의 공존과 경제적 지분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런 기록은 문화재 지표조사를 통해 지금도 확인 가능하며, 각 성씨의 거주 분포와 경제활동의 흔적을 추적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로 남아 있다.




밭이 지배하던 풍경, 그리고 임야의 존재감


897,885㎡에 달하는 밭. 이토록 넓은 밭은 무엇을 위해 존재했던 걸까? 이 지역은 도시 근교 농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채소나 곡물 재배에 적합한 지형을 가졌다. 부암동의 경사진 지형은 배수에 유리했고, 따뜻한 남향의 땅은 작물 재배에 이상적이었다.


반면, 69,765㎡의 임야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산과 숲은 단지 경관 요소가 아니라, 땔감과 약초 채취, 방목지로 활용되는 등 주민 생활의 핵심 자원이기도 했다.




사사지와 잡종지의 의미


사사지 198㎡. 작아 보일지 모르지만, 이는 당시 종교시설이나 사찰의 터였을 가능성이 높다. 사찰은 단순한 종교시설을 넘어 마을 공동체의 중심이었다.


잡종지 1,044㎡는 기록상 용도가 불명확하지만, 종종 공동 우물터, 나무 저장 공간, 또는 공용 통로 등으로 사용되었을 수 있다. 이런 부지들은 문화재 지표조사를 통해 구체적인 용도가 밝혀지기도 한다.




마을 소유와 일본인 소유, 기억해야 할 흔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부분은, 마을 소유 토지가 2필지, 그리고 일본인 소유 토지가 14필지 있었다는 사실이다. 1912년은 일제강점기 초반으로, 일본인들의 토지 점유가 점차 증가하던 시기다.


14필지의 일본인 토지는 강제로 매입되었거나, 경제적 불균형을 이용한 소유 변경일 가능성이 크다. 이런 기록은 단순한 숫자가 아닌, 우리가 기억해야 할 역사적 사실이며, 문화재 발굴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




오늘의 부암동, 과거를 마주하다


현재 부암동은 서울의 문화유산 보호지역으로서 다양한 발굴과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수많은 발굴 사례 중 하나로, 과거 일본인 소유 토지에서 조선 후기 유물과 생활 도구가 다수 발견되며 그 역사적 가치가 조명되었다.


성공적인 사례로는 한 부지에서 출토된 조선 후기 기와와 생활토기류 덕분에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과 건축 양식을 재현할 수 있었고, 이 지역은 현재 서울시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문화재 지표조사가 밝혀낸 사실들


문화재 지표조사는 단순한 사전 조사에 그치지 않는다. 이는 땅속에 숨은 시간을 드러내고, 그 위에 세워질 미래를 안전하게 만들기 위한 필수 과정이다. 발굴을 통해 과거를 복원하는 일은 도시의 정체성을 지키는 작업이기도 하다.


서울에서 이뤄지는 지표조사와 시굴조사는 빠르게 진행되는 도시 개발 속에서도 역사적 근거를 갖춘 도시 설계를 가능하게 만든다. 특히 종로구처럼 역사 깊은 지역일수록 이러한 조사의 중요성은 배가된다.




왜 지금, 발굴이 필요한가?


당신이 지금 부암동 어딘가에 새로운 건물을 짓고자 한다면, 그 땅 밑에는 수백 년 전의 기억이 묻혀 있을 수도 있다. 그것이 마을의 흔적이든, 일제강점기의 아픈 기억이든, 또는 오래된 사찰터의 기와 조각이든.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는 단순한 절차가 아니다. 이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도시가 어떤 역사를 지나 지금에 이르렀는지를 증명하는 ‘과학적 탐사’다.




출처: 서울 문화유산 발굴 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