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물 흐르듯 지나가던 천호동에도 1912년의 역사가 살아있다!

목차


  1. 시작은 흙과 물, 천호동의 숨겨진 논 이야기

  2. 사람의 온기가 머물던 작은 집들의 흔적

  3. 시간의 흔적, 소박하지만 특별한 무덤의 존재

  4. 자연이 품은 산, 천호동의 숨겨진 숲길

  5. 흙에서 피어난 생명, 밭의 광활한 이야기

  6. 땅에 담긴 성씨들, 그들이 남긴 자취

  7. 모두의 땅, 국유지의 이야기



물이 닿고 흙이 품었던 강동구 천호동의 1912년 모습은 지금과 많이 달랐다. 현재 번화가로 북적이는 이 동네가 예전엔 어떤 모습이었을지 상상해 본 적이 있을까?


지금으로부터 백 년이 넘은 그때, 천호동은 고요히 농사를 짓고 집을 지으며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이 터를 잡은 땅이었다.


그 흔적을 따라 1912년으로 천천히 시간여행을 떠나보자.

ree

시작은 흙과 물, 천호동의 숨겨진 논 이야기


지금 천호동은 도시의 활력으로 가득 차 있지만, 1912년만 해도 천호동은 드넓은 논이 펼쳐진 고즈넉한 농촌 풍경이었다.


기록을 보면 당시 천호동 전체 면적 1,856,943㎡ 중 무려 508,529㎡가 논이었다고 한다.


필지로 따지면 102필지나 되는 꽤 큰 규모의 농경지였던 것이다.


한강의 물을 품은 천호동의 논밭은 사람들에게 생명의 쌀을 선물하며 풍요로운 삶의 기틀을 마련해 주었다.


물 위에 비친 하늘의 모습, 햇살이 춤추는 논길을 걸었던 주민들의 이야기가 들려오는 듯하다.


사람의 온기가 머물던 작은 집들의 흔적


논밭 사이로 들어서면 소박하지만 정겨운 집들이 하나둘 나타났을 것이다.


1912년 천호동에는 모두 43필지, 면적으로는 23,791㎡의 대지가 집터로 사용됐다.


지금처럼 아파트나 빌라가 아닌 흙벽돌과 기와지붕의 낮고 작은 집들이었겠지만, 그곳에서 사람들은 서로 웃고, 밥을 지어 먹고, 이야기를 나누었을 것이다.


이 작은 공간에서 주민들은 때론 기쁨을, 때론 슬픔을 나누며 삶을 꾸려나갔다.


시간의 흔적, 소박하지만 특별한 무덤의 존재


사람이 머무는 곳이라면 피할 수 없는 이별도 존재한다.


1912년의 천호동에도 두 필지의 무덤이 있었다.


면적은 5,176㎡로 많지는 않았지만, 이것은 과거 이곳에 살아갔던 이들이 영원히 기억되고자 했던 삶의 흔적이다.


조용히 묻힌 그 무덤들은 지나가는 이들에게 삶의 유한함과 기억의 소중함을 알려주고 있었을 것이다.


자연이 품은 산, 천호동의 숨겨진 숲길


천호동의 자연은 논과 밭뿐만 아니라, 고요하고 풍성한 숲으로도 채워져 있었다.


1912년 천호동에는 35필지, 총 면적 230,814㎡의 산이 있었다.


지금의 천호동에서는 느낄 수 없는 싱그러움과 여유가 있던 이 산길은 주민들이 나무를 하고, 산책을 하고, 약초를 캐던 소중한 생활 터전이었다.


바람 소리, 새 소리, 그리고 계절마다 바뀌는 나무들의 색깔이 주민들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었을 것이다.


흙에서 피어난 생명, 밭의 광활한 이야기


천호동에서 가장 넓었던 공간은 단연 밭이었다.


344필지에 달하는 밭이 무려 1,087,631㎡나 펼쳐져 있었다.


이 거대한 밭은 주민들이 삶을 이어가도록 채소와 곡식을 내어주는 중요한 자원이었다.


그들이 손수 씨를 뿌리고 땀 흘려 경작한 이 땅에서 수많은 생명이 싹트고 성장했다.


계절이 바뀔 때마다 새롭게 자라는 작물의 싱그러움과 그 속에서 이루어진 삶의 이야기가 지금도 땅 아래 잠들어 있다.


땅에 담긴 성씨들, 그들이 남긴 자취


땅은 단순한 흙덩이가 아니라 그 위에서 살아간 사람들의 삶의 기록이다.


1912년 천호동의 땅에는 많은 성씨들이 자신의 삶을 뿌리내렸다.


가장 많은 땅을 가졌던 이씨가 183필지를 소유했고, 김씨가 81필지, 심씨가 72필지를 차지했다.


이어 구씨, 유씨, 우씨, 정씨, 안씨, 신씨 등도 각각 수십 필지씩 땅을 갖고 있었다.


그 땅 위에서 각자의 성씨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들만의 이야기를 써내려갔다.


땅의 주인이 바뀌고 시대가 바뀌어도 그들의 성씨와 삶의 흔적은 지금도 기억될 가치가 있다.


모두의 땅, 국유지의 이야기


1912년 천호동에는 주민들의 개인 소유뿐만 아니라 모두를 위한 땅도 존재했다.


21필지의 국유지가 있었는데, 이곳은 마을의 공공 시설이나 공용 공간으로 활용됐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국유지는 주민들이 서로 교류하고 공동체를 이루는 중심 공간으로 기능했을 것이다.


사람들이 오가고 쉬며, 서로의 삶을 나누었던 이곳이 오늘날의 공원이나 공공시설의 초기 형태였다고 볼 수 있다.


이제 우리는 그 국유지 위에 어떤 이야기들을 쌓아가고 있는지 돌아볼 때가 아닐까.


시간의 흔적을 따라 다시 돌아온 지금의 천호동은 거대하고 화려한 도시가 됐지만, 그 바탕에는 논과 밭에서 자라난 삶의 이야기들이 조용히 자리하고 있다.


이 글이 당신에게 과거를 돌아보고 지금의 삶을 다시 바라보는 작은 여유와 영감을 주었으면 좋겠다.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