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땅이 기억하는 백년의 기록, 1912년 서초동에서 시작된 문화재발굴의 여정”

목차


  1. 서문 – 서초동의 시간, 땅 아래 묻힌 이야기

  2. 1912년 서초동의 풍경 – 논, 밭, 그리고 사람들

  3. 토지의 주인들 – 성씨별로 본 소유의 역사

  4. 서초동 속 문화재발굴과 유적발굴단의 역할

  5. 문화재 지표조사로 드러난 서울의 뿌리

  6. 성공사례 – 잊힌 마을에서 되살아난 유물발굴 현장

  7. 문화재발굴조사장비와 발굴조사원의 하루

  8. 지금, 우리가 서 있는 서초동의 의미

  9. 마무리 –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로 이어지는 미래의 기록

  10. 출처





본문


“이 땅은 이미 기억하고 있었다.”


100년도 더 전, 1912년의 서초동은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고층 빌딩의 숲이 아니었다.

그곳은 논과 밭이 뒤섞인 평야, 그리고 수많은 사람들의 땀과 삶이 얽혀 있던 땅이었다.


당신이 지금 서초역 근처를 걷고 있다면, 그 아래에는 1,972,061㎡의 논과 1,038,331㎡의 밭이 잠들어 있다.

바로 1912년, 한 세기를 건너온 서초동의 땅 이야기다.





1. 서문 – 서초동의 시간, 땅 아래 묻힌 이야기



서초구 서초동. 오늘날 대한민국 법조의 중심이자 고층건물로 둘러싸인 상징적인 공간이다.

하지만 불과 백여 년 전만 해도 이곳은 1,179필지, 3,604,998㎡의 거대한 농경지였다.


그 넓은 땅 위에서는 논이 531필지, 밭이 512필지.

사람들의 손끝에서 쌀과 보리가 자라던 전형적인 한강 남쪽의 농촌 풍경이었다.


그 시절의 서초동은 단순한 마을이 아니라 서울 남부 문화권의 기원지였다.

이후 진행된 수많은 문화재발굴과 유적발굴에서 서초동은 조선 후기의 생활 흔적, 무덤, 그리고 일제강점기의 토지 구조를 모두 품은 ‘역사의 박물관’으로 밝혀졌다.




ree


2. 1912년 서초동의 풍경 – 논, 밭, 그리고 사람들



그 시절 서초동은 ‘물의 마을’이었다.

531필지에 달하는 논은 남쪽의 한강 지류를 따라 펼쳐졌고, 수로가 마을의 중심을 지나며 밭과 집터를 나누었다.


논 1,972,061㎡, 밭 1,038,331㎡.

그 규모는 지금의 서초동 전체 면적의 절반 이상이다.


집터로 쓰인 대지는 78필지, 124,800㎡.

여기서 사람들은 흙벽돌집을 짓고, 돌담을 쌓아 올리며, 작은 연못 두 곳(1,514㎡)을 중심으로 공동생활을 이어갔다.

무덤 8필지, 산 44필지, 그리고 잡종지 4필지까지.

그 모든 구성은 한 마을의 유기적 구조를 보여준다.


ree

3. 토지의 주인들 – 성씨별로 본 소유의 역사



이 땅의 주인은 누구였을까?

1912년 서초동에는 이씨 220필지, 박씨 100필지, 왕씨 73필지, 윤씨 52필지, 임씨 48필지 등 다양한 성씨가 토지를 소유했다.


이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당시 서울 남부 지역의 사회구조를 보여주는 역사적 지표다.

특히 이씨와 박씨의 집중 분포는 경기도 남부 토착 세력의 확장을 보여주며, 왕씨·윤씨의 존재는 한양 외곽으로 진출한 양반가문의 흔적을 증명한다.


ree


4. 서초동 속 문화재발굴과 유적발굴단의 역할



오늘날의 서초동은 아파트 단지와 도로 아래로 여전히 수많은 유적이 잠들어 있다.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팀은 이러한 땅속 유물을 찾기 위해 지표조사 → 시굴조사 → 발굴조사의 과정을 거친다.


문화재발굴은 단순히 땅을 파는 일이 아니다.

그 속엔 유적발굴단의 세심한 시선과 과거를 읽는 눈이 있다.

발굴조사원들은 작은 토기 조각 하나에서도 당시 생활상을 복원해낸다.


이런 노력으로 서초동 일대에서는 조선 후기 기와, 생활도구, 분묘 유구 등 수많은 자료가 발견되었고, 그 덕분에 지금의 도시 개발 과정에서도 문화유산이 보호되고 있다.


ree

5. 문화재 지표조사로 드러난 서울의 뿌리



‘지표조사’란, 본격적인 발굴 전에 표면의 지질, 토양, 유물 흔적을 조사해 문화재 분포를 파악하는 과정이다.

서울 문화유산 연구진은 이 과정을 통해 도시의 역사적 층위를 복원하고 있다.


서초동 지표조사에서는 조선 후기 생활층과 일제시대 도로 흔적, 심지어 조선시대 물길까지 확인됐다.

이는 도시의 겉모습이 아무리 변해도, 지층 속 역사는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는 증거다.



6. 성공사례 – 잊힌 마을에서 되살아난 유물발굴 현장



2023년,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단은 서초동 일대 아파트 신축 부지에서 조선 후기 생활유적을 발견했다.

이곳에서 출토된 기와 조각, 철제 농기구, 그리고 분묘 구조는 1912년 자료와 정확히 맞물렸다.


당시 기록된 논과 밭의 위치, 분묘지의 분포가 실제로 유물발굴 현장과 일치했던 것이다.

이는 서초동이 단순한 도시가 아니라 시간의 연속선 위에 존재하는 살아 있는 역사 공간임을 증명했다.


ree


7. 문화재발굴조사장비와 발굴조사원의 하루



하루의 시작은 삽과 붓, GPS 측정기에서 시작된다.

조사원들은 땅을 파는 대신 시간을 읽는다.

수천 년의 시간이 겹겹이 쌓인 지층 속에서 흙 냄새와 함께 역사를 꺼내 올린다.


문화재발굴조사장비에는 지질탐사기, 전자측량기, 드론 항공촬영 장비, 토양분석기 등이 있다.

이 장비들이야말로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다리다.





8. 지금, 우리가 서 있는 서초동의 의미



서초동은 더 이상 단순한 행정구역이 아니다.

그곳은 서울의 남쪽에서 문화재발굴의 중심지로 자리 잡은 공간이다.

고속터미널 주변, 양재천 인근, 반포와 맞닿은 언덕까지 — 모두 과거의 시간들이 켜켜이 쌓여 있다.


서초동은 1912년의 논밭에서 2025년의 도시로 바뀌었지만, 그 속의 이야기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ree



9. 마무리 –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로 이어지는 미래의 기록



백 년 전, 서초동의 땅은 농부들의 손에서 숨 쉬고 있었다.

오늘, 그 땅은 문화재발굴단의 손에서 다시 깨어나고 있다.


‘문화재발굴’은 과거를 보는 일이지만, 동시에 미래를 기록하는 일이다.

우리가 지나치는 도로, 서초역의 계단, 법원 뒤편의 흙 한 줌에도 서울의 근원적인 이야기가 숨어 있다.


이제 우리는 알게 되었다.

도시는 건물이 아니라, 그 아래 묻힌 기억으로 완성된다는 것을.




출처: 서울 문화유산 발굴 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해시태그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