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중구 봉래동2가, 잊혀진 땅의 이야기

목차

1. 잃어버린 시간 속으로: 1912년 봉래동2가의 풍경

2. 112채의 집, 그리고 그 안의 삶

3. 잡종지와 밭, 도심 속 작은 농경의 흔적

4. 국유지 4필지, 근대화의 그림자

5. 김씨와 이씨, 그리고 성씨별 땅 소유의 풍경

6. 일본인과 중국인의 토지 소유, 식민지 시기의 단면

7. 봉래동2가에서 읽어내는 서울의 역사와 교훈

8. 오늘날 문화재 발굴과 지표조사의 필요성

9. 성공 사례: 발굴에서 밝혀진 또 다른 이야기

10. 서울의 미래를 위한 문화유산 지킴이의 역할


ree

1912년, 봉래동2가는 단순한 땅이 아니었습니다.


오늘날 서울역 인근을 걷다 보면 고층 빌딩과 도로, 수많은 인파가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하지만 불과 백여 년 전, 이곳은 전혀 다른 얼굴을 하고 있었습니다. 1912년, 봉래동2가는 121필지 35,471㎡의 면적을 가진 공간이었고, 그 속에는 사람들의 삶과 권력의 그림자가 얽혀 있었습니다.


그 당시 기록을 들여다보면, 봉래동2가는 단순히 ‘땅의 크기’가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사람들의 이야기, 그리고 시대의 흐름을 고스란히 품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12필지, 32,681㎡ 규모의 집들이 들어서 있었습니다. 각각의 집은 작은 마당과 담장을 두른 전통 가옥이었을 것이고, 그 안에서 하루하루를 이어가던 사람들의 웃음소리와 다툼, 그리고 소소한 희망이 담겨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봉래동2가는 단순한 주거 공간만은 아니었습니다. 도심 속에서도 여전히 농경의 흔적이 남아 있었습니다. 1,358㎡에 이르는 밭이 있었고, 또 다른 공간인 1,431㎡의 잡종지가 존재했습니다. 잡종지는 때로는 창고, 때로는 공터로 쓰이며 도시 생활의 숨구멍 역할을 했습니다.


그 한편에는 4필지의 국유지가 자리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국가 소유의 땅을 넘어, 일제강점기로 향해 가는 길목에서 ‘근대화’라는 이름으로 변화를 예고하던 공간이었습니다.


토지 소유자들을 들여다보면, 흥미로운 사회적 단면이 보입니다. 김씨가 23필지를, 이씨가 17필지를 소유하며 뿌리 깊은 토착 세력을 보여주었고, 그 외에도 다양한 성씨들이 이곳에 삶의 터전을 마련했습니다. 그러나 그들 사이에 낯선 이름들도 섞여 있었습니다.


일본인들이 8필지, 중국인들이 2필지를 소유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단순히 땅의 숫자가 아니라, 이 작은 지역에서도 식민지화의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었음을 말해 줍니다.


이제 우리는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과연 이 땅 위에서 살아갔던 사람들의 이야기는 어디로 갔을까?



오늘날 서울 곳곳에서는 문화재 발굴 조사, 지표 조사, 시굴 조사 같은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봉래동2가와 같은 공간의 기록과 흔적은 단순히 과거의 풍경을 복원하는 것을 넘어,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가 어떤 뿌리 위에 세워져 있는지 알려주는 중요한 열쇠입니다.


실제로 서울 중구 일대에서는 발굴조사를 통해 조선 후기의 생활 유적이 발견되었고, 지표 조사를 통해 도시 개발 과정에서 보존해야 할 유적이 드러난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성공적인 발굴 사례는 단순히 ‘땅 속의 유물’을 찾는 일이 아니라, 시민들에게 역사와 만나는 통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서울은 끊임없이 변하는 도시입니다. 그러나 그 속에 숨은 땅의 이야기를 지켜내고 기록하는 것은 우리가 다음 세대에게 건네줄 수 있는 가장 값진 유산입니다.


그렇기에 오늘날 문화재 발굴 기관과 연구자들이 하는 작업은 단순한 조사 그 이상입니다. 그것은 땅 속에서 ‘사라진 목소리’를 다시 꺼내어 현재와 미래를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봉래동2가의 1912년 기록은 작은 숫자의 나열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는 사람들의 삶, 시대의 아픔, 그리고 역사의 무게가 응축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지금 이 기록을 다시 읽고, 발굴과 조사를 이어가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서울의 역사를 잊지 않기 위해서, 그리고 앞으로를 더 단단히 세우기 위해서입니다.



해시태그


출처: 서울 문화유산 발굴 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