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종로 돈의동 땅에는 무엇이 있었을까? 서울 도심 속 땅의 기억을 찾는 문화유산 지표조사 이야기

목차:

1. 한 장의 지도로 시작된 이야기

2. 1912년 돈의동, 서울의 심장을 기록하다

3. 땅 위에 남겨진 삶의 흔적들

4. 누구의 땅이었나? 성씨와 소유권의 역사

5. 일제강점기 일본인의 땅 소유, 그 불편한 진실

6. 문화유산 지표조사란 무엇인가?

7. 돈의동 같은 도심 속 조사, 왜 지금도 중요한가

8. 서울에서 문화재 발굴을 의뢰하려면

9. 성공사례: 돈의동과 비슷한 사례로 본 조사 후 변화

10. 땅에 새겨진 이야기, 우리가 지켜야 할 이유

11. 마무리: 지금, 당신의 땅에도 역사가 있다


1912년 종로 돈의동 땅에는 무엇이 있었을까? 서울 도심 속 땅의 기억을 찾는 문화유산 지표조사 이야기

ree

한 장의 지도로 시작된 이야기


“이 땅엔 무슨 사연이 있었을까?”

서울의 중심, 종로 한복판. 누군가는 매일 스쳐 지나가는 이곳을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오래된 종이지도 한 장을 펼쳐본 순간, 백 년 전 돈의동의 이야기가 고요히 흘러나왔다. 단순한 도심 속 필지가 아닌, 이곳은 수많은 사람의 삶이 쌓이고, 변화가 밀려왔던 공간이었다.


어느 날, 한 시민이 낡은 집터를 정비하며 건축허가를 위해 문화재 지표조사를 의뢰했다. 아무것도 없을 줄 알았던 그 땅 아래에서, 믿을 수 없는 기록들이 발견되기 시작했다. 그렇게 시작된 ‘도심 속 발굴’은 단순한 행정 절차를 넘어, 우리 모두가 알지 못했던 서울의 진짜 역사를 꺼내놓기 시작했다.



1912년 돈의동, 서울의 심장을 기록하다


지금은 서울시 종로구로 불리는 이곳. 하지만 1912년, 돈의동은 단지 171필지, 총면적 27,781㎡의 작은 구획이었다. 놀랍게도 이 안에 168필지의 대지가 있었고, 그 면적은 23,005㎡에 달했다. 지금으로 치면 거의 대부분이 주택이나 상업지구였다는 뜻이다. 단 한 장의 기록이지만, 이 수치만으로도 당시 돈의동이 얼마나 ‘사람 냄새 나는 동네’였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단 한 필지(3,917㎡)의 잡종지와 두 필지(859㎡)의 밭이 존재했다는 것이다. 도심 한복판에도 여전히 농경지의 흔적이 남아 있었다는 사실은, 서울이라는 도시의 성장과 전통의 경계가 혼재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또 하나. 국유지 단 1필지가 존재했다는 점. 당시 행정 구조나 토지 사용권에 대한 역사적 증거로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되는 기록이다.



땅 위에 남겨진 삶의 흔적들


대지 168필지. 그 안에는 누구의 삶이 있었을까? 1912년의 돈의동에는 이씨, 김씨, 박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각각 37필지, 26필지, 18필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이 숫자는 단순한 부동산 통계가 아니다. 누가 그 땅에서 살았고, 어떤 가족이 어떤 방식으로 살아왔는지를 보여주는 ‘삶의 지문’이다.


이런 정보는 오늘날 지표조사나 표본조사를 진행할 때 아주 중요한 단서가 된다. 조사관들은 단지 토양이나 유구를 찾는 것이 아니라, 이런 소유권 분포를 통해 ‘어디에 무엇이 묻혀 있을지’를 예측하고 조사를 계획한다. 이 한 줄의 정보만으로도 조사 범위는 완전히 달라진다.



누구의 땅이었나? 성씨와 소유권의 역사


이씨 37필지, 김씨 26필지, 박씨 18필지. 단연 두드러진 것은 이 세 성씨가 전체 토지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했다는 점이다. 이는 당시의 가족 중심 사회 구조, 종친회 중심의 부동산 소유관계, 혹은 지역 기반 성씨의 전통적 권한 구조를 반영한다.


만약 이 중 한 집안이 수백 년 전부터 그 자리를 지켜왔다면? 그 땅 아래에는 단순한 건물 잔해 이상의, 우리 역사 속 생활유적이나 무덤, 유물들이 묻혀 있을 가능성도 충분하다. 그렇기에 문화재 지표조사는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닌 ‘역사 복원’의 시작점이 된다.



일제강점기 일본인의 땅 소유, 그 불편한 진실


그리고 빼놓을 수 없는 부분. 1912년 돈의동에는 일본인이 소유한 필지가 5곳 있었다. 전체 대비 비중은 작지만, 이건 단순한 ‘숫자’의 문제가 아니다. 일제강점기의 부동산 침탈이 이미 종로 한복판까지 퍼지고 있었다는 증거이자, 우리 땅이 어떻게 침탈당했는지를 보여주는 역사적 상흔이다.


이런 배경을 모른 채 단순히 “건물을 올리기 위해” 땅을 파는 행위는, 역사적 맥락을 지우는 일이다. 그래서 서울 도심 속에서도 문화재 발굴 조사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문화유산 지표조사란 무엇인가?


문화재 지표조사는 쉽게 말해 땅의 이력을 추적하는 일이다. 땅을 파지 않고도 과거 어떤 일이 있었는지를 ‘표면’에서 조사하는 방식이다. 토지의 형상, 지형의 변화, 토양 성분, 기존 기록 등 다양한 요소를 분석해, 그곳에 문화재가 존재할 가능성을 확인하는 사전조사다.


이후 필요에 따라 표본조사나 시굴조사로 이어지고, 최종적으로는 발굴조사로 발전할 수 있다. 단순한 행정이 아니라, 매우 과학적이고 역사적인 행위다.



돈의동 같은 도심 속 조사, 왜 지금도 중요한가


서울은 이미 다 개발됐고, 남은 건 콘크리트뿐이라는 말은 착각이다. 서울 도심에도 여전히 수많은 유적이 잠들어 있다. 돈의동처럼 오래된 주택가나 구획이 오랜 기간 보존된 곳에는 문화재가 매립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


더 중요한 건, 이런 조사가 없으면 결국 건설과 재개발 과정에서 문화재가 훼손된다는 사실. 한 번 파괴된 역사는 다시 되살릴 수 없다.



서울에서 문화재 발굴을 의뢰하려면


서울지역에서 발굴조사나 지표조사를 의뢰하고 싶다면, 서울 문화유산 발굴 조사 전문기관인 서울문화유산연구원을 통해 정식 절차를 밟으면 된다.


공공기관이나 민간 의뢰 모두 가능하며, 현장 컨설팅부터 보고서 작성까지 전문적으로 진행해준다. 특히 종로, 중구, 성북 등 전통 한옥지구나 구시가지 재건축 예정지는 조사가 의무화되어 있으니, 건축주라면 꼭 사전에 검토해야 한다.



성공사례: 돈의동과 비슷한 사례로 본 조사 후 변화


예를 들어, 성북구의 한 오래된 주택가에서 진행된 지표조사에서 조선시대 우물터와 한옥 기반이 발견되면서 해당 지역은 개발에서 보존구역으로 전환되었다. 이후 서울시는 이곳을 ‘역사문화 골목’으로 재생시켰고, 오히려 관광객이 몰리며 주변 경제도 살아났다.


돈의동 같은 중심 지역도 마찬가지다. 역사와 도시가 공존하는 개발이 가능한 시대, 문화재 조사는 ‘걸림돌’이 아니라 ‘기회’가 된다.



땅에 새겨진 이야기, 우리가 지켜야 할 이유


백 년 전, 어떤 사람이 그 땅에 집을 짓고, 밭을 갈고, 아이를 키웠다. 그리고 우리는 그 땅 위에 아파트를 짓고, 카페를 열고, 길을 걷는다. 땅은 단순한 부동산이 아니다. ‘기억’이다.


문화재 지표조사는 이 기억을 지우지 않고, 다음 세대에 연결하는 다리다.



마무리: 지금, 당신의 땅에도 역사가 있다


당신이 살고 있는 집, 당신이 공사하려는 그 자리에도 분명 역사가 있다. 당신의 손으로 그 땅의 이야기를 되살려보는 건 어떨까?


문화재 지표조사, 지금 서울 한복판에서도,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출처: 서울 문화유산 발굴 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인기 해시태그:


조사 의뢰자 검색용 해시태그: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