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우리가 몰랐던 ‘북아현동’의 시간 여행

서울의 중심을 흐르는 역사는 단순한 시간의 흐름이 아니라, 땅 위에 새겨진 삶의 흔적이다.

오늘은 그 흔적을 따라 100년 전, 1912년 북아현동으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보자.

우리가 알고 있는 도시의 한복판, 고층 아파트와 차량들로 북적이는 이곳이, 과연 어떤 모습이었을까?


목차


  1. 프롤로그 – 서울 도심에 숨겨진 100년 전의 이야기

  2. 논 한 필지, 1,808㎡의 의미

  3. 대지 위에 지어진 222채의 삶

  4. 산보다 더 넓은 공간, 무덤 이야기

  5. 작은 임야, 그 안의 자연

  6. 북아현동은 밭이었다 – 68,198㎡의 기록

  7. 성씨로 보는 북아현동의 토지 소유 구조

  8. 북아현동의 국유지, 국가의 흔적

  9. 에필로그 – 북아현동, 우리가 다시 들여다봐야 할 땅의 이름

  10. 관련 해시태그 추천


ree

1. 프롤로그 – 서울 도심에 숨겨진 100년 전의 이야기


오늘날 북아현동을 걷다 보면, 번화한 도심과 그 속에 박힌 오래된 골목들이 서로 충돌하는 듯한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하지만 1912년, 이곳은 지금과는 전혀 다른 풍경이었다.


북아현동은 그 자체로 거대한 밭이었고, 소수의 논과 임야, 그리고 무덤들 사이로 인간의 삶이 펼쳐지던 터전이었다.


자, 그 시간 속으로 들어가 보자.


2. 논 한 필지, 1,808㎡의 의미


놀랍게도 1912년 북아현동에 있었던 논은 단 한 필지.


1,808㎡, 지금의 축구장 약 0.25개 규모다.


이는 당시 북아현동이 벼농사 중심이 아닌, 이미 밭이나 대지 중심의 생활 공간으로 변모해가고 있었다는 증거다.


3. 대지 위에 지어진 222채의 삶


이 땅 위에는 222필지, 총 30,234㎡의 대지가 있었다.


이 숫자는 단순히 땅의 면적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위에 지어진 집들과 그 안에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 삶의 무게를 말해준다.


1912년의 서울에서, 북아현동은 ‘사람이 사는 동네’였다.


4. 산보다 더 넓은 공간, 무덤 이야기


가장 놀라운 사실 중 하나는 무덤의 규모다.


단 두 필지였지만, 면적은 무려 41,011㎡.


이는 당시 산보다도 더 넓은 규모로, 북아현동이 단순한 거주지가 아닌, 조상의 혼을 모신 ‘영혼의 공간’이기도 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5. 작은 임야, 그 안의 자연


북아현동에는 산이라 할 수 있는 임야도 있었다.


2필지, 1,933㎡.


비록 작은 면적이지만, 이 임야는 당시 마을 사람들에게 나무와 풀, 그리고 그늘을 제공했을 자연의 일부였다.


6. 북아현동은 밭이었다 – 68,198㎡의 기록


진짜 북아현동의 주인공은 밭이었다.


73필지, 총 68,198㎡.


거대한 규모다.


이 땅에서 재배되던 작물은 무엇이었을까?

기장, 조, 콩, 배추… 오늘날 북아현동을 생각하면 상상하기 어렵지만, 한 세기 전 이곳은 풍요로운 농업지대였다.


7. 성씨로 보는 북아현동의 토지 소유 구조


1912년 북아현동에는 다양한 성씨들이 땅을 소유하고 있었다.


김씨가 단연 우세했다. 82필지.


그다음은 이씨 35필지, 조씨와 한씨가 각각 14필지, 최씨 13필지, 박씨 11필지였다.


이 토지 분포는 단순한 통계가 아니라, 그 시대의 사회 구조와 유산 상속의 흐름을 보여주는 귀중한 기록이다.


8. 북아현동의 국유지, 국가의 흔적


이 모든 민간 소유지 외에도, 북아현동에는 26필지의 국유지가 있었다.


이 땅들은 학교, 관공서, 도로, 우체국 등 공공 기능을 위한 공간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100년 전에도, 국가는 도심 속 땅에 분명한 자국을 남기고 있었다.


9. 에필로그 – 북아현동, 우리가 다시 들여다봐야 할 땅의 이름


북아현동.


이 이름은 단지 행정구역이 아니라, 100년의 시간이 묻힌 이야기의 집합체다.


우리는 흔히 개발과 변화 속에서 과거를 잊지만, 그 과거야말로 오늘의 서울을 만든 진짜 설계도다.


다음에 북아현동을 지날 때, 한 번쯤 상상해보자.


그 빌딩 숲 아래 잠들어 있을 논 한 필지, 밭 73필지, 그리고 조용히 서 있던 두 개의 무덤들을.


10. 해시태그 추천


인기 해시태그


시굴·발굴 관련 해시태그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