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서대문구 홍은동 토지와 삶의 기록: 그때 그곳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목차

1. 1912년 홍은동의 풍경과 의미

2. 논과 밭, 삶의 터전이 된 땅

3. 대지와 가옥, 생활의 중심지

4. 무덤과 사사지, 죽음과 믿음의 공간

5. 산과 잡종지, 일상 속의 다양한 토지 활용

6. 토지 소유와 성씨 분포, 누가 땅을 가졌을까

7. 국유지와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흔적

8. 오늘날 문화재 조사와 연결되는 홍은동 이야기

9. 서울 지역 지표조사·시굴조사의 필요성과 사례

10. 마무리: 과거의 기록이 현재와 미래에 주는 의미


1912년, 지금으로부터 100년이 훌쩍 넘는 그 시절 서대문구 홍은동은 390필지, 총 535,354㎡의 땅 위에 사람들이 삶을 일구고 있었습니다.

ree

지금 우리가 걸어 다니는 길과 아파트가 들어선 자리에도, 그 옛날에는 논과 밭, 무덤과 사사지, 그리고 사람들의 집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단순히 옛날 땅의 크기를 기록한 숫자 같지만, 그 안에는 당시 홍은동 사람들이 살아간 흔적, 사회 구조, 그리고 역사적 맥락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1. 1912년 홍은동의 풍경과 의미


1912년은 조선이 이미 일본에 강제 병합된 지 2년째 되는 해였습니다. 식민지 통치의 시작점에서 토지조사사업이 전국적으로 시행되었고, 홍은동 역시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토지의 크기와 용도, 그리고 소유자의 이름까지 세세히 기록되었는데, 이 자료 덕분에 우리는 그 시절 홍은동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당시 홍은동은 지금처럼 빽빽한 도시 주거지가 아니라, 넓은 밭과 논이 펼쳐져 있는 농촌 마을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었습니다. 산자락과 골짜기에 따라 땅이 나뉘었고, 일부는 국유지로, 일부는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손에 들어가 있었습니다.



2. 논과 밭, 삶의 터전이 된 땅


1912년 홍은동에는 33필지, 168,771㎡의 논이 있었습니다. 논은 당시 식량 생산의 핵심이었고, 벼농사가 가능한 지역은 마을에서도 가장 중요한 땅으로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논보다 훨씬 넓은 면적을 차지한 것은 밭 253필지, 288,751㎡였습니다. 이는 홍은동이 논농사보다는 밭농사가 중심이었음을 보여줍니다. 곡물과 채소, 잡곡이 경작되었을 가능성이 크며, 이는 오늘날 도시적 이미지와는 전혀 다른 농촌적 풍경을 그려줍니다.



3. 대지와 가옥, 생활의 중심지


사람들이 실제로 살았던 공간은 93필지, 41,798㎡의 대지였습니다. 지금의 주거용 택지와 비슷한 개념으로, 집들이 옹기종기 모여 작은 마을을 형성했을 것입니다.


이 대지들은 농경지를 둘러싼 중심부에 자리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밭에서 일하다 돌아오면 모여 살던 이웃들의 불빛이 반겨주던 모습이 떠오릅니다.



4. 무덤과 사사지, 죽음과 믿음의 공간


당시 홍은동에는 1필지, 393㎡의 분묘지가 있었습니다. 지금의 공동묘지 같은 역할을 했을 것이고, 마을 사람들의 조상들이 묻혀 있었을 것입니다.


또한 사사지(寺寺地) 3필지, 2,842㎡가 있었는데, 이는 불교 사찰이나 종교적 목적을 지닌 땅이었음을 의미합니다. 당시 홍은동에도 작은 사찰이나 신앙의 중심지가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5. 산과 잡종지, 일상 속의 다양한 토지 활용


홍은동의 땅 중에는 산 3필지, 9,133㎡와 잡종지 4필지, 23,662㎡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산은 땔감과 나무를 제공하는 생활의 자원 창고였고, 잡종지는 도로, 하천, 혹은 특별한 용도가 없는 땅이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6. 토지 소유와 성씨 분포, 누가 땅을 가졌을까


1912년 당시 홍은동의 땅은 특정 성씨들이 나눠서 소유하고 있었습니다.

• 이씨: 140필지 (가장 많은 소유)

• 김씨: 41필지

• 강씨: 36필지

• 정씨: 27필지

• 박씨: 22필지

• 홍씨: 16필지

• 한씨: 12필지


이 기록은 곧 마을 구성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동시에, 당시 지역 사회의 권력관계와도 맞닿아 있습니다.



7. 국유지와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흔적


홍은동에는 9필지의 국유지가 있었고, 여기에 더해 동양척식주식회사(동척) 소유 4필지도 있었습니다. 동척은 일본이 조선의 토지를 강제로 수탈하기 위해 설립한 회사였는데, 홍은동 역시 그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이 작은 수치 안에는 당시 식민지 경제 착취의 구조가 드러나 있으며, 이는 오늘날 우리가 문화재 조사 과정에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중요한 역사적 맥락입니다.



8. 오늘날 문화재 조사와 연결되는 홍은동 이야기


이처럼 1912년의 기록은 단순히 땅의 분포를 보여주는 것 같지만, 사실은 오늘날 문화재 조사와 깊게 연결됩니다.


서울에서 이루어지는 지표조사, 시굴조사, 발굴조사는 모두 이런 옛 자료들을 참고하여 진행됩니다. 옛날에 어떤 땅이 논이었는지, 어디가 무덤이었는지, 사찰이 있었는지를 아는 것은 곧 지금의 개발 과정에서 어떤 유적이 나올지를 예측하게 해줍니다.



9. 서울 지역 지표조사·시굴조사의 필요성과 사례


예를 들어, 최근 서울 내 아파트 개발 현장에서 지표조사를 진행했을 때, 조선 후기의 무덤군과 생활 유구가 발견된 사례가 있었습니다. 당시 조사 기록과 발굴 결과를 비교해보니, 옛 문헌과 토지대장이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


홍은동 같은 지역도 마찬가지입니다. 1912년 자료를 참고하면, 개발 과정에서 사사지 터나 분묘지 주변에서 문화재가 나올 가능성을 미리 검토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토지조사 사업의 기록은 오늘날 문화유산 발굴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되는 셈입니다.



10. 마무리: 과거의 기록이 현재와 미래에 주는 의미


1912년 홍은동의 토지 기록은 단순히 과거의 문서가 아니라, 오늘날 서울 문화재 발굴의 지도를 미리 보여주는 길잡이 같은 존재입니다.


논과 밭, 집과 무덤, 사찰 터와 잡종지까지. 그 땅 위에 살던 사람들의 삶과 죽음, 희망과 신앙이 고스란히 남아 있고, 지금 우리가 하는 문화재 조사는 그 흔적을 다시 세상에 드러내는 일입니다.


우리가 오늘 만나는 홍은동의 빌라와 아파트 사이에도, 그 옛날 땅의 기억이 살아 숨 쉬고 있다는 사실. 그것을 잊지 않고 지켜내는 것이 바로 문화재 조사와 발굴의 이유일 것입니다.



출처: 서울 문화유산 발굴 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문화재 조사 관련 해시태그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