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성동구 응봉동엔 어떤 이야기가 숨겨져 있었을까?”

도시의 흔적을 따라가는 일은 마치 숨겨진 보물을 찾는 듯한 설렘을 준다. 오늘은 100년 전 응봉동이 어떤 모습이었는지 함께 시간 여행을 떠나보자.


응봉동이라는 이름이 주는 느낌은 독특하다. 작은 언덕 위로 올라가 서울을 내려다보는 듯한 기분을 상상해보자. 지금부터 나는 여러분을 1912년 응봉동으로 초대할 것이다.


목차


  1. 응봉동, 그 시절의 풍경

  2. 100년 전 응봉동의 집 이야기

  3. 산 자와 죽은 자가 함께한 공간

  4. 응봉동의 특별한 사사지 이야기

  5. 울창한 숲, 임야의 비밀

  6. 밭에서 시작된 삶의 터전

  7. 작은 연못이 전하는 이야기

  8. 응봉동 땅의 주인은 누구였을까?

  9. 국유지와 동양척식주식회사, 시대의 흔적들

  10. 과거에서 현재로, 응봉동의 변화


ree

응봉동, 그 시절의 풍경


1912년, 성동구 응봉동은 총 263필지, 약 246,893㎡의 면적으로 이루어진 지역이었다. 지금은 빌딩과 아파트들이 빼곡히 들어선 이곳이 당시엔 어떤 모습이었을까? 시계바늘을 100년 전으로 돌려, 조용하고 한적했던 응봉동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100년 전 응봉동의 집 이야기


응봉동에는 87필지에 걸쳐 약 60,820㎡의 대지가 있었다. 이곳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작은 집들을 지으며 저마다의 이야기를 만들어갔다. 오랜 세월을 버텨온 이 집들은 누군가의 소중한 보금자리였을 것이다. 지금은 사라진 집들 사이에서 나무 대문을 열고 나오는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산 자와 죽은 자가 함께한 공간


응봉동에는 9필지, 약 1,338㎡의 분묘지가 존재했다. 생과 사가 어우러진 마을, 그곳엔 조상들의 흔적이 묻어있었다. 무덤은 단지 삶의 끝을 상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이야기를 품고 있는 곳이다.


응봉동의 특별한 사사지 이야기


사사지가 딱 한 필지 있었다는 사실은 흥미롭다. 겨우 158㎡ 크기의 이 작은 땅은 과연 어떤 사연을 가지고 있었을까? 작지만 특별한 이 장소엔 옛날 누군가의 소중한 기도가 담겨 있을지도 모른다.


울창한 숲, 임야의 비밀


응봉동에는 3필지, 약 32,373㎡의 임야가 있었다. 울창한 숲은 당시 사람들에게 귀한 자원을 제공했고, 때로는 휴식의 장소가 되어주었을 것이다. 숲길을 걸으며 느꼈을 평화로운 시간을 상상해보면 미소가 절로 지어진다.


밭에서 시작된 삶의 터전


응봉동의 주요 삶의 터전은 바로 116필지, 약 172,023㎡의 밭이었다. 이 밭에서는 여러 작물이 재배되었고, 그 작물들은 주민들의 생계를 책임졌을 것이다. 밭에서 흘린 땀방울이 이 지역 사람들의 일상을 지탱했다.


작은 연못이 전하는 이야기


응봉동에는 아주 작고 귀여운 연못 한 곳이 있었다. 불과 95㎡ 크기의 연못이지만, 마을 사람들에게는 귀한 수자원이었다. 이 연못 주변에서 마을 주민들은 어떤 시간을 보냈을까? 연못가에서 들려오는 개구리 울음소리가 지금도 들리는 듯하다.


응봉동 땅의 주인은 누구였을까?


이 땅에는 이씨가 가장 많은 72필지를 소유하고 있었고, 김씨가 60필지, 백씨가 23필지, 안씨가 15필지, 최씨가 14필지 등을 소유하며 살아갔다. 이들은 이 땅을 어떻게 관리하며 살아갔을까? 필지마다 숨겨진 가족의 역사를 상상해보면 가슴이 따뜻해진다.


국유지와 동양척식주식회사, 시대의 흔적들


응봉동에는 국유지가 4필지 있었고, 동양척식주식회사(동척)가 10필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동척의 존재는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배경을 뚜렷하게 드러낸다. 우리 땅이었지만 우리가 온전히 가질 수 없었던 역사가 이곳에 숨겨져 있다.


과거에서 현재로, 응봉동의 변화


지금 응봉동은 현대적인 도시로 탈바꿈했다. 그러나 오래된 지적도 속에 남아있는 이야기는 여전히 우리에게 말을 걸고 있다. 옛 주민들의 삶과 꿈, 그리고 도전이 담긴 응봉동의 이야기는 계속해서 기억되어야 할 소중한 역사다.


우리의 현재는 과거의 터 위에 지어진다. 역사 속 응봉동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느끼고 배울 수 있을까? 오래된 기록 속 작은 땅덩어리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들으며, 오늘의 우리가 내딛는 걸음 역시 새로운 역사가 된다는 것을 잊지 말자.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