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성동구 행당동의 토지 이용과 문화재 조사 가치

목차


  1. 한 장의 지도로 본 1912년 성동구 행당동의 풍경

  2. 밭과 논, 그리고 무덤까지: 땅이 들려주는 이야기

  3. 성씨별 토지 소유 현황으로 본 당시의 생활상

  4. 동양척식주식회사와 국유지의 의미

  5. 행당동의 문화유산, 왜 지금 주목해야 할까

  6. 서울의 땅 아래 숨은 역사, 시굴조사와 지표조사의 중요성

  7. 성공적인 문화재 조사 사례 소개

  8. 마무리: 과거를 잊지 않는 도시 서울


ree

1912년의 행당동, 지금 당신이 아는 그곳이 아니었습니다


서울 성동구 행당동. 지금은 고층 아파트와 대학교, 복잡한 도로망이 어우러진 도심 한가운데지만, 1912년 그곳은 전혀 다른 풍경을 품고 있었습니다.


하나의 지도를 들여다보면, 땅이 말을 겁니다. 논이 있었고, 밭이 있었으며, 집이 띄엄띄엄 자리했고, 무덤이 넓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행당동은 그렇게 서울이라는 대도시의 과거, 조용한 토지의 기억 속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1. 한 장의 지도로 본 1912년 성동구 행당동의 풍경


1912년, 행당동 전체 면적은 344필지 88,906㎡였습니다. 하지만 그건 시작일 뿐이었죠. 실제로 농업지대였던 이 지역은 무려 174필지, 421,644㎡에 이르는 밭이 넓게 펼쳐져 있었습니다. 이는 지금의 서울을 상상하면 믿기 어려운 숫자입니다.


논도 131,418㎡나 됐습니다. 밭과 논을 더하면 55만㎡가 넘는 농경지였습니다. 여기에 무덤이 차지한 면적은 67,190㎡, 산지는 142,856㎡였죠. 전체 면적의 대부분이 자연과 조상들의 흔적으로 채워져 있던 셈입니다.


2. 밭과 논, 그리고 무덤까지: 땅이 들려주는 이야기


지금도 서울 곳곳에서 건물을 짓기 전 지표조사나 시굴조사를 하다 보면, 뜻밖의 유구나 유물이 발견됩니다. 1912년 행당동도 예외는 아닐 겁니다. 당시에는 6필지, 67,190㎡ 규모의 무덤이 존재했는데, 이는 지금 우리가 발을 딛고 있는 바로 그 땅 아래 수많은 역사가 묻혀 있다는 걸 의미하죠.


또한 집이 자리했던 대지 면적은 118필지, 32,562㎡에 불과했습니다. 지금의 주택밀도와는 비교할 수 없이 한적한 모습이었죠. 지금은 철도와 고속화 도로가 지나는 그 땅에도, 1912년엔 철도용지가 93,240㎡나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일제강점기, 철도 확장은 식민지 수탈의 중요한 도구였던 만큼 이 역시 주목할 부분입니다.


3. 성씨별 토지 소유 현황으로 본 당시의 생활상


토지대장에 따르면 김씨가 가장 많은 40필지를 소유하고 있었고, 이씨가 37필지, 박씨 31필지, 최씨 22필지로 뒤를 이었습니다. 이처럼 성씨별 소유 현황은 당시의 인구 구성과 지배계층, 혹은 지역적 혈연 관계를 유추하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지금도 문화재 조사 중에는 특정 성씨의 묘역이 나오거나, 오래된 고가가 그 성씨 일족의 집안임이 밝혀지기도 합니다. 당시 땅은 곧 권력과 생계였고, 이를 분석하면 문화유산의 의미도 깊어집니다.


4. 동양척식주식회사와 국유지의 의미


1912년 행당동에는 국유지가 70필지 존재했습니다. 그리고 식민지 수탈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동양척식주식회사, 이른바 ‘동척’ 소유의 땅도 34필지나 있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숫자가 아닙니다. 일본이 한국 땅을 어떻게 잠식해 갔는지를 보여주는 살아있는 증거입니다.


동척의 땅은 철저히 경제적 이익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고, 현재 우리가 문화재 조사나 시굴조사를 통해 발견하는 일제시대 건축물, 구조물 중 상당수가 이런 토지 위에 세워졌습니다. 그러니 지금도 조사를 할 때, ‘동척 소유지’였다는 점이 있다면 보다 세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5. 행당동의 문화유산, 왜 지금 주목해야 할까


오늘날 개발이 예정된 서울의 각 구역은 공사를 시작하기 전 반드시 문화재지표조사나 시굴조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출발점 중 하나가 바로 이런 1912년 토지대장 같은 자료입니다.


행당동은 다양한 지형과 이용 용도를 가진 복합적 땅이었습니다. 밭, 논, 대지, 무덤, 산림, 철도용지까지, 그 다양성은 지금까지도 문화재적 가치를 재조명할 근거가 됩니다.


특히, 행당동처럼 과거엔 농업지였지만 지금은 도시화된 지역일수록 예상치 못한 문화재가 발굴될 확률이 높습니다. 이것이 문화재지표조사와 시굴조사가 중요한 이유입니다.


6. 서울의 땅 아래 숨은 역사, 시굴조사와 지표조사의 중요성


문화재지표조사는 일정 지역의 역사적 유물이나 유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가장 먼저 시행되는 조사입니다. 이후 시굴조사를 통해 실제 유구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정밀 발굴조사로 이어지죠.


서울처럼 도시화가 극도로 진행된 지역에서도 문화재는 생각보다 자주 발견됩니다. 그만큼 서울의 땅은 오랜 역사 위에 덧대어진 도시라는 걸 잊지 말아야 합니다. 실제로 행당동 인근에서도 조선시대 묘역, 일제강점기 철도 부속 구조물, 근대건축물의 흔적들이 발견된 사례가 있습니다.


7. 성공적인 문화재 조사 사례 소개


성공적인 사례로는 성북구 길음동 재개발 지역의 발굴조사를 들 수 있습니다. 아파트 공사 전 지표조사와 시굴조사를 통해 조선시대 가옥터와 유물 수백 점이 확인되었고, 이는 문화재청과 협력하여 일정 구간은 역사공원으로 조성되었습니다.


행당동도 마찬가지입니다. 과거 농경지와 무덤, 철도용지였던 사실을 토대로, 공사 전에 정확한 조사를 시행하면 예상 밖의 역사 자산이 드러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단지 문화유산을 보존하는 차원을 넘어, 지역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시민들에게 자긍심을 주는 일이 됩니다.


8. 마무리: 과거를 잊지 않는 도시 서울


1912년의 토지대장은 단지 옛날 기록이 아닙니다. 그것은 바로 지금 우리가 딛고 있는 서울의 정체성이자, 문화유산 보존의 첫 단서입니다.


행당동이라는 익숙한 이름도 그 아래 숨겨진 이야기를 들여다보면 전혀 다른 모습으로 다가옵니다. 문화재조사는 그렇게, 잊혀질 뻔한 역사를 다시 불러오고,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작업입니다.


서울이라는 도시는 과거와 현재가 동시에 살아 숨쉬는 곳입니다. 개발이냐 보존이냐를 넘어서, 두 가지를 동시에 품을 수 있는 지혜가 지금 우리에게 필요합니다.





글 출처: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