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서울 서대문구 천연동에서 펼쳐지는 잊혀진 시간의 퍼즐을 풀다

목차


  1. 천연동, 서울 속의 숨은 역사

  2. 1912년의 기록, 땅 위에 새겨진 이야기

  3. 지표조사란 무엇인가?

  4. 천연동 사례로 본 문화재 지표조사의 가치

  5. 우리가 기억해야 할 이름들 – 김씨, 이씨, 박씨

  6. 일본인 소유의 땅, 그 시사점

  7. 지금도 이어지는 조사와 발굴의 여정

  8. 서울에서 문화재 조사 어떻게 의뢰할까?

  9. 성공 사례로 본 문화재 발굴의 가능성

  10. 문화유산 보존, 당신이 해야 할 첫걸음





천연동, 서울 속의 숨은 역사

ree

도심의 분주한 풍경 뒤엔 언제나 조용히 잠든 시간이 있다.


서울 서대문구 천연동. 지금은 주택과 골목길이 어우러진 평범한 동네지만, 100년 전 이곳은 완전히 다른 얼굴을 하고 있었다.


1912년, 일제강점기의 한복판. 천연동에는 141필지에 달하는 땅이 있었다. 그 총면적은 무려 50,172㎡. 그 속엔 집터, 밭, 국유지, 심지어 일본인의 토지까지 섞여 있었다.


하지만 이건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당시 이 땅을 밟고 살았던 이들의 삶, 그리고 잊혀진 역사가 응축된 흔적이다.


그걸 찾는 일이 바로 문화재 지표조사의 시작이다.




1912년의 기록, 땅 위에 새겨진 이야기


당시 천연동에는 130필지 32,363㎡의 대지가 존재했다. 단순히 집이 있었다는 의미를 넘어서, 그곳엔 가족들이 모여 살았고, 이야기가 오갔고, 세월이 흘렀다.


10필지 10,601㎡의 밭도 있었다. 사람들이 곡식을 심고 땀을 흘리며 살아갔던 그 흔적.


그리고 7,206㎡ 규모의 지소도 있었다. 작은 생산 공간 혹은 창고로 추정되는 이곳 역시 중요한 단서가 된다.


지금은 모두 아파트나 상가로 바뀌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수치들은 당시 천연동의 ‘생활’과 ‘생산’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증거다.


그렇다면 이 땅의 주인들은 누구였을까?




우리가 기억해야 할 이름들 – 김씨, 이씨, 박씨


김씨가 소유한 땅은 30필지. 이씨는 21필지. 박씨 11필지. 고씨도 10필지를 갖고 있었다.


이들은 천연동에서 뿌리내리고 살았던 진짜 서울 사람들이다.


이런 토지 소유의 구조는 단순히 재산의 분포를 넘어서, 지역 공동체의 구성을 보여준다. 이는 문화재 지표조사에서 꼭 필요한 요소다.


왜냐하면 특정 성씨가 밀집된 지역은 종중 묘지, 사당, 고택 등의 흔적이 남아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일본인 소유의 땅, 그 시사점


1912년의 기록은 한 가지 중요한 현실도 드러낸다.


당시 천연동에는 일본인이 소유한 2필지의 땅이 있었다.


일제강점기 초반, 점차적으로 늘어난 일본인의 토지 소유는 단순한 부동산 투자가 아니라, 지배 구조의 상징이었다.


이런 땅에서는 종종 일제 관청 건물이나 군사시설 유적이 발굴되기도 한다.


그래서 문화재 지표조사를 통해 일본인 소유지의 과거 용도와 변화를 추적하는 건 매우 중요한 일이다.




지표조사란 무엇인가?


문화재 지표조사는 땅속에 잠든 문화유산을 찾기 위한 첫 걸음이다.


겉으로 보이는 유구나 유물 없이도, 문헌 자료, 옛 지도, 토지대장, 항공사진 등을 통해 과거의 흔적을 추적한다.


시굴조사나 발굴조사 전에 반드시 이뤄지는 조사이며, 개발 전 필수 절차로 규정되어 있다.


한 마디로 말하면, 보이지 않는 역사를 파악하기 위한 ‘탐색 레이더’다.




천연동 사례로 본 문화재 지표조사의 가치


1912년의 토지 정보만으로도 당시의 사회 구조, 생활 방식, 토지 이용 패턴을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601㎡의 밭이 있었다는 것은, 이 지역이 단순한 주거지가 아닌 자급자족형 복합 마을이었음을 시사한다.


130필지의 대지가 있었다는 건, 거주민이 상당히 밀집돼 있었다는 의미. 지금 발굴조사를 한다면 옛 주거지, 우물, 골목길이 나올 가능성도 높다.


이런 정보는 고고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




성공 사례 – 서울 은평구 응암동 지표조사 후 발굴된 고려시대 우물


2023년 서울 은평구 응암동. 지표조사 단계에서 고지도와 문헌을 토대로 옛 마을터가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고려시대 우물이 발견되며 마을 전체의 역사 재구성이 가능해졌다.


단순히 우물이 발견된 것이 아니다. 이 우물을 통해 당시 주민의 생활상, 기술 수준, 문화양식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도 이어지는 조사와 발굴의 여정


서울의 개발은 멈추지 않는다.


하지만 그 개발 속도만큼 빠르게 문화재도 사라지고 있다.


이제는 공사를 하기 전에 반드시 지표조사를 거쳐야 하는 시대. 천연동처럼 오래된 동네일수록 그 가능성은 더 크다.




서울에서 문화재 조사 어떻게 의뢰할까?


서울지역에서 표본조사, 시굴조사, 지표조사나 발굴조사를 진행하려면 전문기관에 의뢰해야 한다.


대표적인 곳이 바로 (https://www.seoulheritage.org).


이곳에서는 조사 설계부터 보고서 작성까지 모든 과정을 담당하며, 관청 인허가 절차도 함께 도와준다.




문화유산 보존, 당신이 해야 할 첫걸음


지금 여러분이 살고 있는 그 땅 아래에도 수백 년 전 누군가의 흔적이 남아 있을지 모른다.


천연동처럼, 아무도 주목하지 않던 평범한 동네에서도 수많은 이야기가 발견된다.


우리가 문화재 발굴을 시작해야 하는 이유는 단 하나. 과거를 잊지 않기 위해서다.


지금, 당신의 땅 아래에는 어떤 역사가 잠들어 있을까?




출처: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연구소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