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마포구 창전동, 그 땅의 기억을 따라가다

목차


  1. 시대의 문을 열다 – 1912년 마포구 창전동의 풍경

  2. 논과 밭, 그리고 사람들의 삶

  3. 대지와 집터, 마을의 형성과 변화

  4. 분묘지와 무덤, 기억을 간직한 땅

  5. 잡종지와 국유지, 도시화의 조짐

  6. 성씨별 토지 소유 현황 – 마을을 구성한 가문들

  7. 동양척식주식회사와 일본인 소유지, 시대의 그림자

  8. 창전동을 통해 보는 서울 문화유산 발굴의 필요성

  9. 오늘의 문화재 지표 조사와 발굴조사 의의

  10. 성공 사례와 앞으로의 과제

  11. 결론 – 땅에 새겨진 시간의 기록


ree

시대의 문을 열다 – 1912년 마포구 창전동의 풍경


거대한 서울의 한복판, 마포구 창전동을 지금 걷다 보면 높은 아파트와 복잡한 도로가 이어집니다. 하지만 시간을 거슬러 1912년으로 돌아가면 그 풍경은 전혀 달랐습니다. 그때의 창전동은 436필지, 210,995㎡라는 넓은 면적을 가진 작은 공동체였고, 그 안에는 논과 밭, 대지와 무덤, 그리고 사람들의 이야기가 켜켜이 쌓여 있었습니다.


이 글은 단순한 토지대장 기록을 나열하는 것이 아닙니다. 100년 전, 창전동 사람들이 어떤 땅 위에서 살았는지, 그 땅이 어떻게 이용되었는지를 통해 오늘날 문화재 지표 조사와 발굴조사의 의미를 되새겨 보는 이야기입니다.




논과 밭, 그리고 사람들의 삶


1912년 창전동에는 단 두 필지의 논이 있었습니다. 그 면적은 9,514㎡로, 마을 전체 면적에서 보면 크지 않은 비중이지만, 당시 농경 사회에서 벼농사는 마을의 식량을 책임지는 중요한 기반이었습니다.


반대로 밭의 규모는 훨씬 컸습니다. 119필지, 104,446㎡의 밭이 있었는데 이는 창전동 사람들의 생활양식을 잘 보여줍니다. 논보다는 밭농사가 중심이었고, 그곳에서는 콩, 조, 보리, 채소 같은 다양한 작물이 자라나 사람들의 밥상이 채워졌습니다.


밭과 논은 단순히 곡식을 기르는 공간이 아니라 가족의 생계를 이어가는 터전이었고, 오늘날 문화재 발굴조사에서 발견되는 유구(遺構)들은 이런 생활상을 생생하게 증언합니다.




대지와 집터, 마을의 형성과 변화


1912년 당시 창전동에는 308필지, 91,283㎡의 대지가 있었습니다. 이는 곧 주거지, 즉 마을의 뼈대를 이루는 부분이었습니다. 대지가 많았다는 것은 이미 창전동이 단순한 농촌 마을이 아니라 주거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었다는 증거입니다.


서울의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 때도 창전동은 서쪽 한강변에 위치하며 교통과 상업 활동의 요지로 성장하고 있었기에, 주거지 확대는 자연스러운 흐름이었습니다. 오늘날 발굴조사에서 당시 집터 흔적이나 생활용품이 발견된다면, 단순한 자료가 아니라 당시 사람들의 삶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타임캡슐이 될 것입니다.




분묘지와 무덤, 기억을 간직한 땅


창전동에는 1필지, 5,566㎡의 분묘지가 있었습니다. 이 작은 공간은 마을 사람들이 조상을 기리고 죽음을 기억하는 신성한 장소였습니다.


문화재 발굴조사에서 무덤은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단순히 매장된 유골뿐만 아니라 부장품, 묘제(墓制), 석물(石物) 등은 그 시대의 신앙과 풍습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가 되기 때문입니다. 오늘날 무덤 하나가 발견되면 지표조사에서 시작해 시굴조사, 표본조사를 거쳐 정식 발굴조사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잡종지와 국유지, 도시화의 조짐


창전동에는 6필지, 185㎡의 잡종지가 있었습니다. 잡종지란 쉽게 말해 특정 용도로 쓰이지 않고 남겨진 땅인데, 이는 때로는 공동체 공간이 되거나, 나중에 다른 용도로 전환되기도 했습니다.


국유지는 2필지 있었는데, 당시 일본 통감부 체제 아래에서 국유지의 존재는 식민지 지배와도 연결됩니다. 단순히 땅의 소유가 아니라, 근대 도시화 과정 속에서 공공시설이나 행정기관의 기반으로 쓰였을 가능성이 큽니다.




성씨별 토지 소유 현황 – 마을을 구성한 가문들


1912년 창전동의 토지 소유자는 주로 토착 성씨들이었습니다.


김씨가 98필지, 이씨가 58필지, 박씨가 35필지, 정씨가 30필지, 최씨가 28필지, 조씨가 23필지, 고씨가 17필지, 윤씨가 13필지, 심씨가 11필지 등 여러 가문이 땅을 소유하고 살았습니다.


이는 단순한 소유권의 문제가 아니라, 창전동이 여러 성씨들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공동체였음을 보여줍니다. 문화재 발굴조사에서는 이런 성씨 집단의 생활 흔적이 고스란히 발견되기도 하는데, 이는 역사와 공동체 정체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동양척식주식회사와 일본인 소유지, 시대의 그림자


1912년 창전동에는 동양척식주식회사 소유지가 2필지, 일본인 소유지가 1필지 존재했습니다. 또한 법인 소유의 땅도 1필지가 있었습니다.


동양척식주식회사는 일제강점기 조선의 토지와 자원을 수탈하기 위해 설립된 대표적 기관입니다. 창전동 같은 작은 마을에서도 동척의 흔적이 남아 있다는 것은, 식민지배의 그늘이 얼마나 촘촘히 퍼져 있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창전동을 통해 보는 서울 문화유산 발굴의 필요성


오늘날 문화재 지표조사, 시굴조사, 발굴조사는 단순히 땅을 파는 일이 아니라, 땅 속에 묻힌 시간과 기억을 되살리는 작업입니다. 창전동의 1912년 토지대장 기록을 보면, 그 속에는 당시 사람들의 생활, 사회 구조, 그리고 시대적 아픔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서울은 끊임없이 개발되는 도시지만, 그 과정에서 발굴되는 유적은 단순히 과거의 흔적이 아니라 오늘을 비추는 거울이 됩니다.




성공 사례와 앞으로의 과제


예를 들어, 서울 마포구 상암동 발굴 현장에서는 백제 시대 주거지가 발견되어 도시 개발 과정에서 역사적 가치가 드러난 바 있습니다. 이런 사례는 문화재 지표조사와 발굴조사가 단순한 절차가 아니라, 도시와 사람의 정체성을 지켜내는 중요한 과정임을 증명합니다.


앞으로 창전동 같은 지역에서도 체계적 조사와 연구가 이어진다면, 우리는 일제강점기 이전과 이후의 변화를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결론 – 땅에 새겨진 시간의 기록


1912년 마포구 창전동은 단순한 동네가 아니라, 논과 밭, 무덤과 집터, 그리고 사람들의 이야기가 얽힌 살아있는 역사였습니다. 지금 우리가 문화재 지표조사나 발굴조사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땅 속에는 아직도 발견되지 않은 수많은 기억들이 잠들어 있고, 그것을 깨워내는 일이 우리의 책임이자 미래를 위한 투자이기 때문입니다.




출처: 서울 문화유산 발굴 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해시태그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