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마포구 현석동 토지 기록으로 보는 서울의 과거 풍경

목차


  1. 시간 여행의 시작: 1912년 현석동으로 가다

  2. 집과 대지, 당시 사람들의 생활 터전

  3. 잡종지와 밭, 생계와 연결된 땅의 쓰임새

  4. 공유지와 국유지, 공공의 자원은 어디에 있었나

  5. 성씨별 토지 소유 현황, 마을을 이루던 사람들

  6. 법인과 일본인의 토지 소유, 시대의 그림자

  7. 서울 문화재 조사와 발굴을 통해 배우는 교훈

  8. 현석동의 이야기가 오늘날 주는 의미


ree

1912년, 마포구 현석동의 풍경을 떠올려 보세요. 지금은 아파트와 도로, 카페와 상점이 즐비한 서울의 한복판이지만, 100여 년 전 이곳은 전혀 다른 얼굴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 당시 현석동은 총 215필지, 88,767㎡라는 넓은 땅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이 수치 하나만으로도 우리가 잊고 있던 서울의 과거를 다시 바라보게 만듭니다.


당시 집이 들어선 대지는 192필지, 총 59,983㎡에 달했습니다. 지금처럼 빽빽한 건물은 아니었겠지만, 마을을 형성하기에는 충분한 규모였죠. 좁은 골목길을 사이에 두고 사람들이 모여 살며, 집 앞 밭에서 농작물을 가꾸고 이웃끼리 도움을 주고받는 모습이 그려집니다.


그런데 집터 외에도 다양한 땅의 용도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잡종지라 불리는 땅이 2필지, 2,019㎡ 있었고, 밭은 무려 21필지, 26,763㎡에 달했습니다. 농사에 의존해 살아가던 시대였던 만큼 밭의 비중은 상당히 컸고, 이는 곧 현석동 주민들의 주요 생계 수단이었음을 말해줍니다.


또한 공유지는 단 1필지였지만, 주민들이 함께 사용했던 공간으로서 의미가 깊었을 것입니다. 국유지는 5필지가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국가가 직접 관리하던 땅이었죠. 오늘날에도 도로나 관공서 부지처럼 공공을 위해 사용되는 땅과 같은 개념이라 이해하면 됩니다.


무엇보다 흥미로운 부분은 당시 현석동에 살던 성씨들의 분포입니다. 이씨가 34필지, 김씨가 32필지, 박씨가 23필지, 서씨가 16필지, 전씨가 12필지를 소유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곧 마을의 주요 성씨이자 중심 세력을 보여주는 자료로, 당시의 사회 구조를 엿볼 수 있는 단서가 됩니다.


법인 소유의 땅도 있었는데, 2필지에 불과했지만 이미 법인이 땅을 관리하거나 소유하는 개념이 존재했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주목할 부분은 일본인의 땅 소유 기록입니다. 일본인들이 5필지를 차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일제강점기의 그림자가 이미 서서히 드리워지고 있었음을 시사합니다.


이 모든 기록은 단순한 숫자의 나열이 아니라, 서울의 근현대사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입니다. 마치 지금 우리가 문화재 지표조사나 발굴조사를 통해 과거를 복원해내는 것처럼, 1912년의 현석동 토지 기록은 그 자체로 살아 있는 역사이자 문화재라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서울에서는 지표조사, 시굴조사, 발굴조사 등을 통해 과거의 흔적을 찾아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사를 앞두고 땅 속에서 옛 도로, 주거지, 유물 등이 발견되면, 이는 단순한 땅이 아니라 당시 사람들의 삶을 보여주는 소중한 자료가 됩니다. 현석동의 사례 역시 그러한 맥락에서 바라볼 수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현석동의 땅 기록을 다시 들여다보는 이유는 단순히 과거를 아는 데서 그치지 않습니다. 도시 개발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서울에서, 그 땅에 남아 있는 역사와 흔적을 존중하고 지켜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과거를 지키지 못하면, 현재의 우리도 뿌리를 잃게 됩니다. 현석동의 옛 기록은 바로 그 사실을 잊지 않게 하는 경고와도 같습니다.


출처: 서울 문화유산 발굴 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