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마포구 서교동, 땅이 말해주는 서울의 과거 이야기


[목차]


  1. 시간을 거슬러, 서울 서교동으로 떠나는 여행

  2. 1912년, 마포구 서교동의 땅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3. 논, 밭, 집터, 무덤… 땅의 용도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줄까

  4. 누가 땅을 가졌을까? 성씨별 소유 구조

  5. 일본인과 동척, 국유지까지… 겹겹이 쌓인 식민지 시대의 흔적

  6. 이 땅을 통해 알 수 있는 문화재조사의 중요성

  7. 지금 우리에게 왜 이 과거가 중요한가

  8. 마무리하며: 과거의 땅이 오늘의 서울에 남긴 유산





그 땅엔 이야기가 있다. 그냥 땅이 아니라, ‘시간을 품은 땅’이었다.


당신이 매일 걷는 홍대 거리, 그 길이 한 세기 전엔 논이었다면 믿을 수 있겠는가?


흙먼지 날리던 골짜기였고, 무덤이 옹기종기 모여 있던 자리였으며, 김씨, 최씨, 노씨 같은 성씨가 소리 없이 터를 잡고 살아가던 곳이었다. 서울 마포구 서교동. 지금은 트렌디한 카페와 편집숍이 즐비한 이 동네는, 사실 1912년엔 완전히 다른 얼굴을 하고 있었다.


이번 이야기는 바로 그 ‘땅의 시간’을 들여다보는 여정이다.

ree


1. 시간을 거슬러, 서울 서교동으로 떠나는 여행


서교동이라 하면 요즘 사람들에겐 딱 “홍대입구”가 떠오른다. 유니크한 패션, 독특한 전시, 버스킹 음악이 흐르는 거리. 그런데 100여 년 전, 이곳은 그저 ‘농촌’이었다. 아니, 그것보다도 더 복합적인 시공간이었다.


1912년, 일제강점기 초기. 서교동은 총 324필지, 약 957,739㎡의 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지금 기준으로 보면 여의도 면적의 약 1/3 정도 되는 크기다.


그때 이 땅은 어떤 얼굴을 하고 있었을까? 흙 냄새, 논물 소리, 봉분의 그림자, 그리고 이름 모를 나무들이 자라는 산자락. 그 시절로, 타임머신을 타고 함께 가보자.




2. 1912년, 마포구 서교동의 땅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전체 면적 957,739㎡. 이 방대한 땅 중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한 건 다름 아닌 ‘논’이었다.


무려 116필지, 418,712㎡에 달하는 논이 펼쳐져 있었다. 논의 수량만 봐도 서교동이 물과 가까운 저지대였음을 알 수 있다. 물 빠짐이 좋지 않은 땅, 그래서 농사엔 적합했지만, 주거엔 한계가 있었을지도 모른다.


논 다음으로 많은 건 ‘밭’. 148필지, 303,647㎡로 훨씬 세분화되어 있었다. 밭의 수가 더 많은 건 아마도 마을 주변에 붙어있는 자투리땅을 이용한 소규모 경작지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 외에 임야(산)가 14필지 147,970㎡, 무덤터인 분묘지는 21필지 48,489㎡, 집터로 쓰인 대지는 16필지 13,236㎡에 불과했다. 집보다는 무덤이 더 많았던 시절이라니. 이 자체로 이 지역의 거주밀도와 역사성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3. 논, 밭, 집터, 무덤… 땅의 용도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줄까


단순히 ‘논이 많다, 밭이 많다’는 얘기가 아니다. 이건 그 지역이 어떤 사람들과 어떤 생활을 하고 있었는지를 말해주는 중요한 단서다.


예컨대 무덤이 많았다는 건 그만큼 오래된 정착지가 있었음을 의미하고, 논이 넓게 펼쳐져 있다는 건 그 땅이 계곡을 끼고 흘러드는 저지대였음을 암시한다.


잡종지는 주로 창고, 공동 이용 공간 등으로 쓰이던 비정형적 공간이다. 서교동에는 이런 땅도 9필지, 약 25,682㎡나 존재했다.




4. 누가 땅을 가졌을까? 성씨별 소유 구조


이 지역에서 가장 많은 땅을 가진 성씨는 ‘김씨’. 무려 54필지를 소유했다. 다음으로 최씨(31필지), 노씨(28필지), 차씨와 채씨(각 21필지), 이씨(18필지), 윤씨(14필지), 안씨(11필지), 송씨(10필지) 순이었다.


지금으로 따지면 ‘동네의 큰손들’이다. 이들은 아마도 대대로 이 지역에 살며 땅을 일궜고, 가족묘와 논밭을 함께 관리했을 것이다.


그리고 이 토지 소유 구조는 문화재 발굴 조사 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무덤이 있는 곳엔 그 성씨의 오래된 역사와 유물이 남겨질 수 있으니까.




5. 일본인과 동척, 국유지까지… 겹겹이 쌓인 식민지 시대의 흔적


놀라운 건, 일본인과 동양척식주식회사(동척) 소유의 토지도 확인된다는 점이다. 일본인은 7필지, 동척은 10필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당시 일제는 식민지 경영의 일환으로 토지를 강제로 수탈하거나 구매해 조선인 농민을 소작농으로 만들었다. 동척의 토지 소유는 그 증거이자, 문화재 지표조사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


국유지도 22필지 존재했다. 이는 관공서나 군용지, 혹은 당시의 관아에서 쓰던 부지였을 가능성이 있다.




6. 이 땅을 통해 알 수 있는 문화재조사의 중요성


문화유산은 눈에 보이는 것만이 아니다. 땅속에 묻힌 것들이야말로 진짜 타임캡슐이다.


지표조사, 표본조사, 시굴조사, 발굴조사 같은 문화재 조사 과정은 바로 이런 ‘보이지 않는 서울’을 찾는 여정이다.


서교동처럼 도시화된 지역도 발굴하면 백제, 고려, 조선의 유물이 나올 수 있다. 실제로 서교동 인근에서 조선시대 건물지, 조선 전기 도자기, 심지어 삼국시대 토기까지 출토된 사례가 있다.




7. 지금 우리에게 왜 이 과거가 중요한가


단지 과거를 추억하려는 게 아니다. 이 기록은 지금 우리가 사는 도시의 뿌리를 보여준다.


집을 짓고, 도로를 내고, 지하철을 파는 일에도 반드시 선행돼야 할 것이 바로 ‘문화재 조사’다.


이 땅이 어떤 이야기를 품고 있는지 모르고 파헤친다면, 우리가 잃는 건 단순한 흙이 아니라 수백 년의 시간이다.




8. 마무리하며: 과거의 땅이 오늘의 서울에 남긴 유산


지금 서교동은 핫플이다. 하지만 그 속에는 논밭과 무덤, 그리고 이름 모를 이들의 시간이 층층이 쌓여 있다.


그것을 아는 것, 그리고 기록하는 것. 이게 바로 도시와 사람이 공존하는 첫걸음이다.


우리는 땅을 밟고 사는 존재다. 그 땅에 무엇이 있었는지를 아는 것, 그 자체가 우리 존재의 뿌리를 확인하는 일이다.






글 출처: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