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강남구 일원동의 토지 정보를 바탕으로, 문화재 지표조사와 발굴조사

목차


  1. 강남의 옛날, 우리가 알던 강남이 아니었다

  2. 1912년 일원동 토지 기록으로 본 그 시대의 생활

  3. 문화재 지표조사는 왜 필요한가?

  4. 일원동 사례로 보는 지표조사의 필요성과 가치

  5. 사라진 역사, 발굴이 필요한 이유

  6. 서울 지역 문화재 조사, 어떻게 의뢰할까?

  7. 실제 성공 사례로 보는 조사 결과

  8. 이 땅에 숨겨진 또 다른 이야기

  9. 미래를 위한 기록, 오늘의 발굴


ree

강남에도 논과 무덤이 있었다는 사실, 믿어지시나요?


한때 논과 밭, 임야가 전부였던 서울 강남. 지금은 고층빌딩과 명품거리가 즐비한 이곳이, 단지 100여 년 전에는 고요한 농촌이었다는 사실은 많은 이들에게 충격처럼 다가옵니다.


1912년. 강남구 일원동. 지금은 강남세브란스병원이 있고, 대형 아파트 단지가 즐비한 이곳의 과거는 다릅니다. 총 444필지, 1,124,011㎡의 면적. 당시 이 지역엔 무려 207필지 547,780㎡에 달하는 밭이 있었고, 144필지 310,378㎡의 논이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대지는 68필지뿐이었고, 무덤으로 사용된 분묘지도 5필지나 되었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강남’이라는 단어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죠. 그저 교통이 좋고, 부동산 가격이 높은 곳이 아니라, 사람들이 땅을 일구며 살아가던 삶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역사 그 자체의 공간이었습니다.


1912년 강남 일원동, 생활의 흔적이 말해주는 과거


조금 더 들어가 보면, 당시 이 지역을 누가 어떻게 사용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141필지의 박씨, 101필지의 이씨, 62필지의 김씨, 32필지의 강씨 등 주요 성씨들이 땅을 나눠가지고 살았습니다. 여기에 45필지의 국유지와 14필지의 법인 소유지도 존재했죠.


임야는 155,068㎡에 달했고, 집이 지어졌던 대지는 66,664㎡뿐이었습니다. 게다가 40,377㎡의 잡종지도 있었다는 것은, 이 지역이 단지 농사만 짓는 곳이 아닌, 다양한 용도의 땅으로 활용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땅의 기록만으로도 당시 사람들의 생활 방식과 문화가 떠오릅니다.


문화재 지표조사란 무엇인가요?


이제 중요한 질문이 떠오릅니다. 왜 이런 과거의 기록이 중요할까요?


바로 문화재 지표조사 때문입니다. 지표조사란, 땅의 표면을 통해 유물이나 유적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문화재가 존재할 가능성을 탐색하는 중요한 사전 절차입니다. 개발이나 공사 이전에 반드시 시행해야 하는 조사로, 이 조사를 통해 수천 년 전의 유물부터 근대의 생활 흔적까지 밝혀낼 수 있습니다.


지표조사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무심코 도로를 깔거나 건물을 짓는 과정에서 수백 년, 수천 년간 잠들어 있던 문화재가 파괴되고, 역사는 영영 사라지게 됩니다.


일원동 사례로 본 지표조사의 필요성과 가치


일원동은 그저 번화한 동네가 아닙니다. 위에서 살펴본 1912년 토지 기록은, 지금 이 지역 어디쯤에 무덤이 있었고, 어떤 사람들이 어떤 땅을 일구며 살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자료입니다.


만약 이 지역에서 대규모 공사나 재개발이 계획된다면, 문화재 지표조사는 필수입니다. 3,021㎡의 분묘지와 720㎡의 사사지(사찰 관련 부지), 잡종지와 국유지가 있었다는 것은, 단순히 생활 공간이 아닌 의례, 신앙, 행정 등 다양한 역사가 얽혀 있었다는 뜻이죠.


이러한 사실을 기반으로 지표조사를 진행하면, 단순히 땅속 유물만 발굴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 사람들의 삶의 방식과 정신세계까지도 드러납니다.


사라진 역사, 발굴이 필요한 이유


사람들은 흔히 말합니다. “그냥 땅인데, 뭐가 나와?” 하지만 우리가 오늘도 발로 딛는 그 땅 밑에는, 과거의 삶이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무덤 하나, 기와 조각 하나, 토기 하나가 그 시대의 문화를, 역사를 증명합니다.


서울처럼 오랜 시간 사람이 살아온 도시일수록, 발굴은 더욱 중요해집니다. 이미 개발이 많이 이루어진 지역이라 해도, 지하에는 여전히 미발견 문화재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일원동처럼 과거의 기록이 분명히 남아 있는 지역이라면 더욱 그렇죠.


서울 지역 문화재 조사, 어떻게 의뢰할까?


서울에서 문화재 지표조사나 발굴조사를 의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장 중요한 것은 ‘문화재 전문 조사기관’에 의뢰하는 것입니다.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기관처럼 문화재청에 등록된 공식 기관은, 고고학자와 전문 조사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조사 절차부터 보고서 작성, 문화재청 승인까지 모든 과정을 체계적으로 진행합니다.


개발 계획이 있는 경우, 우선 지자체나 관할 부서에 문의하고, 이후 해당 기관과 협의해 현장답사 및 지표조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실제 성공 사례로 보는 조사 결과


최근 서울의 한 공원 조성 사업 중, 문화재 지표조사를 통해 조선 후기의 공동묘지가 발견되었습니다. 단순한 묘지가 아니라, 해당 지역에 거주했던 중인 계층의 가족묘였으며, 주변에서 당시 사용된 청자 조각과 벽돌 구조물도 함께 출토되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공원 디자인이 조정되었고, 일부는 역사 교육 공간으로 활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발굴이 없었다면 영원히 사라졌을 역사가, 지금은 많은 시민들에게 배움을 주고 있는 것이죠.


이 땅에 숨겨진 또 다른 이야기


우리가 매일 걷고 있는 강남의 길, 그 아래에는 또 다른 강남이 존재합니다. 논이었고, 밭이었고, 가족의 무덤이 있었던 땅. 그 땅을 지키고, 다시 기록하는 일은 과거를 기리는 동시에 미래를 준비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문화재 발굴은 단지 고고학자의 일이 아닙니다. 서울의 토지를 개발하거나 건축을 계획하는 모든 이들이 함께 고민하고 참여해야 할, 우리의 과제입니다.


미래를 위한 기록, 오늘의 발굴


1912년의 기록은 우연히 남겨진 것이 아닙니다. 누군가의 철저한 기록과 분류가 있었기에 오늘날 우리는 그 시대를 엿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 우리가 발굴하고 보존하는 문화유산은, 100년 뒤 또 다른 누군가가 이 시대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입니다.


문화재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는, 과거를 위한 것이자 미래를 위한 작업입니다.


출처: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