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강남구 청담동의 모습, 지금 당신이 서있는 그곳에서 과연 어떤 일이 있었을까?

목차


  1. 청담동의 숨겨진 이야기, 100년 전 그 모습 속으로

  2. 1912년 청담동, 논밭과 자연이 어우러진 땅

  3. 논과 밭, 삶의 터전이었던 청담동

  4. 100년 전 청담동 사람들, 그들이 품었던 땅 이야기

  5. 뜻밖의 흔적, 청담동에 있던 무덤과 임야

  6. 청담동의 소유주들, 이씨와 권씨, 김씨의 삶의 터전

  7. 잊혀진 땅, 국유지 55필지의 비밀

  8. 지금의 청담동을 만든 1912년, 과거를 기억하다

  9. 서울 문화재 지표조사, 옛 흔적을 발굴하다

  10. 우리가 놓치고 있는 서울의 숨겨진 역사



1912년 청담동의 모습, 지금 당신이 서있는 그곳에서 과연 어떤 일이 있었을까? 그때의 풍경을 상상해 본 적이 있는가? 지금은 화려한 빌딩과 명품숍으로 가득 찬 청담동 거리, 그 거리 아래는 100년 전 사람들의 숨결이 묻혀 있다. 우리가 모르고 지나쳤던 이야기, 한 번 빠지면 벗어날 수 없는 매혹적인 역사의 매력을 따라 지금부터 1912년 청담동으로 시간 여행을 떠나보자.

ree

그때의 청담동은 지금과는 사뭇 다른 풍경이었다. 1912년의 청담동은 339필지, 795,177㎡의 넓은 지역이었다. 마치 한 폭의 그림 같은 풍경, 서울에서도 보기 드문 논과 밭, 그리고 산림이 펼쳐져 있었다. 아마 지금의 화려한 모습에 익숙한 우리 세대는 그때의 모습을 상상조차 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 넓은 지역 중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것은 역시 논과 밭이었다. 당시 청담동에는 총 103필지, 381,343㎡의 논이 있었다고 한다. 지금 우리가 밟고 있는 아스팔트 밑으로는 풍성한 벼 이삭이 바람에 흔들리던 그 모습이 있었던 셈이다. 논을 통해 사람들은 한 해의 수확을 기대했고, 마을 전체가 하나가 되어 농사짓는 모습을 그려볼 수 있다면, 아마도 현재의 청담동을 보는 우리의 시선도 달라지지 않을까?


그러나 논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196필지, 367,585㎡의 넓은 밭도 펼쳐져 있었다. 논밭에서 지어진 농작물은 당시 사람들의 생활을 지탱해주는 중요한 자원이었다. 흙냄새가 가득한 이 땅에서 사람들은 손수 농사를 지으며 자연과 더불어 살았다. 당시의 청담동 주민들이 고된 농사일에도 불구하고 웃음을 잃지 않고 살아갔던 그 장면을 떠올리면, 왠지 마음 한구석이 아련해진다.


그 시절 청담동의 풍경을 떠올릴 때 빼놓을 수 없는 흔적이 하나 더 있다. 바로 ‘무덤’과 ‘임야’다. 1912년 청담동에는 4필지, 2,019㎡의 무덤이 있었고, 3필지, 4,433㎡의 임야가 자리하고 있었다. 지금 청담동에 들어서면 화려한 도시적 이미지가 먼저 떠오르지만, 그 화려함 뒤편엔 누군가의 생과 사가 함께했던 땅이었던 것이다. 그들의 삶과 죽음이 이곳에 묻혀 있다는 사실이 묘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마치 지나간 이들의 흔적이 우리에게 무언가를 속삭이는 듯하지 않은가?


1912년, 청담동을 이루었던 사람들은 누구였을까? 당시 땅의 주인은 주로 이씨 성을 가진 이들이었다. 무려 197필지를 소유하고 있던 이씨 가문이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권씨 가문이 28필지, 김씨 가문이 25필지를 소유했다. 그들이 소유했던 땅 위에서 세대를 이어 살았을 가족들의 삶을 상상해 보면, 과연 어떤 모습이었을까 궁금증이 생긴다. 그들의 땀과 눈물이 오늘날의 청담동을 있게 한 것이 아닐까?


청담동 땅 중에서 뜻밖의 이야기도 있다. 바로 국유지의 존재다. 당시 청담동에는 무려 55필지의 국유지가 있었는데, 이 땅들이 어떤 이유로 국유화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는 없지만, 한때 국가가 직접 관리했던 이 땅들이 현대 청담동 개발의 밑거름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숨겨진 국유지의 이야기는 문화재 지표조사를 통해서만 발굴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서울 문화재 지표조사는 이렇듯 잊혀진 이야기를 다시 수면 위로 끌어올리는 작업이다. 땅 아래 묻혀 있는 역사를 하나하나 발굴해 나가는 것은 마치 오래된 보물을 찾는 탐험과 같다. 청담동처럼 익숙한 도시에서도 여전히 발견되지 않은 이야기들이 많다. 그래서 우리는 계속해서 땅을 파고, 그 아래 숨겨진 역사의 조각들을 발굴해 나가야 한다.


최근 서울 지역 문화유적 시굴조사 및 표본조사, 발굴조사를 통해 청담동과 같은 지역에서 놀라운 성과들이 있었다. 예컨대, 서울 강남 지역에서 진행된 조사에서 일제강점기 이전의 도로 흔적과 오래된 주거지 터가 발굴된 사례가 있다. 이는 지금 우리가 발 딛고 있는 도시 아래에 여전히 미지의 역사적 가치가 숨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제 청담동에서도 또 다른 숨겨진 문화유적들이 발견될 가능성이 열려 있다.


하지만 서울 문화재 지표조사는 혼자 힘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땅의 소유자나 사업주,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발굴 조사를 의뢰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쩌면 당신의 작은 관심 하나가 우리가 몰랐던 역사를 드러내는 결정적 계기가 될지도 모른다.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서울, 그 안에서 잊혀졌던 이야기들을 다시 찾는 것만으로도 얼마나 매력적인 일인가. 청담동의 과거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그 역사를 발굴하는 일, 그것이 우리가 앞으로 함께 해나갈 가치 있는 여정이 아닐까?


해시태그: 문화재발굴, 서울역사, 역사탐방, 문화유산여행, 역사여행, 서울문화재지표조사, 서울문화유적조사, 청담동문화재발굴, 서울발굴조사, 문화재조사의뢰


글 출처: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