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지금의 강남구 율현동에 논이 있었다고?

글 목차


  1. 시간여행을 떠나보자 – 1912년 강남구 율현동의 놀라운 풍경

  2. 논과 밭이 펼쳐진 율현동, 지금과는 너무 달랐던 그 모습

  3. 사람들이 살던 땅, 집은 어디 있었을까?

  4. 산과 잡종지까지… 자연 그대로였던 공간들

  5. 율현동 땅의 주인은 누구였을까? 조상들의 성씨를 찾아서

  6. 나라 땅도 있었다! 국유지의 존재

  7. 지금 이 땅에 무엇이 들어섰을까? 과거와 현재를 잇는 상상

  8. 문화유산 조사, 과거를 밝히는 가장 중요한 열쇠


1912년, 지금의 강남에 논이 있었다고?


믿기 어렵겠지만, 불과 100여 년 전만 해도 강남구 율현동은 빌딩 숲도, 고급 주택도, 복잡한 도로도 없었다. 우리가 아는 강남의 이미지와는 전혀 다른, 푸른 논밭과 몇 채의 집이 전부였던 이곳. 1912년 율현동의 풍경은 어땠을까?


한 번 시간여행을 떠나보자.



서울 강남 한복판, 율현동. 지금은 고급 주택 단지와 국제학교, 골프장이 자리한 이곳이 예전엔 어떤 모습이었을까?


1912년의 율현동은 총 352필지, 면적으로는 무려 1,063,677㎡였다. 지금의 기준으로도 꽤 넓은 이 땅에 놀랍게도 대부분은 ‘밭’이었다. 당시 율현동엔 무려 215필지, 647,837㎡에 달하는 밭이 있었다. 이 숫자가 상상이 되지 않는다면, 축구장 약 90개를 나란히 붙여놓은 크기라고 생각하면 쉽다.


하지만 밭만 있었던 건 아니다.


율현동에는 108필지, 305,221㎡의 논도 있었다. 지금은 아스팔트로 덮여 있는 도로 아래, 그 땅 깊은 곳엔 예전에 벼가 자라고 있었던 셈이다. 이쯤 되면 묻고 싶다. “이 땅에 사람이 살기는 했을까?”


그 해답은 ‘대지’라는 항목에서 찾을 수 있다.


1912년 율현동에는 25필지, 30,244㎡의 대지가 있었다. 집을 지을 수 있는 땅이었단 뜻이다. 생각보다 많지 않다. 그 말은, 지금처럼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공간이 아닌, 정말 몇몇 가구만이 조용히 살아가던 시골 마을 같은 풍경이었단 얘기다.


그렇다면 산은 어땠을까?


율현동에는 3필지, 22,581㎡의 임야가 있었다. 아직 개발되지 않은 산자락이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었던 것. 그리고 아주 작게, 1필지 228㎡의 잡종지도 존재했다. 잡종지는 이름처럼 다양한 용도로 쓰였을 가능성이 있지만, 그 규모는 매우 작았다.




이제 우리가 궁금해지는 건, ‘이 땅의 주인은 누구였을까?’라는 질문이다.


율현동은 다양한 성씨들이 나누어 소유하고 있었다. 이씨가 96필지로 가장 많은 땅을 소유하고 있었고, 그 뒤를 이어 김씨가 77필지, 조씨가 27필지, 홍씨가 19필지를 가지고 있었다. 송씨, 임씨, 민씨, 유씨, 방씨도 적지 않은 필지를 가지고 있었으니, 이 마을은 서로 다른 성씨의 대가족들이 모여 살던 공동체였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특이한 점 하나. 이곳엔 13필지의 국유지도 있었다. 나라에서 소유하고 있던 땅이었다는 이야기다. 당시엔 마을 공동체나 공공 목적을 위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렇듯 1912년의 율현동은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던, 지금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자동차 소리 대신 풀벌레 소리가 들렸고, 콘크리트 벽 대신 흙담이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 이 땅에는 무엇이 있을까?


고층 아파트, 유명 사립학교, 골프장… 그리고 빠르게 달리는 자동차들. 이 모든 변화는 불과 한 세기 남짓한 시간 동안 일어난 것이다. 이 극적인 변화는 곧,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서울이 얼마나 빠르게 변해왔는지를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모든 변화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게 있다.


바로 그 땅에 깃든 ‘과거의 이야기’다.


그리고 이 과거를 찾아내는 작업이 바로 ‘문화유산 조사’다.


서울시에서는 지금도 이러한 역사적 기록을 바탕으로, 다양한 시굴조사, 표본조사, 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지금 우리가 밟고 있는 땅 아래에는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수많은 이야기가 묻혀 있을지도 모른다.


이런 조사를 통해, 우리는 단순히 과거를 ‘기억’하는 것을 넘어, ‘발견’하고 ‘기록’하며 ‘보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그 과정은, 생각보다 우리와 훨씬 가까운 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혹시 여러분이 사는 동네에도, 아직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가 숨어 있진 않을까?


서울의 과거를 알고 싶다면, 그리고 그 이야기 속에서 내 삶의 뿌리를 찾아보고 싶다면, 오늘부터 관심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





글 출처는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