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용산구 용문동, 그곳에 숨겨진 이야기

목차


  1. 역사의 뒤안길에서 꺼내 본 용산구 용문동, 1912년

  2. 115채의 집과 마을의 숨결

  3. 용산의 길, 도로와 사사지를 말하다

  4. 잡종지와 밭, 그리고 연못이 들려주는 땅의 이야기

  5. 김씨, 이씨, 그리고 다양한 성씨들의 터전

  6. 국유지와 동척, 일제의 흔적

  7. 마을 공동체의 흔적과 법인 소유지의 정체

  8. 일본인 소유지 57필지, 강제와 현실의 이면

  9. 기록이 말해주는 서울 문화유적의 현재적 가치

  10. 지표조사와 발굴의 필요성, 그리고 우리의 할 일

ree

1912년 용산구 용문동, 그곳에 숨겨진 이야기


서울이라는 거대한 도시의 중심, 그 속에 무심코 지나쳤을지 모를 동네 하나.

그 이름은 용문동.


지금은 고층 아파트와 도로, 빽빽한 상가들로 둘러싸인 이곳도

100년 전에는 놀랍도록 다른 풍경을 간직하고 있었다.


이제, 타임머신을 타고 1912년으로 떠나보자.

그 시절, 용문동에는 무려 148필지, 15만 7천 제곱미터의 땅이 존재했다.

그러나 중요한 건 단순한 면적이 아니다.

그 땅 위에 어떤 사람들이 살았고, 어떤 건물과 자연이 존재했는지가

지금 우리가 문화유산을 이해하고 지켜야 할 가장 중요한 이유다.


115채의 집과 마을의 숨결


1912년 용문동에는 115필지, 약 9만 제곱미터의 대지가 있었다.

즉, 지금의 단독주택이나 마당이 있는 집 형태의 거주 공간이 그만큼 존재했던 것이다.


그 시대 사람들은 이 마을에서 밥을 짓고, 아이를 키우고, 함께 웃고 울며 살았다.

수치로 남은 이 숫자들은 그저 통계가 아니다.

115개의 집은 115개의 삶이고, 그만큼의 가족과 이야기가 숨겨져 있다.


용산의 길, 도로와 사사지를 말하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8필지, 약 3,200제곱미터의 도로가 있었고

1필지, 314제곱미터의 사사지는 아마도 마을 공동체의 이동 경로나 사적인 통행 공간이었을 것이다.


현대의 네비게이션엔 잡히지 않지만, 그 길들은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가장 인간적인 공간이었다.


잡종지와 밭, 그리고 연못이 들려주는 땅의 이야기


잡종지.

듣기엔 이상하지만, 당시에 행정적으로 분류되지 않은 다양한 용도의 땅이 무려 9필지, 34,492㎡였다.

창고, 임시주택, 야외화장실, 목장일 수도 있고… 그 무엇도 될 수 있었다.


그 옆으로는 14필지의 밭이 2만 제곱미터 넘게 펼쳐졌다.

지금은 상상하기 어렵겠지만, 서울 중심 용산에서 농작물이 자라던 시대가 존재했다.


그리고 잊지 말아야 할 것,

1필지 9,038㎡. 거의 축구장 크기의 연못도 이 땅 위에 있었다.


물소리, 개구리 울음, 아이들 웃음소리가 어우러졌을 그 연못은

지금은 어디로 사라졌을까?


김씨, 이씨, 그리고 다양한 성씨들의 터전


역사 속에 남은 성씨들.

1912년의 용문동에는 김씨가 19필지, 이씨가 10필지를 포함해 다양한 가족들이 이 땅을 지키며 살았다.

이들은 대개 조선 후기부터 그곳에 뿌리를 내린 토박이였거나,

근대 사회의 변화 속에서 이주해온 새로운 주민들이었을 것이다.


땅은 단순한 부동산이 아니라, 기억이고, 유산이다.

그들의 이름이 지금의 지번 속에 사라졌지만, 우리는 이 기록을 통해 그 숨결을 다시 불러올 수 있다.


국유지와 동척, 일제의 흔적


국유지는 단 두 필지.

그러나 진짜 의미심장한 건,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존재였다.

2필지.

작아 보이지만, 일제 강점기의 식민 경제를 상징하는 상징적 존재다.


이 회사는 조선의 땅을 수탈하고 일본인에게 넘기기 위해 만들어졌고,

용산 역시 그 예외가 아니었다.


지금의 용문동 일대는 일제의 손이 직접 닿은 대표적인 서울의 공간 중 하나였다.


마을 공동체의 흔적과 법인 소유지의 정체


공동체가 소유한 땅은 단 1필지였지만,

그 존재만으로도 이 지역이 단지 개인의 소유로만 구성된 곳이 아니라는 사실을 말해준다.


그리고 15필지의 법인 소유 땅.

그 안에는 아마도 사찰, 학교, 혹은 기업 관련 부지들이 있었을 것이다.

지금의 법인 건물과는 다른, 지역 중심의 활동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인 소유지 57필지, 강제와 현실의 이면


가장 충격적인 기록은 이것이다.

1912년 용문동 전체 148필지 중 무려 57필지가 일본인 소유였다.


이건 단순한 투자가 아니다.

이건 강제였고, 수탈이며, 지배였다.

서울이라는 도시 한복판에서 벌어진 일제의 토지 장악.

그 흔적은 지금도 골목의 구조와 지명의 잔재로 남아 있다.


기록이 말해주는 서울 문화유적의 현재적 가치


이러한 데이터를 단순히 과거의 기록으로 흘려보낼 수 없다.

이런 자료 하나하나가 서울의 문화유산을 밝혀주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문화재지표조사, 시굴조사, 표본조사는

이런 지역의 역사성을 확인하고 보존 가치를 판단하는 데 필수적인 절차다.


용문동 같은 지역에서 발굴조사가 이뤄진다면,

단순한 유물 이상의 사람의 흔적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지표조사와 발굴의 필요성, 그리고 우리의 할 일


오늘도 서울 어딘가에선 새로운 건물이 올라간다.

하지만 그 땅 아래, 누군가의 기억과 삶의 조각이 묻혀있을 수 있다.


우리가 지표조사를 의뢰하고, 발굴조사를 진행하는 이유는 단 하나다.

역사를 잃지 않기 위해서.


서울 문화유산의 깊이를 지키는 이 작은 행동이

미래의 누군가에게는 커다란 보물이 된다.


성공사례 이야기

2022년, 서울 구로구 한 신축 현장에서 진행된 발굴조사 결과

조선 후기 우물터와 도기 조각들이 발견됐다.

이로 인해 지역의 정체성이 바뀌었고, 마을 주민들의 자긍심도 높아졌다.


용문동 역시 그렇게 될 수 있다.



출처: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