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오늘은 그 숨겨진 이야기, 1912년 성북구 하월곡동으로의 시간여행을 함께 떠나보자.

목차


  1. 하월곡동, 과거로의 시간여행

  2. 논밭 사이, 삶의 흔적들

  3. 이름 따라 땅 따라, 성씨들의 터전

  4. 시대의 그림자,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흔적

  5. 왕실의 흔적, 창덕궁 소유지의 비밀

  6.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남긴 메시지



“우리가 딛고 있는 이 땅, 그 아래에 어떤 이야기가 숨어 있을까?”


평소 무심코 지나치던 성북구 하월곡동.


이곳을 그저 평범한 주택가, 상점가라고만 생각했던 나는 어느 날 문득 1912년 지적도를 펼쳐보고 깜짝 놀라고 말았다.


우리가 발을 딛고 걷는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아래에는 100여 년 전 선조들의 흔적이 생생하게 새겨져 있었던 것이다.


오늘은 그 숨겨진 이야기, 1912년 하월곡동으로의 시간여행을 함께 떠나보자.

ree

하월곡동, 과거로의 시간여행


1912년의 하월곡동은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었다.


지금의 아파트와 편의점 대신 푸르른 논밭이 넓게 펼쳐져 있었고, 낮은 지붕의 한옥 몇 채가 오순도순 모여 마을을 이루고 있었다.


무려 671,295㎡의 넓은 면적 속에서 91필지로 나뉘어 있던 이 땅은, 당시 사람들의 삶이 고스란히 녹아 있었다.


그 풍경을 상상하니 마치 영화 속 한 장면이 펼쳐지는 듯했다.


논밭 사이, 삶의 흔적들


1912년 하월곡동의 중심에는 넓은 논과 밭이 있었다.


논은 39필지에 걸쳐 241,908㎡의 크기로 펼쳐져 있었다.


이 논은 아마도 그 시절 사람들의 주된 먹거리를 책임지는 소중한 삶의 터전이었을 것이다.


밭은 더 놀라웠다.


29필지, 무려 347,958㎡나 되는 넓은 땅이 온갖 농작물로 가득했으니 당시의 하월곡동은 서울 외곽에서 풍요로움을 자랑했으리라.


삶이란 이렇게 자연과 함께, 땅과 함께 공존하는 것이었다.


이름 따라 땅 따라, 성씨들의 터전


그 당시 하월곡동을 더욱 흥미롭게 만든 건 각양각색 성씨들이 모여 살던 모습이었다.


17필지로 가장 넓은 땅을 가졌던 박씨는 분명 하월곡동의 중심적 역할을 했으리라.


이어 전씨가 4필지, 이씨와 임씨, 홍씨가 각각 2필지씩 소유하고 있었고, 김씨와 방씨, 조씨 등도 터를 잡고 있었다.


성씨 따라 모여 마을을 형성했던 그들의 이야기를 상상해 본다.


어떤 이야기를 나누며 함께 살았을까?


결혼과 출생, 장례까지 서로 돕고 함께 했던 그 온정을 떠올리면 나도 모르게 마음이 따뜻해진다.


시대의 그림자,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흔적


하지만 이 땅에 담긴 이야기가 언제나 행복하고 밝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하월곡동에는 당시 식민 지배의 상징이던 동양척식주식회사의 땅이 무려 16필지나 있었다.


이것은 단지 숫자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우리의 땅과 삶이 침략자의 손에 넘어가는 모습을 보며 당시 주민들은 어떤 마음으로 이 시대를 견뎠을까?


상상만으로도 가슴 한쪽이 저릿해진다.


왕실의 흔적, 창덕궁 소유지의 비밀


흥미로운 또 하나의 사실은 하월곡동의 땅 중 무려 45필지가 창덕궁 소유였다는 점이다.


창덕궁의 땅이라는 건 이곳이 왕실의 식량과 재정에 기여하는 중요한 지역이었다는 의미다.


왕실이 소유했다는 사실은 하월곡동이 그저 평범한 농촌이 아니라, 나라 전체의 식량 창고 같은 역할을 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왕과 백성, 식민 지배와 저항의 이야기가 얽힌 이 땅 위에 지금 우리가 서 있는 것이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남긴 메시지


역사를 들여다보는 일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생각을 남긴다.


우리가 걷고 있는 이 길과 우리가 살고 있는 이 공간에도 분명 선조들의 숨결이 배어 있다.


시간은 지나도 땅은 늘 그 자리에 남아, 그 시대의 흔적을 품고 있는 것이다.


지금의 하월곡동은 화려한 아파트와 상점, 카페들이 즐비한 현대 도시가 되었지만, 이 아래는 여전히 1912년의 논과 밭, 그리고 다양한 성씨들이 이루었던 삶의 터전이 숨 쉬고 있다.


때론 과거로 눈길을 돌려 보는 것도 좋겠다.


지금의 삶이 너무 힘들고 지친다면, 옛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위로받고 새로운 희망을 얻을 수도 있으니까.


내가 걷는 이 길 위에서 역사와 미래를 연결하며 오늘 하루도 살아가야겠다고 마음먹으며 다시 현재로 돌아온다.


혹시 성북구 하월곡동을 지나다가 발밑을 내려다본다면, 잠시 멈추어 이 땅 아래 숨겨진 역사 속 이야기들을 한 번쯤 떠올려 보면 어떨까?


그 순간이 아마 당신의 하루를 특별하게 만들어 줄 것이다.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