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서울 송파구 장지동, 지금은 아파트 숲이지만 1912년에는 논밭이 끝없이 펼쳐졌던 고요한 농촌이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목차


  1. 잊혀진 시간 속의 장지동, 1912년의 풍경

  2. 논과 밭이 주를 이룬 장지동의 자연 환경

  3. 집과 마을의 모습: 조용한 시골 마을의 일상

  4. 무덤과 산, 잡종지로 본 장지동의 지형과 활용

  5. 당시 장지동의 지배적 성씨와 토지 소유 양상

  6. 국유지, 일본인 소유, 동척 소유지로 본 식민시대의 그림자

  7. 서울 문화유산 지표조사에서 장지동의 역사적 의의

  8. 성공사례로 본 장지동 시굴조사와 문화재 복원

  9. 문화재 지표조사의 중요성과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10. 마무리: 장지동에서 시작된 우리의 역사 보호 이야기


“서울 송파구 장지동, 지금은 아파트 숲이지만 1912년에는 논밭이 끝없이 펼쳐졌던 고요한 농촌이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ree

이야기의 시작은 그저 옛날이라는 말로는 부족하다. 시간의 틈새를 비집고 들어가 1912년, 바로 일제강점기의 초입에 서울 송파구 장지동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도시적인 풍경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서울이 아니라 경성의 외곽이었던 이곳은 논과 밭, 무덤과 산이 어우러진 전형적인 농촌이었다. 그리고 그 땅 위에는 수백 년을 살아온 성씨들이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논과 밭이 주를 이룬 장지동의 자연 환경


장지동은 1912년 당시 전체 면적이 2,633,188㎡, 약 797,000평이었다. 그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한 건 다름 아닌 농경지였다. 논만 해도 320필지, 1,227,734㎡로 장지동 면적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을 차지했다. 밭 역시 만만치 않았다. 332필지, 1,058,589㎡. 이 둘만 합쳐도 전체 면적의 87% 이상이었다는 사실은 장지동이 얼마나 순수한 농업 중심 마을이었는지를 말해준다.


그곳에서 자란 벼는 어느 강의 물을 마시고, 어떤 사람들의 손길을 거쳐 자랐을까. 지금은 고층 아파트 단지로 바뀐 이곳이, 불과 백 년 전만 해도 황금빛 논과 푸른 밭으로 물든 마을이었다는 사실은 상상만으로도 감동적이다.


집과 마을의 모습: 조용한 시골 마을의 일상


농사가 중심이었던 장지동에 집이 차지하는 면적은 겨우 35필지, 43,791㎡. 지금 강남이나 송파의 주택 밀집도를 생각해보면 턱없이 적은 숫자다. 이 정도의 규모라면 마을 전체 인구도 몇 백 명 안팎이었을 것이다. 흙담으로 둘러싸인 집들이 논과 밭 사이에 드문드문 박혀 있었고, 저녁이면 지붕에서 피어오르는 연기가 들녘 위로 스며들었으리라.


무덤과 산, 잡종지로 본 장지동의 지형과 활용


조용한 시골 마을이라지만 삶의 끝자락도 함께했던 공간이 바로 무덤이다. 장지동에는 13필지, 12,009㎡의 분묘지가 있었다. 선산처럼 마을 뒷산에 무덤들이 있고, 제사철마다 사람들이 모여 조상을 기렸던 풍경이 그려진다.


산림에 해당하는 임야는 46필지, 280,378㎡였다. 지금 장지공원이나 탄천 인근의 녹지처럼 예전에도 숲이 장지동의 일부를 차지했음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3필지, 10,684㎡의 잡종지가 존재했는데, 이 땅들은 특정 용도가 아닌, 마을의 공터나 공동시설로 사용됐을 가능성이 높다.


당시 장지동의 지배적 성씨와 토지 소유 양상


이 시기의 장지동에서는 김씨가 226필지나 소유하고 있었고, 전씨가 57필지, 이씨 55필지, 강씨 48필지로 이어진다. 이처럼 특정 성씨들이 다수의 땅을 보유하고 있던 사실은 곧 그 지역의 주도적 가문이 누구였는지를 보여준다. 이는 단순한 토지 소유를 넘어 마을의 중심이었고, 지역 문화 형성과 유지에 깊이 관여했을 것이다.


국유지, 일본인 소유, 동척 소유지로 본 식민시대의 그림자


우리는 이 시기의 기록에서 절대 간과할 수 없는 흔적을 보게 된다. 바로 식민 지배의 손길이다. 1912년 당시 장지동에는 국유지가 4필지 있었으며, 일본인 개인이 소유한 땅이 4필지, 그리고 동양척식주식회사(동척)가 보유한 땅은 무려 43필지나 되었다. 동척은 조선의 땅을 수탈해 일본인의 소유로 넘기던 대표적인 식민기관이다. 이들이 장지동의 땅 일부를 장악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그 시대가 어떤 시간들이었는지를 잊지 말라고 말하고 있다.


서울 문화유산 지표조사에서 장지동의 역사적 의의


이러한 자료는 단지 과거의 숫자가 아니다. 오늘날 장지동의 문화재지표조사, 시굴조사, 발굴조사 등 서울 지역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에서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땅 아래 숨어있는 유물이나 유적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지표조사 단계에서, 1912년의 토지 분포와 소유 형태는 해당 지역의 역사성을 입증하는 실마리가 된다.


성공사례로 본 장지동 시굴조사와 문화재 복원


최근 장지동 인근 개발 과정에서 진행된 시굴조사에서는 조선 후기의 생활 흔적이 확인되며 발굴이 확대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문화재가 등록되었다. 이런 사례는 문화재지표조사와 사전 발굴의 중요성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 조사 덕분에 수백 년 된 도자기 파편, 옛 도로 흔적까지 복원되고 보존되며 서울의 역사적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교육 자원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문화재 지표조사의 중요성과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서울처럼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일수록 땅 아래의 시간은 쉽게 묻혀 버린다. 개발 전 반드시 이루어지는 문화재지표조사, 표본조사, 시굴조사, 발굴조사는 우리의 과거를 지키는 마지막 방어선이다. 장지동의 사례처럼, 단순한 땅 조사가 아닌, 그 안에 잠든 시간과 사람들의 흔적을 꺼내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만약 여러분이 서울 송파구나 인근 지역의 개발 또는 건축을 앞두고 있다면, 문화재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반드시 고려해보시길 바란다. 그것은 단지 법적인 절차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우리가 잃어버릴 수도 있는 과거의 한 조각을 보존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마무리: 장지동에서 시작된 우리의 역사 보호 이야기


1912년의 장지동은 단지 옛날 시골마을이 아니다. 그곳은 지금 우리가 사는 서울의 한 조각이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를 보여주는 타임캡슐이다. 그리고 그 타임캡슐을 여는 열쇠는 바로 지표조사와 발굴조사 같은 문화재 조사 활동에 있다. 조상의 흔적을 이해하고, 오늘의 우리가 어디에서 왔는지를 기억하는 일, 바로 그 출발점이 장지동일 수도 있다.


출처: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