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서울 도심 한복판, 1912년 중구 남학동의 비밀

목차


  1. 사라진 동네의 그림자, 남학동 이야기

  2. 1912년 남학동의 면적과 필지 수

  3. 누가 그 땅을 차지하고 있었을까?

  4. 국유지 2필지, 의미하는 바는?

  5. 조선인은 어디에 있었는가

  6. 일본인 소유의 충격적인 현실

  7. 지금 우리는 무엇을 기억해야 할까

  8. 문화재지표조사와 시굴조사로 밝혀지는 진실

  9. 성공 사례로 보는 서울 문화유산 발굴

  10.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에 의뢰하는 법



서울의 중심에서 사라진 시간을 보다


지금 당신이 서 있는 그 자리가, 100여 년 전에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면 믿을 수 있을까?

ree

남산을 끼고 서울 도심을 따라 걷다 보면 눈치채지 못한 채 지나치게 되는 동네가 있다. 지금은 흔적도 찾기 힘든 ‘남학동’이라는 이름. 1912년, 바로 이곳에 감춰진 이야기가 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토지대장 한 장이 보여주는 ‘그때 그 시절’의 역사가 지금도 생생하게 우리를 향해 말을 걸고 있다.


1912년, 남학동은 몇 필지였을까?


남학동은 당시 총 25필지, 면적은 15,312㎡에 달했다. 오늘날의 아파트 단지를 비교해본다면 대략 소형 아파트 3~4개 단지가 들어설 수 있는 규모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단지 숫자가 아니다. 이 필지들이 누구의 손에 있었는가 하는 점이다.


조선인은 없었다, 남학동의 토지 소유권은 어디로?


놀라운 사실 하나. 그 시절 이 남학동에는 조선인의 이름이 단 한 줄도 등장하지 않는다.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서울 도심의 땅에, 조선인은 없었다. 아니, 있었다 하더라도 토지 소유자 명단에 이름을 올릴 수조차 없었을 것이다. 이는 단순한 소유권의 문제가 아니다. 1910년 한일합병 이후, 1912년이라는 시점은 일본의 식민 통치가 뿌리를 깊게 내리기 시작한 때였다. 토지를 가진다는 건 곧 권력을 가진다는 의미였고, 조선인은 그 권력을 허락받지 못한 존재였다.


23필지 소유한 일본인, 그리고 2필지 국유지


25필지 중 23필지가 일본인의 소유였다는 사실은 오늘날에도 충격적이다. 나머지 2필지는 국유지로 기록되어 있다. ‘국유지’라는 이름 아래 존재하지만, 당시의 국가는 조선의 국가가 아니었다. 이는 명백히 일본 제국의 소유였다. 다시 말해, 남학동 전역이 조선인의 손을 완전히 벗어난 상태였다는 것을 뜻한다.


누구도 말하지 않았던 진실, 이제는 밝혀야 할 때


이처럼 중구 남학동의 1912년 토지 현황은 단순한 기록 그 이상이다. 당시의 사회 구조와 권력 구도, 조선인의 현실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생생한 사료인 셈이다. 문화재지표조사와 시굴조사를 통해 이런 진실들이 하나씩 세상 밖으로 나오고 있다.


우리가 과거의 땅을 들여다보는 이유는 그 안에서 오늘을 이해하기 위해서다. 문화재 조사라는 단어가 생소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서울 곳곳에서는 땅을 파며 잊혀진 이름을 다시 불러내는 작업이 계속되고 있다.


성공 사례: 서울 종로구의 사례를 보다


2022년, 서울 종로구 일대에서도 비슷한 문화재지표조사 과정이 있었다. 당시에는 재개발 전 지표조사를 진행하던 중 조선 후기의 유물과 건축 흔적이 대량 발견되면서, 전면적인 정밀발굴로 이어졌다. 이 조사 덕분에 해당 지역은 역사적 가치가 있는 문화공간으로 보존되었고, 주민들은 서울의 정체성을 담은 문화복합공간을 얻게 되었다.


지금,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에 문의해야 할 사람들


문화재 조사, 특히 지표조사나 표본조사는 대개 개발이나 건축 이전에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서울 중구, 종로, 용산, 마포 등 도심에서 공사를 계획하고 있다면 반드시 해당 지자체 혹은 문화재 전문기관에 의뢰를 해야 한다.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는 이런 전문 조사기관 중 하나로, 다수의 발굴 경험과 검증된 성과를 가진 신뢰할 수 있는 곳이다.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무엇인가


남학동의 이야기는 단지 옛 동네에 대한 향수만이 아니다. 누군가의 이름이 지워지고, 그 자리를 다른 이가 차지한 현실. 그리고 그것을 다시 복원하려는 노력.


이 모든 것이 ‘문화재 발굴조사’라는 이름 아래 이어지고 있다.


당신이 지금 땅을 산다면, 혹은 건물을 짓는다면… 단순한 개발이 아니라, 그 땅에 담긴 시간을 함께 읽어야 한다. 왜냐하면 그 땅에도 누군가의 이름이, 삶이, 그리고 잊힌 기억이 숨 쉬고 있을 테니까.








글 출처는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