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2년, 청량리동에 이런 곳이 있었어?
- 서울 HI
- 6일 전
- 2분 분량
여러분은 청량리동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화려한 백화점, 북적이는 전통시장, 역동적인 교통의 중심지. 맞아요, 지금 우리가 보는 청량리동의 모습이죠. 하지만 100여 년 전 청량리동은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었다는 걸 알고 계셨나요? 오늘 저는 여러분과 함께 1912년 청량리동의 숨겨진 모습을 함께 탐험해 보려고 합니다.
청량리동, 그때 그 시절로 떠나는 시간여행을 시작할게요!

목차
1. 놀라움의 시작, 1912년의 청량리동
2. 청량리동을 지탱하던 생명의 터전, 논과 밭
3. 사람들이 살던 공간, 주거지로서의 대지
4. 선조들의 안식처, 무덤의 의미
5. 옛 흔적이 묻혀있는 사사지의 신비
6. 작지만 특이한 잡종지 이야기
7. 마을의 풍경을 꾸민 연못의 존재감
8. 청량리동을 채웠던 사람들, 그들의 성씨와 삶
9. 과거에서 현재로, 역사 속 청량리동을 기억하며
놀라움의 시작, 1912년의 청량리동
혹시 지금의 청량리역을 거닐면서 이곳에 100년 전 연못이 있었다고 상상해본 적이 있나요? 1912년 청량리동의 전체 면적은 280,953㎡였어요. 지금은 보기 어려운 연못과 넓은 밭이 존재했던 청량리의 모습은 상상 이상으로 흥미롭답니다. 지금의 현대적인 도시가 과거 농촌 풍경을 간직했던 장소라는 걸 생각하면 놀랍지 않나요?
청량리동을 지탱하던 생명의 터전, 논과 밭
1912년 청량리동에는 14필지 30,750㎡의 논과 무려 93필지 137,726㎡의 밭이 있었어요. 이 광활한 밭과 논은 주민들의 주요 생계 수단이었죠. 지금의 번화한 거리와는 달리, 주민들은 이 땅에서 땀 흘려 농사를 짓고 생활을 이어갔습니다. 그때의 풍성한 들판은 주민들에게 먹거리를 제공하는 소중한 존재였어요.
사람들이 살던 공간, 주거지로서의 대지
1912년 청량리동의 주거지 면적은 총 89필지 50,472㎡였어요. 주거지가 비교적 밀집되어 있었다는 것은 당시에도 청량리동이 생활의 중심지였다는 증거죠. 다양한 가옥들이 들어서고 가족들이 모여 살던 이 공간은 오늘날의 복잡한 아파트 단지의 조용한 전신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선조들의 안식처, 무덤의 의미
그 당시 청량리동에는 4필지 24,578㎡의 무덤이 있었어요. 이곳은 단순히 죽음을 기리는 장소가 아니라, 가족과 공동체의 유대를 상징하는 의미 깊은 장소였습니다. 역사 속에서 무덤은 마을의 경계를 나타내거나 조상을 기리는 특별한 공간으로 여겨졌어요.
옛 흔적이 묻혀있는 사사지의 신비
사사지는 절이 폐사된 자리로, 청량리동에는 1필지 3,752㎡의 사사지가 존재했어요. 이 땅은 옛 절터로, 역사적인 흔적을 품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사지에는 당시의 건축물이나 문화재가 매장되어 있을 수 있어 역사적으로 매우 가치 있는 땅이에요.
작지만 특이한 잡종지 이야기
청량리동에는 단지 1필지, 89㎡의 잡종지도 있었답니다. 잡종지는 정확한 용도를 알 수 없는 다양한 용도의 땅으로, 작은 규모이지만 이곳의 존재는 당시 마을에서 어떤 독특한 쓰임이 있었는지를 상상하게 만들죠.
마을의 풍경을 꾸민 연못의 존재감
연못이 무려 2필지 33,583㎡로 마을의 꽤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어요. 지금의 빌딩 숲이 아닌, 평화롭게 펼쳐진 연못은 주민들의 휴식처이자 자연 속에서 힐링할 수 있는 공간이었을 거예요. 상상만 해도 마음이 편안해지지 않나요?
청량리동을 채웠던 사람들, 그들의 성씨와 삶
1912년 청량리동을 가득 채웠던 사람들은 주로 김씨(39필지), 이씨(18필지), 최씨(10필지) 등이었어요. 다양한 성씨의 사람들이 이곳에 뿌리를 내리고 공동체를 형성하며 살아갔죠. 그들의 삶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숨겨진 이야기들로 가득했을 거예요.
과거에서 현재로, 역사 속 청량리동을 기억하며
100년 전의 청량리동을 살펴보며 과거의 풍경과 그 안에서 살아가던 사람들의 삶을 돌아봤어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청량리동과는 너무도 다른 모습이었지만, 이 모든 것들이 모여 현재의 활기 넘치는 지역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거죠. 이제 우리가 발 디딘 땅 위에서 숨겨진 역사와 문화를 발견하고 기억하는 것은 우리의 몫입니다.
이 자료는 최초공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