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중구 묵정동, 땅의 기억과 사람들의 이야기


  1. 서두 – 1912년 묵정동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2. 집과 대지 – 12필지 31,940㎡의 삶의 터전

  3. 도로와 길 – 2필지 5,917㎡의 길 위의 풍경

  4. 산과 임야 – 2필지 6,733㎡의 자연과 쉼터

  5. 밭과 생계 – 6필지 18,710㎡의 생활 기반

  6. 국유지와 법인의 땅 – 권력과 제도의 흔적

  7. 일본인의 토지 소유 – 12필지에 담긴 식민의 그림자

  8. 오늘날 묵정동과의 연결 – 과거가 남긴 흔적들

  9. 마무리 – 땅이 전하는 역사적 목소리


ree

1912년, 서울 한복판 중구 묵정동은 지금과 전혀 다른 얼굴을 하고 있었습니다.


오늘날 묵정동은 고층 건물과 아파트, 상업 시설이 가득 들어선 중심지의 모습이지만, 100여 년 전의 묵정동은 22필지, 총 63,302㎡의 땅 위에 집과 밭, 길과 산이 뒤섞인 조용한 동네였습니다. 땅의 용도와 소유 구조를 살펴보면 그 시절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고, 어떤 힘들이 그 땅을 지배했는지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집이 들어선 대지는 12필지, 31,940㎡에 달했습니다. 당시 서울의 다른 동네와 비교하면 꽤 많은 가구가 모여 살았음을 보여주는데, 마을의 중심이 형성된 곳이 바로 이 대지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곳에 지어진 집들은 나무와 기와로 된 소박한 형태였을 것이고, 골목마다 아이들이 뛰놀며 저녁에는 연기가 피어올랐을 것입니다.


그 곁에는 2필지 5,917㎡의 도로가 있었습니다. 지금의 넓은 아스팔트 도로와는 달리, 당시의 길은 흙길이나 돌길이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길 위에는 장터를 오가는 사람들, 이삿짐을 실은 수레, 그리고 가끔은 일본인 관리들의 발자국도 함께 남아 있었을 것입니다.


마을을 둘러싼 2필지 6,733㎡의 임야는 주민들의 쉼터이자 생활 자원이었습니다. 나무를 베어 땔감으로 쓰고, 봄에는 산나물을 채취하며, 여름이면 아이들이 숲 속에서 놀았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 임야 또한 단순히 자연의 공간이 아니라, 점차 일본인과 법인의 소유권 안으로 들어가며 사람들의 자유로운 사용은 제한되었을 것입니다.


생활의 기반이 된 6필지 18,710㎡의 밭은 묵정동 사람들의 중요한 생계 터전이었습니다. 도시라 하더라도 당시에는 직접 농사를 지어 먹거리를 마련하는 경우가 많았기에, 이 밭에서는 채소, 곡식이 자라고 계절마다 수확이 이어졌습니다. 흙 묻은 손으로 웃음 지으며 돌아오던 주민들의 모습이 눈앞에 그려집니다.


이 땅의 소유를 보면 더욱 복잡한 풍경이 드러납니다. 1필지의 국유지가 있었고, 9필지는 법인 소유였습니다. 이는 이미 국가와 제도가 묵정동의 땅에 깊이 개입하고 있었음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주민들의 생활공간이 아니라, 행정적 권력과 제도적 힘이 교차하는 장소였던 것입니다.


가장 눈여겨봐야 할 부분은 일본인의 소유입니다. 무려 12필지의 땅이 일본인에게 넘어가 있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당시 식민지 지배가 어떻게 우리의 땅을 잠식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일본인들은 거주와 동시에 토지를 소유하며, 이 지역의 권력 구조를 흔들고 있었습니다. 땅은 단순한 땅이 아니라, 힘의 상징이자 억압의 도구였던 것입니다.


오늘날 묵정동을 거닐다 보면 이런 과거의 흔적은 쉽게 눈에 띄지 않습니다. 하지만 건물과 도로 아래에는 여전히 1912년의 흔적이 잠들어 있습니다. 우리가 문화재 발굴과 지표조사를 통해 그 시대의 기록을 다시 살펴보는 이유는, 단순한 옛 이야기를 아는 것이 아니라 오늘의 도시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이해하기 위함입니다.


묵정동의 사례는 서울 전역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유적 시굴조사, 표본조사, 발굴조사의 중요성을 잘 보여줍니다. 작은 필지 하나하나에 담긴 이야기가 모여 도시의 역사를 만들고,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경각심과 자부심을 줍니다.


결국, 땅은 단순한 면적이 아니라, 사람들의 삶과 권력, 그리고 시대의 그림자를 담고 있는 역사적 증언자입니다. 1912년 묵정동의 22필지, 63,302㎡는 바로 그 증언을 전하는 목소리입니다.


출처: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