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온수동으로 시간여행: 서울 구로구 땅 이야기”

목차



  1. 온수동, 100년 전 그곳은 어땠을까?

  2. 논밭으로 뒤덮인 동네, 온수동의 풍경

  3. 집은 드물고 땅은 넓었다: 대지와 인구 이야기

  4. 산이라기엔 작은 임야, 자연 그대로의 모습

  5. 성씨로 보는 마을 지도: 누가 어디에 살았을까?

  6. 도시화의 시작 전, 온수동의 마지막 농촌

  7. 과거를 통해 본 서울의 유산

  8. 마무리: 땅에서 피어난 이야기, 문화유산으로 남다


100년 전 온수동, 그 땅에 숨겨진 이야기

ree

한 번쯤 이런 상상을 해본 적 있지 않나요?

내가 살고 있는 동네가, 100년 전에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오늘은 서울 구로구 온수동으로 시간을 되돌려, 1912년 그 땅의 풍경과 사람들의 삶을 따라가 보려 합니다.

이야기는 논과 밭, 산과 집, 그리고 그 땅을 일구던 성씨들의 이름으로 이어집니다.

조용하지만 진한 서울의 과거를 마주할 준비가 되셨다면, 지금부터 함께 걸어볼까요?




온수동, 100년 전 그곳은 어땠을까?


1912년, 지금으로부터 정확히 113년 전.

그때 온수동은 지금처럼 아파트와 도로가 빽빽한 도시가 아니었습니다.


총 102필지, 230,655㎡.

축구장 32개가 들어갈 정도의 넓은 땅이었지만, 놀랍게도 대부분은 논과 밭이 차지하고 있었어요.

지금 온수역 근처나 구로구청 인근을 떠올리면 상상이 어렵겠지만, 그 당시 온수동은 ‘서울 근교의 시골 마을’이었습니다.




논밭으로 뒤덮인 동네, 온수동의 풍경


온수동의 주인은 흙이었어요.

전체 면적 중 절반이 넘는 129,041㎡가 논이었습니다.

필지 수로는 43필지.


그 논에서는 아마도 쌀이 자라고, 철 따라 농부들이 논두렁을 오갔겠죠.

밭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45필지, 80,611㎡.


감자, 고구마, 콩, 옥수수…

한 세기 전 온수동의 풍경은 초록으로 물들어 있었고, 땅의 향기로 가득했을 겁니다.

지금 그 땅 위를 지나는 사람들은 그 밑에 이런 기억이 묻혀 있는 줄 모를지도 모르죠.




집은 드물고 땅은 넓었다: 대지와 인구 이야기


놀랍게도 102필지 중 집이 들어선 대지는 단 11필지였습니다.

면적은 12,783㎡.


비율로 보면 전체의 5%도 되지 않죠.

그만큼 인구 밀도도 낮고, 집보다 땅이 더 소중하던 시절이었어요.

‘살 집보다 심을 땅이 더 중요했던 시대’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닙니다.


이 시기의 온수동은 ‘사는 곳’보다는 ‘사는 데 필요한 걸 키우는 곳’이었죠.

서울 외곽이 아닌, ‘서울의 창고’였던 셈이에요.




산이라기엔 작은 임야, 자연 그대로의 모습


산이라고 하긴 어렵지만, 온수동에는 작은 임야도 있었습니다.

3필지, 8,218㎡.


이 작은 숲은 마을 사람들에게는 장작을 모으는 공간이었을 수도 있고, 아이들이 뛰놀던 놀이터였을지도 모릅니다.

도시가 개발되기 전, 서울은 이렇게 작고 고요한 자연의 조각들을 품고 있었어요.


지금 그곳이 어디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이름 없는 나무들과 이름 모를 들꽃들이 자랐을 그곳의 공기를 상상해보면 괜히 마음이 말랑해집니다.




성씨로 보는 마을 지도: 누가 어디에 살았을까?


1912년 온수동의 소유주들을 보면 흥미로운 패턴이 보여요.


유씨가 18필지.

김씨, 박씨, 이씨가 각각 13필지.

최씨가 12필지.


몇몇 성씨들이 마을 전체의 땅을 나눠 갖고 있었던 셈이에요.

아마 유씨네는 마을 어귀에, 김씨네는 논 옆에, 박씨네는 그 너머에 살며 서로 품앗이하며 지냈겠죠.

이 작은 마을엔 분명 이름은 달라도 마음은 닮은 이웃들이 있었을 겁니다.




도시화의 시작 전, 온수동의 마지막 농촌


온수동은 지금 서울에서 가장 도시화된 지역 중 하나입니다.

지하철, 고층 아파트, 대형 마트…


하지만 불과 한 세기 전, 여긴 농사가 주업이던 시골 마을이었죠.

그 짧은 시간 동안, 땅은 얼마나 달라졌고 사람들은 얼마나 잊었을까요?


그 변화의 순간마다 무엇이 묻히고, 무엇이 남았는지를 생각하면, 지금 우리가 걷는 길이 예전엔 누구의 논이었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이 새삼 낯설게 다가옵니다.




과거를 통해 본 서울의 유산


이야기의 끝은 늘 시작으로 돌아갑니다.

우리가 이 땅의 옛 이야기를 꺼내보는 이유는 단순한 ‘추억팔이’가 아니에요.

바로 우리가 딛고 서 있는 서울이라는 도시의 뿌리를 알아야, 미래를 더 잘 설계할 수 있기 때문이죠.


온수동의 시골 시절 이야기는 지금 문화유산 시굴조사나 발굴조사를 하는 중요한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지금도 서울의 곳곳에서는 삽을 들고, 시간을 파내고 있는 사람들이 있어요.




마무리: 땅에서 피어난 이야기, 문화유산으로 남다


한 장의 지도와 몇 줄의 기록.

거기서 시작된 이 이야기는, 결국 우리의 이야기입니다.


어느 집성촌, 어느 논둑길, 어느 집터 하나도 모두 서울의 뿌리가 되었고, 지금 우리 곁에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혹시 지금 발밑에 그런 과거가 숨겨져 있다면, 이제는 그곳을 향해 한 번쯤 다시 바라보는 건 어떨까요?


서울의 유산은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와 이어진 이야기입니다.





출처: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