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2년, 구로구 항동의 땅이 말해주는 이야기
- 서울 HI
- 7월 12일
- 3분 분량
목차
1912년, 항동의 땅이 말해주는 이야기
논밭과 임야, 항동의 생활상을 그리다
누가 이 땅을 소유했을까? 성씨로 보는 땅의 주인들
항동에서 피어난 역사, 왜 문화재 지표조사가 필요한가?
서울의 땅 아래 잠든 유산, 성공사례로 말하다
문화재 지표조사부터 발굴까지, 의뢰 전 꼭 알아야 할 것들
서울 지역 유산조사의 시작점, 항동이 전하는 메시지
마무리하며: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로 이어지는 기억의 복원
1912년, 구로구 항동의 땅이 말해주는 이야기

1912년, 지금의 서울 구로구 항동은 상상도 못 할 만큼 넓고 한적한 땅이었습니다.
지금은 아파트가 즐비하고 도로가 분주한 항동이지만, 그 당시엔 무려 220필지, 약 195만㎡라는 어마어마한 면적의 토지가 조용히 사람들의 삶을 품고 있었죠.
이 조용했던 땅의 기록은 오늘날 우리가 문화유산을 이해하고 복원하는 데 아주 중요한 실마리가 됩니다.
당신이 무심코 지나치는 도심의 어느 길도, 그 아래에는 수백 년의 이야기가 묻혀 있을지 모릅니다.
구로구 항동, 그 한 자락의 역사를 들여다보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지금의 서울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문화재지표조사나 시굴조사, 발굴조사 같은 작업이 꼭 필요한 것이죠.
특히 항동은 그 자체로 하나의 거대한 생활유적이자, 사람들의 삶이 고스란히 스며든 ‘살아있는 문화사’입니다.
서울 한복판에서 이런 숨겨진 이야기를 찾아내는 작업은 단순한 발굴을 넘어서, 기억의 복원입니다.
이제, 항동 땅의 구체적인 이야기로 들어가 봅시다.
논밭과 임야, 항동의 생활상을 그리다
1912년의 기록을 보면, 항동에는 97필지, 342,847㎡의 논이 있었습니다.
물이 흐르고 벼가 자라던 그 넓은 들판은, 지금은 공원이나 건물로 변했겠지만, 당시엔 마을 사람들의 식량을 책임졌던 삶의 중심이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113필지 274,887㎡의 밭도 있었습니다.
고추, 무, 배추 같은 작물들이 자라났겠죠.
산은 2필지 10,975㎡의 임야로 존재했고, 집터로 쓰인 대지는 8필지 23,590㎡에 불과했습니다.
이 말은 곧, 항동은 ‘사는 공간’보다 ‘일하는 공간’이 더 컸던 전형적인 농촌 지역이었다는 뜻입니다.
이처럼 땅의 용도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삶의 방식, 구조, 그리고 지역의 기능까지 유추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런 이유로 문화재지표조사가 중요합니다.
지표조사는 단순히 문화재가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가 아니라, 과거의 생활사를 복원하는 일종의 ‘도시 생애사 탐험’이기 때문입니다.
누가 이 땅을 소유했을까? 성씨로 보는 땅의 주인들
그 당시 항동에 살던 이들은 어떤 사람들이었을까요?
기록에 따르면 김씨가 103필지, 임씨가 30필지, 배씨가 18필지, 이씨가 17필지, 서씨가 11필지를 소유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분포는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한 마을 안에서 성씨별로 분포가 뚜렷하다는 건, 그곳이 씨족 중심의 공동체였을 가능성이 크다는 뜻입니다.
즉, 항동은 김씨 중심의 마을이었고, 이 성씨들이 오랜 세월 그 땅을 지키며 살아왔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정보는 향후 시굴조사나 발굴조사를 할 때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예를 들어 김씨 집안의 묘지나 유물, 문중 유적이 발견될 확률이 높기 때문이죠.
그리고 이 모든 것들이 서울이라는 대도시의 성장을 구성한 조각들이 됩니다.
항동에서 피어난 역사, 왜 문화재 지표조사가 필요한가?
많은 사람들이 “문화재 발굴은 시골에서나 하는 것 아니야?”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수천 년의 시간이 겹겹이 쌓인 도시입니다.
서울 어디를 파든, 그 아래에는 조선의 길, 고려의 흔적, 백제의 무덤이 있을 가능성이 존재하죠.
그래서 도시 재개발을 하기 전에 문화재지표조사가 필수입니다.
항동 같은 지역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은 대단위 개발이 진행 중이지만, 그 아래 묻힌 생활유적은 발굴하지 않으면 영원히 사라질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사라진 유산은 다시 복원할 수 없습니다.
서울의 땅 아래 잠든 유산, 성공사례로 말하다
2019년, 서울 동작구의 한 개발부지에서 문화재 지표조사가 이뤄졌고, 그 결과 조선 후기의 도로 흔적과 조선시대의 우물터가 발견되었습니다.
당초 이 땅은 그냥 철거 후 아파트를 짓는 용도였지만, 조사가 이루어짐으로써 서울시가 역사유산을 보존하고, 이를 활용한 역사교육 공간을 조성할 수 있었습니다.
항동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이 지역에서 진행될 지표조사, 시굴조사, 발굴조사 결과는 단순히 땅을 관리하는 데 쓰이는 것이 아니라, 미래 세대를 위한 역사 콘텐츠로 재탄생할 수 있습니다.
문화재 지표조사부터 발굴까지, 의뢰 전 꼭 알아야 할 것들
문화재 지표조사란, 특정 지역에 문화재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사전에 조사하는 단계입니다.
이후 시굴조사는 지표조사에서 문화재 흔적이 나올 경우 소규모로 직접 땅을 파서 확인하는 단계이고, 그 결과 문화재가 확인되면 전면 발굴조사로 이어지게 됩니다.
서울에서 주택 재건축이나 대단위 개발, 공공시설 건립을 추진하는 경우 반드시 이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기관은 이러한 모든 과정을 전문적으로 지원하며, 빠르고 정확한 진행을 통해 건설 일정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역사 보존을 함께 실현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서울 지역 유산조사의 시작점, 항동이 전하는 메시지
항동의 이야기는 서울의 또 다른 이야기입니다.
이 지역을 통해 우리는 ‘땅이 기억하는 시간’을 읽을 수 있고, 그 기억을 통해 도시의 정체성을 다시 세울 수 있습니다.
지금 당신이 걷는 도로 아래에도, 언젠가 누군가의 삶이 있었을 수 있습니다.
그 삶을 복원하고 보존하는 일, 그것이 문화재지표조사의 진짜 의미입니다.
마무리하며: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로 이어지는 기억의 복원
우리는 더 나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과거를 보존해야 합니다.
서울의 땅 곳곳에는 여전히 발굴되지 않은 이야기들이 숨어 있습니다.
항동이 그랬듯이, 지표조사를 통해 시작되는 여정은 결국 도시의 품격을 높이고, 미래를 위한 기반이 됩니다.
서울의 문화재 발굴과 지표조사를 의뢰하고자 하는 분들이라면, 꼭 전문기관의 상담을 받아 보시길 권합니다.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가 여러분의 첫걸음이 되어 드릴 수 있습니다.
출처: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