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구로구 천왕동의 역사와 지표조사, 문화재 발굴조사

목차


  1. 한눈에 보는 1912년 구로구 천왕동의 풍경

  2. 논밭과 임야, 그리고 잡종지: 땅이 들려주는 시대의 이야기

  3. 집과 무덤, 삶과 죽음의 흔적

  4. 천왕동에 살았던 사람들: 땅과 성씨로 본 역사

  5. 왜 지금 이 이야기가 중요한가?

  6. 문화유산 보존의 첫걸음, 문화재지표조사란 무엇인가

  7. 서울 문화재 시굴조사와 발굴조사 의뢰, 어떻게 이뤄질까?

  8. 성공적인 지표조사 사례: 구로구 천왕동 프로젝트

  9. 당신의 땅에도 숨겨진 역사가 있다

  10. 마무리: 과거를 알아야 미래를 지킬 수 있다


ree

한때 천왕동은 논이었다, 그것도 아주 넓은 논이었다


1912년의 구로구 천왕동. 지금의 도시적 풍경과는 전혀 다른, 땅과 사람, 그리고 삶의 궤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던 그 시절.


당신이 매일 지나는 그 길, 그 골목 어딘가에 100년 전 사람들의 손때 묻은 흔적이 남아있다는 사실, 알고 있었나요?


우리가 살아가는 이 도시는 결코 갑자기 생겨난 것이 아닙니다. 모든 땅은 과거를 가지고 있고, 그 과거는 오늘날 우리의 정체성과 문화를 형성하는 핵심입니다. 그리고 그 이야기를 가장 생생하게 들려주는 것이 바로 ‘문화재지표조사’입니다.


한눈에 보는 1912년 구로구 천왕동의 풍경


1912년, 구로구 천왕동은 총 256필지, 약 66만㎡의 면적이었습니다. 당시엔 대부분 농경지였고, 시멘트 대신 흙냄새가 풍기던 동네였죠. 논은 113필지, 무려 33만 6천㎡에 달했고, 밭도 112필지나 되었습니다. 이 둘만 합쳐도 천왕동 전체 면적의 80%에 가까웠습니다.


그 외에도 임야가 2,961㎡, 잡종지가 67,729㎡, 그리고 대지가 14,780㎡ 정도 존재했어요. 이 대지가 바로 사람들의 집터였습니다. 단 13필지에 불과했죠. 지금과 비교하면 얼마나 적은 숫자인지 실감이 되시죠?


이러한 숫자들은 단순한 통계가 아닙니다. 이 땅에서 실제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고, 무얼 했는지를 보여주는 ‘살아있는 기록’입니다.


논밭과 임야, 그리고 잡종지: 땅이 들려주는 시대의 이야기


당시 천왕동의 풍경을 상상해볼까요?


넓은 논이 햇볕에 반짝이고, 밭에서는 농부들이 고된 노동 속에서도 웃음을 잃지 않았을 겁니다. 산자락에는 나무가 울창했고, 사람의 손이 닿지 않은 곳엔 야생동물의 흔적도 있었겠죠.


특히 잡종지란 항목은 재미있습니다. 이 땅들은 용도가 명확하지 않은 곳인데, 마을의 공동체 공간이거나 창고, 나무 저장소 혹은 임시 거주 공간으로 활용됐을 가능성이 크죠. 천왕동에는 무려 14필지, 약 6만 7천㎡의 잡종지가 있었어요.


이런 땅들은 문화재지표조사에서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왜냐하면, 단순히 문헌이나 지도만으로는 그 활용도를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 현장을 조사해야만 진짜 용도를 파악할 수 있죠.


집과 무덤, 삶과 죽음의 흔적


1912년 천왕동에는 13필지의 대지, 즉 주거지가 있었습니다. 집이라는 존재는 곧 누군가가 그곳에서 살았다는 가장 확실한 증거이죠.


그런데 여기서 또 하나 주목할 건 ‘분묘지’입니다. 단 한 필지, 1,560㎡지만, 이는 엄청난 의미를 지닙니다.


무덤은 단지 한 사람의 죽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특정 시대, 특정 가문, 특정 문화가 그 지역에 자리 잡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문화적 유물’이죠. 때로는 하나의 무덤이, 시대를 바꾸는 유적이 되기도 합니다.


천왕동에 살았던 사람들: 땅과 성씨로 본 역사


그 시절 이 땅에 어떤 성씨들이 살았을까요?


최씨가 55필지, 한씨가 50필지, 김씨가 35필지, 배씨와 이씨가 각각 22필지. 이외에도 안씨, 노씨, 조씨, 피씨, 하씨 등 다양한 성씨들이 터를 잡고 살았습니다.


단순한 이름의 나열 같지만, 이는 곧 당시 천왕동의 사회구성, 권력구조, 경제상태까지 보여주는 힌트입니다. 누가 땅을 많이 가지고 있었는가에 따라 그 지역 내에서의 영향력도 달랐을 테니까요.


왜 지금 이 이야기가 중요한가?


지금 우리는 빠르게 도시화된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은 건물, 도로, 신호등뿐이지만, 그 아래에는 여전히 수백 년 전의 땅이 존재합니다.


이제 그 땅을 개발하려는 순간, 우리는 반드시 한 가지를 해야 합니다. 바로 ‘문화재지표조사’입니다.


문화유산 보존의 첫걸음, 문화재지표조사란 무엇인가


문화재지표조사는 개발 예정지의 역사적, 고고학적 가치를 사전에 조사하는 작업입니다.


다시 말해, 땅을 파기 전에 이곳에 과거 어떤 유물이 묻혀 있는지를 알아보는 거죠. 논과 밭, 집터와 무덤, 잡종지까지 — 그 안에 담긴 이야기를 발견하고 보존할 수 있는 첫걸음입니다.


특히 서울처럼 오래된 역사 위에 세워진 도시에서는 이 작업이 필수입니다. 서울 전역 어디든 문화유산이 잠들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서울 문화재 시굴조사와 발굴조사 의뢰, 어떻게 이뤄질까?


서울에서 땅을 개발하거나 건물을 짓기 전엔 관할 구청 또는 서울문화유산발굴조사 기관에 의뢰하여 지표조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 과정은 간단히 말해, 1차적으로는 문헌조사, 2차적으로는 현장조사, 그리고 필요시 시굴조사(시험발굴)를 통해 유물의 존재 여부를 파악합니다. 만약 유물이 확인된다면 정식 발굴로 이어지기도 하죠.


이 모든 과정을 전문기관이 담당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문화유산은 구로구 천왕동 같은 지역의 역사 조사 및 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지표조사 업무를 진행해왔습니다.


성공적인 지표조사 사례: 구로구 천왕동 프로젝트


최근 천왕동 일대에서 진행된 한 지표조사 사례는 주목할 만합니다.


신축 아파트 건설 전 시행된 조사에서 조선시대 주거지 흔적과 고인돌 유사 구조가 발견되었고, 이는 곧 서울시 문화재로 지정될 가능성까지 제기되었습니다.


이 사례는 “그냥 평범한 땅”으로 여겨졌던 곳에서도 얼마나 중요한 유적이 나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입니다.


당신의 땅에도 숨겨진 역사가 있다


혹시 당신이 소유한 땅이 서울에 있다면, 어쩌면 그 밑에는 조상들의 삶의 흔적이 남아 있을지 모릅니다.


그 땅이 과연 개발 가능한지, 문화재가 있는지 알고 싶다면 ‘문화재지표조사’를 꼭 의뢰해보세요. 역사와 마주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 과거를 알아야 미래를 지킬 수 있다


우리는 지금 이 순간도 역사의 위에 서 있습니다.


문화재는 단순한 과거의 잔재가 아닙니다. 현재와 미래를 지탱하는 뿌리입니다.


서울에서 땅을 파기 전, 반드시 그 아래에 숨겨진 시간을 들여다보는 이유. 그게 바로 우리가 지켜야 할 ‘문화재지표조사’의 본질입니다.


글 출처는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