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서울 종로구 구기동, 그곳엔 시간여행이 가능한 비밀이 있다

목차


  1. “서울 한복판, 100년 전 구기동으로 떠나는 시간 여행”

  2. 일제강점기 1912년, 구기동의 땅 이야기

  3. 당시 구기동엔 어떤 사람들이 살았을까?

  4. 집보다 밭이 많았던 동네, 그 의미는?

  5. 구기동을 지켜낸 성씨들, 뿌리 깊은 가문 이야기

  6. 구기동의 국유지, 그 땅은 지금 어디에 있을까?

  7. 문화재지표조사와 발굴조사로 본 구기동의 역사적 가치

  8. 서울지역 문화유산 조사의 현재와 의뢰 방법

  9. 과거에서 현재로, 구기동 문화유산 보존의 성공사례

  10. 결론: 땅 속에 잠든 서울의 시간, 우리가 지켜야 할 것들



서울 종로구 구기동, 그곳엔 시간여행이 가능한 비밀이 있다

서울 도심에서 북악산 자락을 따라 걷다 보면, 어느 순간 도시의 소음이 줄어들고 골목이 조용해진다. 그렇게 발길이 닿은 곳, 바로 구기동이다. 지금은 고급 주택가로 이름난 이 동네. 하지만 100여 년 전, 이곳은 완전히 다른 풍경이었다. 만약 우리가 1912년의 구기동으로 돌아갈 수 있다면, 무엇을 보게 될까?


그 시절의 구기동은 단순한 주거지가 아니었다. 땅의 결이, 사람의 족보가, 삶의 무게가 고스란히 배어 있는, ‘살아 있는 역사’였다.


1912년, 일제가 토지조사를 강행하던 시기. 종로구 구기동은 총 265필지에 걸쳐 무려 81만2873㎡, 지금의 여의도 면적 절반에 달하는 땅이었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넓은 땅 중 ‘집’이 들어선 대지는 고작 89필지, 2만6882㎡에 불과했다.


도시는 아니었고, 마을도 부족했던 구기동. 그 시절의 구기동은 무엇으로 채워져 있었을까?


밭이 마을을 삼켰다 – 구기동의 경작지 이야기


구기동 땅 대부분은 밭이었다. 무려 169필지, 76만7854㎡. 지금도 놀랄 만큼의 면적이다. 이건 단순한 수치가 아니다. 밭의 넓이는 곧, 그 시대 사람들이 땅과 어떻게 살아갔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다.


1912년의 구기동은 농사로 먹고사는 삶이 당연했던 곳. 그만큼 농업 중심의 생활문화가 뿌리 깊었다는 이야기다. 그런데 지금은 단독주택과 대사관, 고급 빌라가 즐비한 이곳에서, 밭이 주인이었던 시절이 있었다니 믿을 수 있을까?


누가 이 땅을 지켰을까 – 성씨로 본 구기동 족보


구기동에선 김씨가 가장 많은 땅을 소유하고 있었다. 무려 140필지. 그 뒤를 이씨 22필지, 홍씨 18필지, 설씨 13필지, 임씨 11필지가 이었다. 이들은 단순한 지주가 아니었다. 지역 사회를 이끄는 중심 가문이었고, 마을의 정신적 주춧돌이기도 했다.


그들의 이름은 지금도 토지대장과 문화재 발굴자료 속에 남아 있다. 조선시대 문중의 터전이자, 일제강점기에도 명맥을 잃지 않았던 ‘가문’의 흔적들이다.


사사지와 임야, 그리고 국유지 – 구기동 속 작은 땅 이야기


구기동에는 사사지가 2필지, 2909㎡ 있었다. 개인이 아닌 종교, 사찰의 땅이었다. 누군가는 이 땅에서 기도하고, 제사를 지냈을지도 모른다.


또한 5필지 1만5226㎡는 임야였다. 숲이었고, 산이었다. 지금도 구기동의 일부는 북악산 국립공원으로 남아 있다. 당시 국유지도 3필지 존재했다. 이 국유지는 당시 조선총독부의 이름으로 등록되었을 수도 있다.


문화재지표조사와 시굴조사, 구기동의 역사 찾기


이런 구기동의 과거는 단지 문서로만 확인되는 것이 아니다. 문화재지표조사나 시굴조사라는 과정을 통해 실제 땅 속에서도 역사적 유물이 발견된다. 지표조사는 해당 지역이 문화재 보호구역에 해당하는지, 유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조사하는 초기 단계다. 이후 시굴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해 땅 속 문화유산이 본격적으로 드러난다.


서울에서도 이러한 절차는 꼭 필요하다. 특히 구기동처럼 오랜 역사와 주거문화가 중첩된 지역은 발굴이 선행되어야 개발이 가능하다.


구기동 발굴 성공사례 – 땅에서 나온 과거의 퍼즐


몇 해 전, 구기동 일대 주택 신축 공사 전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조선시대 토기와 유물들이 발견된 사례가 있다. 해당 유물은 김씨 문중의 제기(祭器)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구기동이 단순한 거주지가 아닌, 조상 숭배와 가문의 정체성이 깃든 장소임을 보여주는 단서가 되었다.


이런 사례는 땅을 파보지 않으면 결코 알 수 없다. 그만큼 문화재지표조사와 발굴은 도시 개발 이전에 반드시 필요한, ‘서울 속 시간여행’의 첫걸음이다.


지금 구기동을 개발하거나 건축하고 싶다면?


구기동에서 부지를 개발하려면 반드시 문화재조사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서울시에서는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지표조사, 시굴조사, 발굴조사를 단계별로 수행하고 있다.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전문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해당 지역의 역사성을 확보하면서도, 법적 리스크를 줄이고 개발이 가능하다. 특히 구기동처럼 역사적 가치가 높은 지역은 문화재청 협의가 중요한 과정이 된다.


마무리하며 – 서울 속 땅, 그 뿌리를 지켜야 하는 이유


우리는 지금도 매일 땅을 딛고 살아간다. 그런데 그 땅이 어떤 이야기를 품고 있는지는 쉽게 알 수 없다. 구기동은 서울이라는 도시가 어떻게 지금의 모습이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살아 있는 책’이다.


그 책장을 넘기기 위해선, 문화재조사라는 작은 호기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노력이 쌓여, 서울을 더 특별한 도시로 만들게 된다.


출처: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인기 해시태그


서울지역 문화유산 조사 해시태그

Comments

Rated 0 out of 5 stars.
No ratings yet

Add a rati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