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변화를 앞둔 1912년 용산구 원효로1가의 풍경
- 서울 HI
- 8월 12일
- 2분 분량
목차
거대한 변화를 앞둔 1912년 용산 원효로1가의 풍경
논과 밭, 그리고 삶의 터전
집과 도로가 그려낸 근대의 윤곽
사사지고 임야, 그리고 땅의 숨결
잡종지라는 이름의 빈 땅
땅의 주인들 — 이씨, 일본인, 법인, 그리고 국유지
변화의 서막 — 일본인 토지 소유의 확대
오늘날 발굴조사가 알려주는 과거의 진실
서울 문화유적 조사와 현대적 의의
결론 — 땅에 새겨진 기억

거대한 변화를 앞둔 1912년 용산 원효로1가의 풍경
1912년, 지금의 서울 한복판인 용산구 원효로1가는 아직 근대화의 문턱에 서 있었습니다. 총 133필지, 187,921㎡에 달하는 이 땅은 그 자체로 시대의 축소판이었죠. 논과 밭이 여전히 중요한 생계의 수단이었고, 대지 위에는 사람들의 집과 생활이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거대한 변화의 흐름은 이미 이곳을 감싸고 있었습니다.
논과 밭, 그리고 삶의 터전
이 지역에는 8필지, 21,345㎡의 논과 22필지, 32,843㎡의 밭이 있었습니다. 주민들은 벼와 곡식을 재배하며 하루하루를 이어갔습니다. 논에서는 벼 이삭이 바람에 흔들리고, 밭에서는 제철 작물이 자라났죠. 당시의 원효로1가는 도시라기보다 농촌의 숨결이 더 짙게 배어 있던 공간이었습니다.
집과 도로가 그려낸 근대의 윤곽
하지만 이미 88필지, 80,892㎡의 대지가 마련되어 있었고, 이는 곧 주택과 상가로 변모할 준비를 하고 있었습니다. 2필지, 2,244㎡의 도로 부지가 이곳에 교통망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논과 밭 사이로 길이 나고, 사람과 물자가 오가는 새로운 시대의 기운이 스며들고 있었던 것이죠.
사사지고 임야, 그리고 땅의 숨결
당시 원효로1가에는 2필지, 4,856㎡의 사사지가 있었습니다. 사사지는 절이나 종중 소유의 땅을 말합니다. 또한 4필지, 37,960㎡의 임야가 있어 산새와 나무가 이 지역의 일부로 남아 있었습니다. 이 임야는 도시 확장 속에서도 자연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했을 것입니다.
잡종지라는 이름의 빈 땅
7필지, 7,778㎡의 잡종지는 특별한 용도가 정해지지 않은 땅이었습니다. 나중에 주택이 들어설지, 상업 시설이 들어설지 모르는 잠재력을 품은 공간이었죠. 이 땅들은 훗날 개발 붐과 함께 도시의 중요한 일부로 변모했습니다.
땅의 주인들 — 이씨, 일본인, 법인, 그리고 국유지
1912년의 원효로1가에는 다양한 소유 형태가 존재했습니다. 이씨 성을 가진 인물이 14필지를 소유했고, 국유지는 13필지였습니다. 법인 소유의 땅도 4필지 있었죠. 그러나 가장 주목할 만한 사실은 일본인들이 무려 61필지를 소유하고 있었다는 점입니다.
변화의 서막 — 일본인 토지 소유의 확대
이는 단순한 소유 통계를 넘어, 한 시대의 흐름을 보여줍니다. 1910년 한일 병합 이후 일본인들은 용산 일대의 전략적 입지를 주목했고, 대규모 토지 매입에 나섰습니다. 원효로1가의 땅 일부가 이렇게 일본인 소유로 넘어간 것은, 훗날 용산이 군사·상업 중심지로 바뀌는 전조였습니다.
오늘날 발굴조사가 알려주는 과거의 진실
이제 100년이 지난 지금, 발굴조사와 지표조사를 통해 당시의 생활 흔적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습니다. 과거 토지대장과 지도, 발굴된 유물들이 합쳐져, 우리는 당시 사람들이 어떤 환경에서 살았는지를 구체적으로 복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서울 문화유적 조사와 현대적 의의
서울의 시굴조사, 표본조사, 지표조사는 단순히 옛 땅을 조사하는 것이 아닙니다. 땅속에 묻혀 있던 생활사, 산업 구조, 권력 관계를 되살려 현재의 도시와 비교할 수 있게 합니다. 원효로1가의 사례는 이러한 조사 활동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보여줍니다.
결론 — 땅에 새겨진 기억
1912년 원효로1가는 농촌과 도시의 경계선에 서 있던 곳이었습니다. 논과 밭, 그리고 대지와 도로가 공존했고, 땅의 주인은 다양했으며, 변화의 물결이 서서히 밀려오고 있었습니다. 지금 우리가 걸어 다니는 도심 속 골목길도, 100년 전에는 벼가 자라고 아이들이 뛰놀던 들판이었을지 모릅니다.
출처: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여기에 제가 해시태그도 추가할까요?
20~30대가 검색하고 관심 가질 수 있도록 맞춰드릴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