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용산구 청파동1가, 땅이 말해주는 시간의 기록

목차

1. 시작하며 – 1912 청파동1가를 돌아보다2. 집이 있던 , 삶의 터전 48,072

3. 산과 임야 20,181, 자연이 쉬던 공간4. 89,101, 먹거리를 지탱한

5. 국유지 17필지, 국가의 몫으로 남겨진

6. 김씨·이씨·민씨·박씨, 성씨별 소유 구조7. 외국인의 소유, 미국인과 일본인의 존재

8. 일제강점기 토지 변화와 청파동의 운명

9. 1912 땅과 현재 서울의 대비

10. 문화재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해 과거의 복원

11. 청파동 사례와 유사한 성공적인 발굴 이야기

12. 땅이 전하는 메시지우리가 배워야 13. 마무리하며역사를 잇는 조사와 우리의 역할

ree

  1. 1912년, 지금의 용산구 청파동1가는 어떤 풍경이었을까?


우리가 매일 걷는 거리와 우리가 서 있는 자리는 과연 언제부터 이런 모습이었을까. 단순히 도시의 일부라고 생각했던 공간이 사실은 100년 전 다른 풍경을 품고 있었다면? 이 질문 하나만으로도 우리의 상상은 과거로 빨려 들어간다.


서울 용산, 그중에서도 청파동1가는 교통과 군사적 요충지로서 수많은 변화를 겪어온 곳이다. 하지만 1912년 당시의 기록을 들여다보면, 지금의 빌딩 숲과는 전혀 다른 삶의 무늬가 펼쳐져 있었다. 199필지, 157,356㎡라는 수치로 남아 있는 청파동1가의 땅은 집터, 임야, 밭, 국유지로 나뉘어져 있었고, 그 위에는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2. 집이 있던 , 삶의 터전 48,072


청파동1가에는 165필지, 48,072㎡의 대지가 있었다. 여기서 수많은 가정이 꾸려졌다. 집터는 단순히 벽과 지붕의 조합이 아니라, 웃음과 눈물이 오갔던 삶의 무대였다.


그 집들 중에는 기와집도 있었을 것이고, 서민들은 초가나 목조 주택에 살았을 것이다. 골목길에서는 아이들이 공기놀이를 하거나 팽이를 돌렸을지도 모른다. 오늘날 문화재 발굴조사에서 발견되는 기와 조각이나 생활 도구들은 바로 이런 일상의 흔적이다.


서울 도심 한가운데에서 과거 사람들의 숨결을 느낄 수 있다는 사실은, 단순한 자료 이상의 감동을 준다.



3. 산과 임야 20,181, 자연이 쉬던 공간


청파동1가에는 3필지, 20,181㎡의 임야가 있었다. 지금은 아스팔트와 콘크리트가 차지한 공간이지만, 당시에는 나무와 풀, 바람이 살아 있던 땅이었다.


이 임야는 겨울에는 땔감을 제공하고, 여름에는 마을 아이들이 숨바꼭질을 하던 놀이터였을 것이다. 또한 마을 공동체에게 자연은 단순한 자원 이상이었다. 위로와 안식을 주는 존재였고, 계절의 변화를 느끼게 하는 공간이었다.


오늘날 지표조사를 통해 이러한 임야 흔적이 발견되면, 당시 사람들이 자연과 어떻게 공존했는지를 알 수 있다. 이는 단순히 과거를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 도시 개발과 환경 보존의 균형에 대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4. 89,101, 먹거리를 지탱한


무려 31필지, 89,101㎡의 밭이 있었다. 당시 청파동 사람들의 식탁을 책임진 땅이다. 벼, 보리, 채소가 자라났고, 이곳에서 거둔 작물은 곧 마을 사람들의 생존을 지탱했다.


이 땅은 경제적 기반이기도 했다. 남는 곡식은 시장에 내다 팔아 생계를 이어갔을 것이다. 도심 속에 농지가 존재했다는 사실은 오늘날에는 상상하기 어렵지만, 불과 100여 년 전 서울은 도시와 농촌이 맞닿아 있는 공간이었다.


지금 발굴조사에서 발견되는 곡식 저장 창고, 항아리 파편 등은 이런 생활상을 생생히 보여준다.



5. 국유지 17필지, 국가의 몫으로 남겨진


1912 청파동1가에는 17필지의 국유지가 있었다. 국가가 소유한 이 땅은 군사적·행정적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용산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주둔지와 연결된 개발이 집중된 지역이었다. 국유지가 많았다는 사실은 곧 국가 권력이 이 지역에 강하게 작동했음을 보여준다.



6. 김씨·이씨·민씨·박씨, 성씨별 소유 구조


1912 청파동1가의 기록에 따르면 김씨 32필지, 이씨 22필지, 민씨 14필지, 박씨 11필지가 땅을 소유하고 있었다.


이 수치는 단순히 땅의 소유 현황이 아니라, 그 지역을 구성하던 가족과 씨족의 흔적이다. 성씨별 토지 분포는 당시 사회의 경제 구조와도 깊이 연결된다.


문화재 지표조사에서 이런 성씨와 관련된 기록이 발견되면, 토기나 생활 도구와 연결해 사람들의 삶을 복원할 수 있다.



7. 외국인의 소유, 미국인과 일본인의 존재


놀라운 점은 미국인이 2필지, 일본인이 19필지의 땅을 소유했다는 것이다.


미국인의 땅 소유는 극히 일부였지만, 일본인의 경우는 본격적인 토지 장악의 시작을 보여준다. 이는 곧 일제강점기 청파동이 일본 주도의 도시 개발에 휩쓸렸음을 의미한다.



8. 일제강점기 토지 변화와 청파동의 운명


청파동은 용산 일본군 기지와 맞닿아 있었기에, 토지 구조가 빠르게 바뀌었다. 일본인 소유지가 늘어나면서 기존의 한국인 토지 소유자들은 점점 밀려났다.


과정에서 집을 잃은 사람들도 있었을 것이고, 반대로 일본식 건축물이 들어서면서 지역의풍경이 바뀌었다. 지금 발굴조사에서 발견되는 일본식 기와나 건축 자재들은 바로 시기의흔적이다.



9. 1912 땅과 현재 서울의 대비


현재의 청파동1가는 빌딩과 도로, 아파트 단지로 가득하다. 그러나 속에는 여전히 과거의흔적이 남아 있다.


문화재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해 이런 흔적이 드러나면, 오늘날 우리가 딛고 있는 공간이 단순한 현대 도시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10. 문화재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해 과거의 복원


문화재 지표조사는 개발 반드시 거치는 과정으로, 땅이 지닌 역사적 흔적을 파악한다. 시굴조사, 발굴조사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유물과 건축 흔적이 발견되면, 지역의 역사가다시 살아난다.


청파동의 경우 1912 기록은 이런 조사에서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 토지 구조와 소유현황을 알고 들어가면, 발굴 결과를 해석하는 도움이 된다.



11. 청파동 사례와 유사한 성공적인 발굴 이야기


서울에서 진행된 여러 발굴 조사 중에는 도심 한복판에서 조선시대 가옥 터나 고려시대 유물이 발견된 사례가 많다. 예컨대 종로구 일대에서는 개발 공사 대규모 가옥 터와 생활도구가 발견되어 도시 개발 계획이 바뀐 적도 있다.


이처럼 발굴은 단순히 과거를 확인하는 작업이 아니라, 현재의 도시 구조와 맞닿아 있는중요한 과정이다.



12. 땅이 전하는 메시지우리가 배워야


1912년의 땅은 수치로 남아 있지만, 속에는 사람들의 삶이 있다. 청파동1가의 , , , 국유지는 단순히 공간이 아니라 사람들의 생존과 , 그리고 공동체의 흔적이었다.


문화재 조사는 이러한 메시지를 다시 듣는 과정이다. 땅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무시하지 않고 기울일 , 우리는 나은 도시, 깊은 역사를 가진 사회를 만들 있다.



13. 마무리하며역사를 잇는 조사와 우리의 역할


1912 용산구 청파동1가의 기록은 단순한 과거가 아니다. 오늘날 우리가 문화재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생생한 사례다.


우리가 현재의 개발 속에서도 과거의 흔적을 존중하는 이유는, 땅이 단순히 자원이 아니라역사와 문화의 그릇이기 때문이다.



해시태그


글 출처: 서울 문화유산 발굴 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