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용산구 이촌동, 땅과 사람들의 이야기

목차


  1. 서두 – 1912년 이촌동으로 떠나는 시간 여행

  2. 311필지, 100만㎡ 넘는 땅의 구성

  3. 집과 마을 – 대지와 사람들의 삶

  4. 사사지와 임야 – 생활과 신앙의 흔적

  5. 잡종지와 철도용지 – 근대화의 발자취

  6. 끝없이 펼쳐진 밭 – 농경 사회의 중심

  7. 성씨별 토지 소유 – 마을을 이끌던 사람들

  8. 국유지, 마을 소유지, 법인 소유지의 의미

  9. 일본인 소유지 등장 – 식민지 시기의 그림자

  10. 오늘의 이촌동과 1912년의 흔적

  11. 결론 – 땅에 새겨진 역사를 읽다


ree

1912년 용산구 이촌동의 풍경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고층 아파트와 현대적인 도시 이미지와는 전혀 달랐습니다.


그 시절 이촌동은 311필지, 무려 1,049,006㎡라는 거대한 면적을 가진 땅이었고, 그 속에는 사람들의 삶과 신앙, 그리고 시대적 변화가 고스란히 담겨 있었습니다. 오늘은 1912년 당시 이촌동의 땅과 사람들의 이야기를 살펴보며, 그 안에 담긴 역사적 의미를 풀어보겠습니다.





311필지, 100만㎡ 넘는 땅의 구성



이촌동은 총 311필지로 나뉘어 있었고, 면적은 1,049,006㎡에 달했습니다. 지금의 단위로 환산하면 약 31만 평이 넘는 규모였습니다. 당시의 땅은 단순히 주거와 농사만이 아니라, 마을의 공동체적 기능, 국가와 기업, 그리고 일본인의 소유로 나뉘며 그 시대상을 잘 보여줍니다.





집과 마을 – 대지와 사람들의 삶



1912년 이촌동에는 260필지, 119,911㎡의 대지가 있었습니다. 대지는 곧 사람이 집을 짓고 살아가는 터전이었죠. 이곳에서 사람들이 모여 마을을 이루고, 서로의 삶을 의지하며 살아갔습니다.





사사지와 임야 – 생활과 신앙의 흔적



사사지는 불교 사찰이나 신앙 공간을 뜻합니다. 이촌동에는 단 1필지, 314㎡의 사사지가 있었습니다. 규모는 크지 않았지만 당시 마을 사람들의 정신적 쉼터 역할을 했을 것입니다.


임야는 1필지 80,516㎡로 존재했는데, 이는 이촌동이 단순한 평야 마을이 아니라 산과 숲을 끼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임야는 땔감을 제공하고 마을의 생태적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공간이었을 것입니다.





잡종지와 철도용지 – 근대화의 발자취



이촌동에는 잡종지가 5필지, 10,479㎡ 있었습니다. 잡종지는 이름처럼 용도가 뚜렷하지 않은 땅을 말하지만, 당시에는 마을의 공용 공간이나 다양한 임시 용도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주목할 점은 철도용지가 1필지, 8,082㎡ 있었다는 사실입니다. 1910년대는 이미 철도가 확산되던 시기였고, 이촌동 역시 그 흐름 속에 있었던 것입니다. 이는 이후 이 지역이 교통의 요지로 성장하는 발판이 되었습니다.





끝없이 펼쳐진 밭 – 농경 사회의 중심



무려 43필지, 829,702㎡가 밭이었습니다. 전체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농경이 이촌동의 중심이었음을 보여줍니다. 밭에서는 쌀뿐만 아니라 다양한 작물이 재배되며 마을 사람들의 먹거리를 책임졌고, 남는 생산물은 장터를 통해 거래되었을 것입니다.





성씨별 토지 소유 – 마을을 이끌던 사람들



1912년 이촌동에는 다양한 성씨들이 땅을 소유하고 있었습니다. 김씨가 64필지로 가장 많았고, 이씨 33필지, 최씨 21필지, 박씨 17필지, 정씨 10필지가 뒤를 이었습니다. 이들은 단순한 소유주를 넘어 마을의 지도자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토지를 얼마나 소유했는지는 곧 마을 내에서의 영향력과 직결되었기 때문입니다.





국유지, 마을 소유지, 법인 소유지의 의미



이촌동에는 국유지가 3필지 있었고, 마을 공동 소유의 땅도 2필지 있었습니다. 이런 땅은 공동체가 유지되기 위해 꼭 필요했습니다. 또한 법인 소유의 땅도 8필지 있었는데, 이는 종교단체나 회사, 혹은 단체 활동을 위한 기반이었을 것입니다.





일본인 소유지 등장 – 식민지 시기의 그림자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일본인 소유의 땅이 무려 48필지에 달했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한일병합 직후의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일본인들이 이미 이촌동에 대규모로 진출했음을 보여줍니다. 땅을 빼앗기고 생계를 위협받던 조선인들의 아픔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대목입니다.





오늘의 이촌동과 1912년의 흔적



지금 이촌동은 고층 아파트와 한강을 낀 현대적인 주거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불과 100여 년 전, 이곳은 논밭과 숲, 그리고 작은 마을이 어우러진 전형적인 농촌이었습니다. 오늘날 남아 있는 지명과 일부 지형은 당시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결론 – 땅에 새겨진 역사를 읽다



1912년 이촌동의 토지 구성과 사람들의 삶을 들여다보면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가 드러납니다. 대지는 삶의 터전이었고, 밭은 생존의 기반이었으며, 일본인 소유지는 식민지의 현실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기록은 단순히 과거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 우리가 살아가는 땅의 뿌리를 이해하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이촌동의 땅은 곧 사람들의 이야기였고, 그 이야기는 지금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출처: 서울 문화유산 발굴 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