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용산구 용산동 시간 여행의 출발

목차


  1. 후킹 시작: 시간 여행의 출발

  2. 용산동 1912년 토지 총정리

  3. 논·밭·대지·분묘·사시지 등 용도별 분석

  4. 성씨와 외국인, 법인들의 땅 소유구조

  5. 문화재조사와 땅의 역사 연결하기

  6. 성공 사례 포함 – 시굴조사, 지표조사, 발굴조사

  7. 조사 의뢰의 길 – 기관과 절차 안내

  8. 왜 지금 이 정보가 중요한가?


ree

1. 시간 여행의 출발


“1912년의 용산동으로 들어온 당신, 그 땅의 이야기를 듣기 전까지는 현실의 빌딩 숲이 전혀 상상되지 않을 것이다.”


2. 용산동 1912년 토지 총정리


1912년 당시 용산동 전체는 449필지, 674,538㎡ 면적이었다. (이 숫자는 글 속에서 반복하지 않고, 맥락을 유지하면서 흐름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그 땅은 각기 다른 용도로 쓰였다.


3. 논·밭·대지·분묘·사시지 등 주요 용도별 분석


그해 논은 52필지, 130,549㎡로 당시 농업 중심 흔적이 뚜렷했다.

밭은 가장 많아 183필지, 352,001㎡나 되었고, 이는 전체 토지의 절반 이상이었다.

집이 세워진 대지(집터)는 161필지, 66,268㎡로 이미 생활 공간을 구성했고,

분묘지(무덤)는 51필지, 122,638㎡로 조상의 흔적을 남겼다.

사시지(寺祠地)는 1필지, 11,196㎡, 잡종지는 1필지, 1,884㎡로 규모는 크지 않았지만 역사 맥락에서 의미 있었다.


조금씩 숨은 이야기가 온몸으로 흘러가는 것처럼 이 숫자들이 숨 쉬면, 당신도 가슴 뜨거워질 것이다.


4. 성씨와 외국인, 법인의 땅 소유구조


1912년 용산동에는 김씨가 106필지, 이씨 47필지, 윤씨 45필지, 천씨 14필지, 박씨 11필지 등 조선인 성씨들이 토지를 소유했다.


하지만 정작 눈에 띄는 건 일본인 소유 56필지, 동양척식주식회사 소유 37필지라는 점.

그 땅을 누가 가졌느냐는 정치적 메시지와도 연결된다.


당시 땅의 분포와 용도가 한 장면씩 이어지며, 토지 이름만 봐도 시대 풍경이 떠오른다.


5. 문화재조사와 땅의 역사 연결하기


이런 정보를 아는 건, 문화재 지표조사와 시굴조사를 준비할 때 필수다.

예를 들어, 2008년 용산구 용산동 캠프코이너 부지(약 79,000㎡)에서 실시된 지표조사 사례는 당시 토지 상황을 활용해 조사 거점을 정했으며  ,

최근엔 용산철도병원 부지(11,261㎡)에서 발굴조사를 통해 근·현대 건물 유구, 배수로와 유물 등 63기의 유구가 발굴된 바 있다  .


이처럼 토지 사용 형태와 소유 구조 분석이 조사의 방향을 정하고, 실제 성과로 이어졌다.


6. 성공 사례 포함


– 캠프코이너 지표조사: 시굴조사 전 기초 조사로서 지형·지하 흔적 탐색 성공

– 용산철도병원 부지 발굴조사: 근·현대 유구와 유물 다수 확인, 박물관 연계 가치 증대


이 두 사례는 실제 의뢰 가능 사례로,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관련 기관에서 자주 다뤄지는 프로젝트였다.


7. 조사 의뢰의 길 – 기관과 절차 안내


문화재 조사 의뢰는 서울역사박물관, 한강문화재연구원, 또는 국가유산청 통합 발굴허가 시스템을 통해 가능하다  .

시굴조사 → 지표조사 → 발굴조사 순으로 단계가 진행되고,

각 단계마다 조사 면적, 기간, 허가 절차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발굴허가 대장을 통해 2021년부터 각 구역별 사업부지, 조사기관, 면적 등이 상세히 기록돼 있다.


의뢰자는 용역 제안서, 조사 목적, 면적, 예산, 기관 선정 절차 등을 포함해 제출하면 된다.


8. 왜 지금 이 정보가 중요한가?


지금 용산구 중에서도 신계동, 용산동, 용문동 등 과거 토지 이용과 소유 기록을 연결해보면,

오늘의 도시 공간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문화재지표조사, 표본조사, 시굴조사, 발굴조사를 준비하는 이들에게 결정적인 자료가 된다.

게다가 20대·30대 세대에게는 ‘내가 사는 곳의 역사’로 다가와 더 큰 공감과 몰입을 자극한다.


동요시키기 요소도 포함했다. “당신이 밟는 땅 아래에, 누군가의 무덤이, 밭이, 철도의 궤도 흔적이 있다면?”

이런 문장이 흐름 중간중간 호흡 긴 줄글 사이사이에 들어간다.


해시태그 예시


글 출처는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입니다.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