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용산구 서빙고동의 토지 이용과 소유 구조

목차


  1. “1912년, 서울 용산 서빙고동을 걷다” – 강력한 후킹과 배경 설명

  2. 일제강점기, 땅 위에 새겨진 흔적들 – 지표조사로 밝혀낸 토지 이용

  3. 논, 밭, 집터, 무덤까지 – 그 당시 서빙고동은 어떤 땅이었나

  4. 땅의 주인들은 누구였을까 – 성씨별 소유 분포의 의미

  5. 국유지와 일본인 소유지, 그리고 동양척식주식회사 – 사라진 마을의 흔적

  6. 현대 도시 속 문화재의 발굴 필요성 – 지표조사가 중요한 이유

  7. 성공사례로 보는 문화재 발굴의 실제

  8. 마무리 – 잊혀진 땅의 기억을 되살리며


ree

1912년, 서울 용산 서빙고동을 걷다


상상해보세요. 지금은 고층 아파트와 한강공원이 펼쳐진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 하지만 100여 년 전, 이곳은 논밭과 무덤, 그리고 한반도 근대사의 격랑을 고스란히 품은 공간이었습니다.


이 글은 단순한 과거 회고가 아닙니다.

우리가 사는 도시의 땅 아래 어떤 역사가 숨어 있는지, 왜 문화재지표조사와 발굴조사가 중요한지, 그 필요성과 가치를 실감 나게 전해드리려 합니다.


일제강점기 초기에 그려진 서빙고동의 지도 위에서, 우리는 ‘지금’을 이해할 단서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땅 위에 새겨진 흔적들 – 지표조사로 밝혀낸 토지 이용


1912년, 총 285필지 208,407㎡의 면적을 가진 서빙고동.

서울 중심부 한강변에 위치했지만, 당시엔 농경과 공동체 생활이 중심인 전형적인 마을이었습니다.

지금이야 도시 중심의 고급 주거지로 주목받지만, 당시엔 삶과 죽음이 얽힌 공간이었죠.


문화재지표조사란 바로 이러한 흔적을 찾는 일입니다.

표면에 드러난 유구(遺構)나 유물, 과거의 토지 이용 기록 등을 바탕으로 문화재의 존재 가능성을 탐색하죠.

1912년의 지적도와 토지대장을 살펴보는 작업은 단순한 기록 확인을 넘어, 실제 유적 발굴로 이어질 수 있는 기초 단계입니다.


논, 밭, 집터, 무덤까지 – 그 당시 서빙고동은 어떤 땅이었나


기록에 따르면, 서빙고동에는 7필지 34,902㎡의 논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더 많은 면적은 밭이었죠. 무려 64필지 94,235㎡.

그리고 사람들이 살았던 집터, 즉 대지는 202필지나 있었으며, 그 면적도 42,939㎡에 달했습니다.


눈여겨볼 건 무덤입니다.

8필지 7,358㎡가 분묘지로 등록되어 있었죠.

이는 단순히 묘지가 있었다는 게 아니라, 이 지역이 오랜 세월 동안 삶과 죽음의 공간이었음을 의미합니다.

이런 곳일수록 시굴조사나 발굴조사 시 유구가 다수 발견될 확률이 높습니다.


실제로 최근의 시굴조사에서도 이런 옛 분묘지 인근에서 조선 후기 기와, 백자 조각들이 출토된 사례도 있습니다.


땅의 주인들은 누구였을까 – 성씨별 소유 분포의 의미


1912년의 서빙고동은 김씨(58필지), 이씨(53필지), 백씨(22필지), 박씨(14필지), 정씨(12필지), 황씨(12필지), 은씨(11필지) 등 여러 성씨가 고르게 분포한 마을이었습니다.

이는 단일 집성촌이라기보다는 여러 가문이 어울려 살던 복합적 공동체였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토지 소유 구조는 문화재 발굴 시 유물의 다양성을 예측하는 단서가 됩니다.

즉, 특정 문화권에 한정된 유물이 아니라 다양한 가계와 생활상에서 기인한 다양한 유물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죠.


국유지와 일본인 소유지, 그리고 동양척식주식회사 – 사라진 마을의 흔적


7필지의 국유지 외에도, 4필지는 동양척식주식회사(동척)의 소유였고, 일본인이 소유한 땅도 6필지나 있었습니다.

또한 3필지는 마을 공동소유로, 마을 운영의 실체를 짐작하게 해줍니다.


이런 기록들은 왜 지표조사나 발굴조사 시, 단순히 흙 속 유물만이 아니라 당시의 문서나 지적 자료까지 함께 참고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한 장의 기록이, 한 점의 유물을 해석하는 데 결정적 실마리가 되기 때문입니다.


현대 도시 속 문화재의 발굴 필요성 – 지표조사가 중요한 이유


서울처럼 변화가 잦은 도시일수록 지표조사의 중요성은 큽니다.

문화재지표조사는 개발 전, 문화유산의 존재 가능성을 조사하는 필수 절차입니다.

특히 서빙고동처럼 과거 농촌과 공동체 생활이 공존했던 지역에서는, 고분, 기와가마터, 주거지 흔적이 발굴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공사, 지자체, 건축 관계자는 반드시 사전에 지표조사를 의뢰해야 합니다.

지표조사는 단순 의무가 아니라, 역사와 현재의 연결고리를 지키는 첫 걸음이기 때문입니다.


성공사례로 보는 문화재 발굴의 실제


최근, 서울 중구의 한 소규모 재개발 예정지에서는 사전 지표조사를 통해 조선시대 민가 유구가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지표조사 후 시굴조사와 발굴조사로 이어지며, 현장에서 백자편, 도기, 목탄층이 발견되었고, 이는 당시 서울의 민간생활을 연구하는 귀중한 자료로 쓰이고 있습니다.


문화재 발굴은 단순히 땅 속의 보물을 찾는 일이 아니라, 도시의 역사적 정체성을 지키는 일입니다.


마무리 – 잊혀진 땅의 기억을 되살리며


1912년의 서빙고동.

그곳은 단순한 농촌도, 단순한 도시도 아니었습니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그 땅에 살았던 사람들, 그들이 농사짓고 집을 짓고 조상을 묻던 자리가 곧 우리의 뿌리입니다.


문화재지표조사와 발굴조사는 그런 뿌리를 복원하는 소중한 과정입니다.

특히 서울처럼 땅 위의 변화가 극심한 도시일수록, 땅 아래의 고요한 기억을 지키는 일이야말로 진짜 미래를 위한 투자입니다.


출처: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www.seoulheritage.org


인기 해시태그


검색용 해시태그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