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912년 동교동의 풍경, 지금과 얼마나 달랐을까요?

요즘 홍대 앞을 걷다 보면 예술과 청춘이 마구 흘러넘치죠. 하지만 단 100여 년 전, 이곳 동교동은 논과 밭, 무덤이 점점이 펼쳐진 전혀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우리가 잊고 살았던 1912년의 동교동으로, 시간여행을 함께 떠나볼까요?



목차


  1. 프롤로그 - 논과 밭이 펼쳐진 동교동의 첫인상

  2. 1912년 동교동의 논 이야기

  3. 집들이 자리한 대지의 풍경

  4. 조용히 잠든 무덤과 그 의미

  5. 푸르름이 머문 산과 임야

  6. 삶을 일군 밭의 기록

  7. 동교동의 토지를 소유한 성씨들

  8. 에필로그 - 시간 속에서 되살아난 마을의 기억

  9. 추천 해시태그




1. 프롤로그 - 논과 밭이 펼쳐진 동교동의 첫인상


“홍대 앞에 논이 있었다고요?”


누군가 이렇게 되묻는다면, 그 사람은 아마 지금의 동교동만 알고 있는 걸 거예요.


하지만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1912년으로 가보면, 이곳은 완전히 다른 세계였어요. 지하철도, 클럽도, 카페도 없던 시절. 대신 햇빛이 내려앉는 논, 농부의 손길이 닿은 밭, 그리고 고요하게 자리한 무덤이 있었죠.


서울 한복판에서 이렇게 다른 풍경이 존재했다는 사실, 믿어지시나요?




2. 1912년 동교동의 논 이야기


1912년, 동교동에는 49필지나 되는 논이 있었어요. 총면적은 무려 162,856㎡.


지금 이 면적은 여의도공원의 절반쯤 되는 크기예요. 그만큼 이 지역은 쌀농사가 활발했던 농촌이었고, 물이 풍부했음을 보여주죠.


홍제천과 가까웠던 지리적 특성이 이 논농사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거예요. 당시 동교동은 서울 외곽의 전형적인 농경지였던 셈입니다.




3. 집들이 자리한 대지의 풍경


논과 밭 사이, 사람들이 생활을 이어가던 공간은 얼마나 됐을까요?


1912년 동교동엔 26필지 21,381㎡의 대지가 있었어요. 요즘 기준으로 보면 꽤나 드문드문 자리했을 것으로 보이죠.


이 집들은 대부분 농사를 짓는 이들의 거처였을 가능성이 커요. 작은 초가집, 흙담장, 마당에 널린 농기구들… 당시 생활상을 상상해보면 그 정겨움이 떠오르죠.




4. 조용히 잠든 무덤과 그 의미


지금은 건물 숲이지만, 그 시절 동교동에는 2필지 6,776㎡의 무덤이 있었습니다.


이건 단순히 ‘묘지’가 아닌, 이 지역에 뿌리를 내린 사람들의 삶의 흔적이에요. 마을 어귀에 조용히 누운 무덤들, 그 아래에는 어떤 가족사가 담겨 있었을까요?


지금 우리가 밟고 있는 이 땅 위엔 그렇게 수많은 시간과 이야기가 층층이 쌓여 있답니다.




5. 푸르름이 머문 산과 임야


산이라 하긴 작지만, 당시 동교동에도 작은 임야가 있었어요. 1필지 2,353㎡.


지금 홍익대학교 근처의 언덕을 생각하면 될 거예요. 이 임야는 땔감도, 산나물도, 아이들의 놀이터도 되었겠죠.


비록 지금은 그 흔적이 거의 남아있지 않지만, 도심 속 초록의 마지막 기억이었을 거예요.




6. 삶을 일군 밭의 기록


동교동에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했던 건 다름 아닌 ‘밭’이었어요. 57필지, 총 111,362㎡.


이건 지금 홍대입구역에서 연남동까지 쭉 이어지는 길을 다 덮을 수 있는 면적이죠.


여기선 콩, 보리, 고구마 같은 작물이 자랐을 거예요. 아침마다 이랑 사이를 누비며 밭을 일구던 사람들의 모습이 눈앞에 그려지지 않나요?




7. 동교동의 토지를 소유한 성씨들


1912년 동교동엔 어떤 사람들이 살았을까요?


당시 토지대장을 보면 오씨가 22필지, 고씨가 20필지, 김씨는 18필지, 그리고 차씨가 11필지를 소유하고 있었어요.


이들의 직업은 대부분 농업이었을 가능성이 크고, 아마 이 마을의 중심 인물들이었을 거예요. 오늘날로 치면 이장님, 유지 같은 존재들이었겠죠.


동교동의 ‘씨족 마을’ 구조를 짐작케 하는 대목입니다.




8. 에필로그 - 시간 속에서 되살아난 마을의 기억


지금의 동교동은 예술과 유행의 상징이 되었어요. 수많은 이들이 커피를 마시고 음악을 듣고 이야기를 나누죠.


하지만 단지 100년 전, 이곳은 논과 밭, 대지와 무덤이 어우러진 전형적인 농촌이었습니다.


이 변화는 단지 도시화라는 단어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역사, 사람, 삶의 이야기이기도 해요.


우리가 걷는 거리 하나하나에도 그런 깊은 흔적이 스며 있답니다. 이 사실을 안다면, 홍대 앞 거리도 조금은 다르게 보이지 않을까요?




9. 추천 해시태그






이런 시간여행, 또 떠나보고 싶지 않으세요?

다음엔 어떤 동네로 떠나볼까요?

留言

評等為 0(最高為 5 顆星)。
暫無評等

新增評等*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