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00년 전, 용산구 신계동의 땅은 누가 가지고 있었을까?

서울 한복판, 지금은 고층 건물과 복잡한 도로망이 자리한 용산구 신계동. 그런데 당신은 알고 있었나요? 지금으로부터 100년도 더 된 1912년, 이곳의 주인은 조선인이 아니었다는 사실을.

ree

이야기의 문을 열면 놀라운 역사 속 진실이 숨어 있습니다. 문화유산 조사와 발굴을 준비 중이라면, 서울의 시간 속 지형과 토지 소유 구조를 아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될 겁니다.


목차


  1. 1912년 용산구 신계동의 전체 규모와 용도별 토지 현황

  2. 집터는 얼마나 있었을까?

  3. 도로, 산, 밭, 잡종지… 그 땅들은 어떻게 쓰였나

  4. 철도용지의 비중이 압도적이었던 이유

  5. 조선인은 없었다? 일본인과 법인의 토지 소유 현황

  6. 국유지와 민간 소유지의 구조

  7. 신계동의 현재와 과거를 연결하는 문화재 발굴의 가치

  8.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의 실제 사례와 조사 의뢰 가이드

  9. 마무리 – 왜 지금 이 정보를 알아야 할까?





1912년 용산구 신계동의 전체 규모와 용도별 토지 현황


당시 신계동의 총 면적은 99,296㎡, 약 3만 평. 45개의 필지가 있었고, 각각 용도가 나뉘어 사용되고 있었죠. 지금의 도시계획 개념과 비교하면, 이미 당시에도 복합적 토지 이용이 진행되고 있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집터는 얼마나 있었을까?


생활 공간인 집터, 즉 대지로 쓰인 면적은 28필지, 34,251㎡였습니다. 이는 전체 면적의 약 34%에 달하는 크기로, 당시 이미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었음을 시사하죠. 하지만, 여기에 살던 이들은 조선인이 아니었다는 사실이 의미심장합니다.


도로, 산, 밭, 잡종지… 그 땅들은 어떻게 쓰였나


도로 부지는 9필지, 3,966㎡, 임야는 2필지, 1,923㎡, 밭은 3필지, 4,707㎡, 잡종지는 2필지, 2,238㎡. 다양한 용도에 따라 땅이 나뉘어 있었지만, 그 규모는 크지 않았습니다. 도시 기능보다는 철도와 군사 목적이 우선됐던 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철도용지의 비중이 압도적이었던 이유


무려 52,208㎡, 전체의 절반 이상이 철도용지였습니다. 단 한 필지지만, 당시 일본 제국의 군사 전략에서 용산의 철도 역할이 얼마나 중대했는지를 여실히 보여줍니다. 지금의 용산역과 연결되는 역사의 출발점이 바로 여깁니다.


조선인은 없었다? 일본인과 법인의 토지 소유 현황


놀랍게도 1912년 당시 신계동엔 조선인의 이름이 단 한 명도 등장하지 않습니다. 대신, 법인 소유의 토지는 23필지, 일본인 명의의 땅은 14필지나 있었죠. 누가, 어떻게 그 땅을 소유하게 됐는지는 당시의 식민 통치를 반영한 역사적 증거입니다.


국유지와 민간 소유지의 구조


국유지는 8필지. 이는 행정기관, 일본군, 철도청 등 식민지 정부가 점유한 땅으로 보이며, 전체적인 통제 구조를 엿볼 수 있습니다. 민간보다는 법인과 국가 소유가 대세였던 신계동은, 단순한 거주지가 아닌 전략적 요충지였던 겁니다.


신계동의 현재와 과거를 연결하는 문화재 발굴의 가치


이런 과거의 땅 이용 구조는 단순한 역사가 아닙니다. 문화재 지표조사나 시굴조사를 수행할 때, 이런 기록은 지금도 핵심 자료로 쓰입니다. 토양에서 나타나는 흔적, 지도에서 보이는 경계선, 문서로 남겨진 면적과 필지 수… 모두가 과거의 흔적을 추적하는 실마리가 됩니다.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의 실제 사례와 조사 의뢰 가이드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연구소는 실제로 신계동을 비롯한 서울의 다양한 지역에서 지표조사, 시굴조사, 표본조사, 발굴조사를 수행해왔습니다. 한 예로, 2023년 진행된 한 시굴조사에서는 철도용지 아래에서 일제강점기 생활유적이 발견되며 주목받기도 했죠.


문화재 지표조사를 의뢰하고 싶다면?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사이트(https://www.seoulheritage.org)에서 온라인 상담을 받을 수 있으며, 전문가들이 토지 용도 분석부터 유적 가능성 평가까지 상세하게 도와줍니다.


마무리 – 왜 지금 이 정보를 알아야 할까?


100년 전, 신계동에 조선인은 살지 않았습니다. 지금 우리 땅인 서울에서, 그 당시 어떤 힘이 작용하고 있었는지를 알게 된다면 문화유산은 더 이상 ‘과거의 물건’이 아닙니다. 바로 오늘을 설명하고, 미래를 계획하는 데이터로 바뀌는 것이죠.


문화재조사나 발굴을 고민 중이신가요?


그렇다면, 단 한 줄의 옛 문서에서 시작된 이 이야기처럼, 당신의 프로젝트도 서울의 역사를 새롭게 쓰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출처: 서울문화유산 발굴조사 https://www.seoulheritage.org


댓글

별점 5점 중 0점을 주었습니다.
등록된 평점 없음

평점 추가*
bottom of page